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간의 관계
Relations of Stroke Literacy, Health Literacy, Stroke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719 - 730  

이지연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장희경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의 정도를 비교하고 그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뇌졸중 발병률이 높은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자기관리의 유의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9년 12월 5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19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도 문해력, 뇌졸중 지식 및 자기관리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인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량에 대해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노년기 성인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190. p=.015), 흡연을 할 때(β=-.226,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97, p<.001)와 뇌졸중 지식(β=-.168, p=.014)으로, 이들의 설명력은 약 20.3%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중노년기 성인의 자기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할 때 주관적 건강상태 및 뇌졸중 관련 지식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중노년기 성인들의 뇌졸중 지식과 자기관리 사이의 매개변수 탐색이 필요하며, 뇌졸중 예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and relations of stroke literacy, health literacy, stroke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to identify the significant determining factors affecting stroke preven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a high incidence of stroke. Data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일개 지역사회에 국한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지역에서의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50대의 대상자들이 많았는데 연령이 증가할수록 뇌졸중 발생 위험률이 높아지므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뇌졸중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뇌졸중 위험요인과 경고증상에 대해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관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뇌졸중에 대해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관련 지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중노년기 성인이 인식하고 있는 뇌졸중의 위험요인 및 경고증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명하여 뇌졸중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의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문해력, 뇌졸중 지식 정도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노년기 성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뇌졸중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 및 자기관리의 정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 연구는 일개 지역사회의 중노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및 뇌졸중 지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들이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유무, 경제적 스트레스, 연령, 뇌졸중 지식이 중노년기성인의 자기관리의 관련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중노년기 성인이 인식하고 있는 뇌졸중의 위험요인 및 경고증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명하여 뇌졸중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노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뇌졸중 문해력, 건강정보 문해력, 뇌졸중 지식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뇌졸중 예방 교육을 위한 중재개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debayo, O. D., & Culpan, G. "Diagnostic accuracy of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in the prediction of haemorrhagic transformation and patient outcome in acute ischaem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stroke journal, Vol.5, No.1, pp.4-16, 2020. DOI: https://doi.org/10.1177/2396987319883461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7760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accessed Jul. 1, 2020) 

  3. Kim. J. Y., Bea. H. J., & Park. J. M.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Public Health Weekly Report, Vol.12, No.43, pp.1845-1860, 2019. 

  4. Kang, J. H., Jeong, B. G., Cho, Y. G., Song, H. R., & Kim, K. A.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7, No.4, pp.83-90, 2010. 

  5. Niewada, M., & Michel, P. "Lifestyle modification for stroke prevention: facts and fiction"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Vol.29, No.1, pp.9-13, 2016 DOI: https://doi.org/10.1097/WCO.0000000000000285 

  6. Bae, S. G., Lee, S. K., & Han, C. H.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stroke: Based on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 pp.418-428,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18 

  7. Kim, E. J., & Kong, J. H. "The Effects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troke, Stroke Symptom Coping Behavior and Self Management of Stroke Risk Grou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1, pp.7925-7933,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925 

  8. Howe, M. D., & McCullough, L. D.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troke in women" Expert Review of Cardiovascular Therapy, Vol.13, No.4, pp.403-415, 2015. DOI: https://doi.org/10.1586/14779072.2015.1020300 

  9. Kindig, D. A., Panzer, A. M., & Nielsen-Bohlman, L.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pp.368,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pp.31. 

  10. Lee, J. E., Lee, S. Y., Noh, H. K., & Lee, E. "The influence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26, No.6, pp.1427-1438, 2015. DOI: https://doi.org/10.7465/jkdi.2015.26.6.1427 

  11. Chesser, A. K., Woods, N. K., Smothers, K., & Rogers, N. Health literacy and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Gerontology and Geriatric Medicine, Vol.2, pp.1-13, 2016. DOI: https://doi.org/10.1177/2333721416630492 

  12. Kim. J. H., Park. C. Y., & Kang. S. H. "A Survey on the Level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Literacy in Korean People"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9, No.2, pp.146-159, 201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9.29.2.146 

  13. Jeong, J. H., & Kim, J. S.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5, No.1, pp.65-73, 2014.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65 

  14. Gumbinger, C., Reuter, B., Stock, C., Sauer, T., Wietholter, H., Bruder, I., ... & Hacke, W. "Time to treatment with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d outcome of strokein clinical practice: retrospective analysis of hospital quality assurance data with comparison with results from randomised clinical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48, pp.1-12, 2014. DOI: https://doi.org/10.1136/bmj.g3429 

  15. Kim, J., Hwang, Y. H., Kim, J. T., Choi, N. C., Kang, S. Y., Cha, J. K., ... & Lim, B. H. "Establishment of government-initiated comprehensive stroke centers for acute ischemic stroke management in South Korea" Stroke, Vol.45, No.8, pp.2391-2396, 2014. DOI: https://doi.org/10.1161/STROKEAHA.114.006134 

  16. Lee. Y. H., Kim. Y. T., Oh. G. J., Kim. N. H., ... & Kim. H. S.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public awareness about the warning signs of stroke and the golden window of tim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Vol.32, No.1, pp.1-10, 2015.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1.1 

