$\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민자의 건강정보이용 실태 분석
A Study in the Health Information Use of Immigra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629 - 638  

장선미 (국군간호사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이주노동자 무료 진료소'를 이용하는 이민자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빈도는 낮은 편으로 월 1회 미만으로 건강 정보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건강정보 이용빈도는 나이가 많거나, 직업이 없거나, 질병이 있는 대상자에서 더 높았다. 주요한 건강정보 출처는 인터넷이었고, 나이와 인터넷 사용 여부에 따라 건강정보 출처에 차이가 있었다. 나이가 증가하거나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은 응답자의 건강정보 출처로 인터넷 사용 비율이 낮았다. 건강정보의 주요한 활용대상자는 본인이었고,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대상자는 본인을 위하여 건강정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처럼 이민자의 대부분이 건강정보를 활발히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이가 증가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경우에는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강정보 사용이 증가하면서 건강정보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 증진과 효과적인 건강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 보건의료의 정책이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ealth information usage of immigra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1 immigrants.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frequency of migrants'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low, and the numb...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다양한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들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한국 거주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에 대한 개선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민자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정보를 제공 방안을 마련하여 건강정보 이용을 증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민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 이용 증진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와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강정보 이용실태는 건강정보 이용 빈도, 건강정보 출처 및 건강정보 활용대상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 C. Chung, H. Park,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Vol.6, No.1, pp.53-66, 2010. DOI: https://doi.org/10.4258/jksmi.2000.6.1.53 

  2. G. S. Kim, Y. R. Kim, S. W. Ryu, "Health behavior stage and usag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35, No.2, pp.177-193, 2010. 

  3. H. S. Kwak, S. W. Ryu, K. I. You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mploy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33, No.1, pp.105-118, 2008. 

  4. S. W. Ryu, Y. J. Ha,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97, pp.71-87, 2004. 

  5. J. H. Hibbard, J. Greene, E. R. Becker, D. Roblin, M. W. Painter, D. J. Perez, M. Tusler, "Racial/ethnic disparities and consumer activation in health", Health Affairs, Vol.27, No.5, pp.1442-1453, 2008. DOI: https://doi.org/10.1377/hlthaff.27.5.1442 

  6. S. S. Bae, H. S. Jo, H. J. Lee, "Factors associated with channels of health information used by metropolitan city resi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7, No.4, pp.91-103, 2010. 

  7. T. H. Laz, A. B. Berenson,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internet use for seeking health information among young wome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8, No.2, pp.250-260, 2013. DOI: https://doi.org/10.1080/10810730.2012.707292 

  8. S. H. Lim, S. H. Lee, D. K. Kim, "An empirical study of intention of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mparison by gender",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10, No.3, pp.77-94, 2011. DOI: https://doi.org/10.9716/kits.2011.10.3.077 

  9. T. M. Song, E. J. Park, E. J. Lim, "The survey of the demand fo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Vol.8, No.2, pp.17-24, 2002. DOI: https://doi.org/10.4258/jksmi.2002.8.2.17 

  10. H. T. Tu, G. R. Cohen, Striking jump in consumers seeking health care information, Tracking report, Center for Studying Health System Change, Washington, DC, pp.1-8, 2008. 

  11. W. Kim, R. H. Keefe, "Barriers to healthcare among Asian Americans",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Vol.25, No.3-4, pp.286-295, 2010. DOI: https://doi.org/10.1080/19371910903240704 

  12. L. D. Richardson, M. Norris, "Access to health and health care: How race and ethnicity matter", Mount Sinai Journal of Medicine: A Journal of Translational and Personalized Medicine, Vol.77, No.2, pp.166-177, 2010. DOI: https://doi.org/10.1002/msj.20174 

  13. R. N. Rooks, J. C. Wiltshire, K. Elder, R. BeLue, L. C. Gary,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use outside of the medical encounter: Is it associated with race and ethnicity?",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4, No.2, pp.176-184, 2012.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1.09.040 

  14. S. Park, Access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f migrants worker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35, 108-110, 2019. 

  15. S. Koo, J. Cho, E. Ahn, S. Cho, H. Park, "Use of health information among older adults: Trust and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by gender and reg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2, pp.454-479, 2016.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6.36.2.454 

  16. B. Y. Lee, S. M. Jung, "A study on related factors use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literacy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43, No.3, pp.147-157, 2018. 

  17. S. Kim, M. Kim, S. Kim, "The effect of the rural elderly's health literacy on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5, No.1, pp.159-181, 2020. DOI: https://doi.org/10.21194/kjgsw.75.1.202003.159 

  18. S. J. Lee, M. S. Shim, "Effects of health literacy and unmet health care need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elderly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4, No.2, pp.238-250, 2020. 

  19.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8,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immigration/1570/subview.do (accessed June. 1, 2020) 

  20. S. S. Lee, J. B. Lee, "The status and problem of mental health policy for immigrant wives: Focusing on case in Daejeon region",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Vol.14, pp.79-113, 2013. 

  21. HM. Son, YS. Sohn, MJ. Je, "Needs analysis in online health inform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Vol.12, No.6, pp.69-90, 2017. DOI: https://doi.org/10.15815/kjcaes.2017.12.6.69 

  22. H. R. Kim,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55, pp.50-64, 2009. 

  23. Rhapael center. Raphael center annual report, 2018, Available From: http://raphael.or.kr/ko_KR/ (accessed June. 1, 2020) 

  24. MN. Kim, YS. Yoo, KH. Hwang, OK. Cho,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attitudes to internet health information, e-health literacy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health-relate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7, No.11, pp.357-367,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