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소년의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steem between the Adolescent's Health and Satisfaction of lif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790 - 797  

김태형 (부산외국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자아존중감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6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변수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은 평균 3.13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감 수준과 자아존중감 수준은 각각 2.80, 2.90으로 보통보다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은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지며, 높은 자아존중감 수준은 삶의 만족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 및 심리·정서적 자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청소년 삶의 만족감 향상을 위해 청소년이 인지하는 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개인의 심리·정서적 자원의 강화를 위한 보건 및 복지 영역의 다각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perceived health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Ed. 6), and the results are as f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합이론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삶의 여건 특성 모두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득, 결혼상태, 건강 등을 주요 영향요인으로 보고하고 있다. 가운데 본 연구는 건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보고자 한다. 현재 코로나로 온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보건 및 의료 상황과 직결된 건강은 개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직접 체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은 향후 개인의 삶에서 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서 여겨질 것임을 짐작해볼 수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합이론의 성격특성을 근거로 하여 개인의 심리적 영향요인을 고려하고자 한다.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청소년 개인의 내적 요인 중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삶의 목표, 자기효능감 등이 보고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 1패널 자료 중 6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본적인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SS 2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Fig 1]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중단의식, 행복감 등의 다양한 연구에서 매개변수로서 설정되어 분석되고 있다[12][13][15][16]. 이에 본 연구는 관련이론의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는 삶의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 정서가 청소년의 삶을 보다 발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청소년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함을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 이에 우리사회의 청소년들이 삶을 희망적으로 인식하고 바른 성장과 긍정적 삶의 목표 등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이를 통한 개입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이 성인기를 준비하고 보다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삶의 만족감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청소년의 가구소득, 성적 만족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평가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정서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다양한 연구들 [12][13][14][15][16]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을 통해 삶의 만족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중단의식, 행복감 등의 다양한 연구에서 매개변수로서 설정되어 분석되고 있다[12][13][15][16].
  • 한편, 건강의 측정은 주관적 평정치와 객관적 평정치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평정치인 건강의 개념을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는 청소년 개인이 인지하는 건강수준을 의미하며, 관련 연구에서 삶의 만족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7].

가설 설정

  •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은 삶의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 첫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T. H. Kim, "Influence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on Subject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Forum for youth culture, Vol.0, No.62, pp.81-119, 2020. DOI: http://doi.org/10.17854/ffyc.2020.04.62.81 

  2. J. Y. Park, Y. J. Shin, J. Y. Kinm,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Health Excercise Program on Fitness, Self-esteem and Happiness for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1, No.3, pp.433-442, 2012. 

  3. J. I. Park, C, U, Park, S, H, Jung, Y, S, Youm, "Collection of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44, No.2, pp.121-154, 2010. 

  4. Y. M. Kim,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Maladaptati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Process and Gender Group Differences",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8, No.11, pp.209-237, 2011. 

  5. Fredrickson, Barbara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2001. DOI: http://doi.org/10.1037/0003-066x.56.3.218. 

  6.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6, pp.803-855, 2005. DOI: http://doi.org/10.1037/0033-2909.131.6.803. 

  7. S. M. Kwon, Positive Psychology, Hakjisa, p.622, 2015, pp.120-130 

  8. M. S. Lee,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Health, Social-support, and Future-expectation on Korean Young People's Subjective Happiness and Emotional Well-being", Korea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7, pp.179-199, 2015. 

  9. S. B. Shi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in Korean Adolescents",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17, No.3, pp.135-184, 2016. DOI: http://doi.org/10.15818/ihss.2016.17.3.135 

  10. S. Kim,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11, pp.495-505, 2017. DOI: http://doi.org/10.14257/ajmahs.2017.11.17. 

  11. Diener. E., & Lucas. R.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pp.213-239. 

  12. J. M. Ra,, S. J. Park, K. J. Le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chool Satisfaction on Happiness via Adolescents' Self-estee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o.55, pp.5-25, 2017. DOI: http://doi.org/10.17939/HUSHSS.2017..55.001. 

  13. K. M.. Lee, K. H. Yang and N. Lee, "The Effect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Adolescents on their Academic Interruption Consciousnes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ing, Vol.7, No.1, pp.105-132. 2018. DOI: http://doi.org/10.20497/jwce.2018.7.1.105. 

  14. T. H.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Affluence on Happiness :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16, No.3, pp.1692-1698,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3.1692. 

  15. J. M. Kim, S. J. Song, "The influence of Youth Activity Satisfaction on Subjective Happin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20, pp.359-373, 2017. 

  16. S. Y. Lee,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Studies on Korean Youth Activity, Vol.5. No.3. pp. 117-134. 2019. 

  17. P. M. Kim., Y. H. Kim, "An effect of self-perception toward health-related problem on the self-esteem of you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20, No.10, pp.143-167, 2013. 

  18. D. Y. Kim, "The Effect of Nutrition Situation on Physical Fitness related Health and Self-Esteem", Journal of Sport Science Research, Vol.15, pp.49-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