  17. Brice, J. H., Griswell, J. K., Delbridge, T. R., & Key, C. B. Stroke: from recognition by the public to management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6, No.1, pp.99-106, 2002. DOI: https://doi.org/10.1080/10903120290938904 

  18. Willey, J. Z., Williams, O., & Boden-Albala, B. Stroke literacy in Central Harlem: a high-risk stroke population. Neurology, Vol.73, No.23, pp.1950-1956, 2009. DOI: https://doi.org/10.1212/WNL.0b013e3181c51a7d 

  19. Kim, Y. S., Park, S. S., Bae, H. J., Cho, A. H., ... & Kim, G. M. "Stroke awareness decreases prehospital delay after acute ischemic stroke in Korea" BMC Neurology, Vol.11, No.1, pp.1-8, 2011. DOI: https://doi.org/10.1186/1471-2377-11-2 

  20. Lee, Y. M., Kim, K. Y., & Kim, K. S.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among residents in a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8, pp.5116-5123,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116 

  21. Lee, Y. H., Kim, Y. T., Oh, G. J., Kim, N. H., ... & Lee, K. S.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public awareness about the warning signs of stroke and the golden window of tim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32, No.1, pp.1-10, 2015.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1.1 

  22. Yang, J., Zheng, M., Cheng, S., Ou, S., Zhang, J., Wang, N., et al.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community residents in western urban China"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Vol.23, No.5, pp.1216-1224, 2014. DOI: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3.10. 019 

  23. Sallar, A. M., Williams, P. B., Omishakin, A. M., & Lloyd, D. P. "Stroke prevention: awareness of risk factors for stroke among African American residents in the Mississippi delta region"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Vol.102, No.2, pp.84-94, 2010. DOI: https://doi.org/10.1016/S0027-9684(15)30495-8 

  24. Miyamatsu, N., Okamura, T., Nakayama, H., Toyoda, K., Suzuki, K., Toyota, A., et al. "Public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stroke and information sources about stroke among the general Japanese population: the acquisition of stroke knowledge study" Cerebrovascular Diseases, Vol.35, No.3, pp.241-249, 2013. DOI: https://doi.org/10.1159/000347066 

  25. Waltz, C., Strickland, O. L., Lenz, E.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4th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0. p. 453 

  26. Lee, T. W., & Kang, S. J. "Development of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for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36, No.5, pp.524-534, 2013. DOI: https://doi.org/10.1002/nur.21556 

  27. Lee, T. W., & Kang, S. J.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8, No.4, pp.847-863, 2008. 

  28. Yoon, S. S., Heller, R. F., Levi, C., Wiggers, J., & Fitzgerald, P. E.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warning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an Australian urban population" Stroke, Vol.32, pp.1926-1930, 2001. 

  29. Song. H. Y. "Stroke Risk and Knowledge in Women with Pre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0, No.2, pp.121-130, 2008. 

  30. Nedeltchev, K., Fischer, U., Arnold, M., Kappeler, L., & Mattle, H. P. "Low awareness of transient ischemic attacks and risk factors of stroke in a Swiss urban community" Journal of Neurology, Vol.254, pp.179-184, 2007. 

  31.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32. Seo, H. M. Constructing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54-55, 2000. 

  33. Kwon, M. S., Noh G. Y., & Jang, J. H.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7, No.1, pp.190-202, 2013.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90 

  34. Kang, S. J., Lee, T. W., Kim, G. S., & Lee, J. H.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9, No.3, pp.75-89, 2012. 

  35. Kim, J. H., Kwon, M. J., & Jung, S. K. "The Influence of Health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4, pp.494-50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494 

  36. Choi, S. S. "Impact of Hospital Admission Times o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Protector Stroke-related knowledge Scor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9, pp.495-504, 2016. DOI: https://dx.doi.org/10.14257/AJMAHS.2016.09.05 

  37. Jeong, Y. J., & Park, J. H. "The Effects of the Stroke on the Health Knowledge, Optimistic Bia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9, pp.141-155,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9.141 

  38. Yang, S. Y., & Park, K. O. "Association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health behaviors in Incheo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26, No.2, pp.65-80, 2018. DOI: https://doi.org/10.31324/JRS.2018.06.26.2.65 

  39. Oh, J. H., & Park, E. O. "The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self-care behaviors among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34, No.1, pp.35-45, 2017.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7.34.1.35 

  40. Kim, Y. M., & Yoo, K. H.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Knowledge, Stress and Self-care Performance among Tuberculosi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5, No.3, pp.366-377, 2019.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3.366 

  41. Yang, I. S.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Negative Emotional Status on Self-care Adherence in Symptomatic Patients with Heart Failu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8, No.3, pp.302-313, 2016. DOI: https://doi.org/10.7475/kjan.2016.28.3.302 

  42. Chang, K. O., & Oh, M. J. "Effects of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Oriental Nursing on Self-Health Perception Change, Health Behavior Change, Self-Care and Physiological Index of adult and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1, pp.111-120,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