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제초제 중독환자에서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사망률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Initial Serum Ammonia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Herbicide Poisoning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8 no.2, 2020년, pp.136 - 140  

고은나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김동훈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이수훈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정진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이상봉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성애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서자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강창우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ssociation of the initial serum ammonia level with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ammonium herbicide poisoning was studied.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012 and August 2019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glufosinate-...

주제어

참고문헌 (16)

  1. Hwang IW, Jeong TO, Jin YH. et al. Clinical aspects and management of a herbicide containing glufosinate ammonium and surfactant.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75-9. 

  2. Oh TH, Lee JB, Jin YH. et al. Difference of ammonia level as predictor of delayed neurologic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glufosinate ammonium herbicide poisoning presented with alert mentality. J Korean Soc Emerg Med 2016;27:429-35. 

  3. Lee SW, Hong YS, Kwon WY.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analysis of poisoning of glufosinate herbicide.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7;5:36-42. 

  4. Mao YC, Hung DZ, Wu ML. et al. Acute human glufosinate-containing herbicide poisoning. Clin Toxicol (Phila) 2012;50:396-402. 

  5. Lee DS, Choi KH. A study of predicting the severity following glufosinate ammonium containing herbicide poisoning experienced in single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9;17:7-13. 

  6. Inoue Y, Onodera M, Fujita 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severe effects following acute glufosinate poisoning. Clin Toxicol (Phila) 2013;51:846-9. 

  7. Moon JM, Chun BJ. Serial ammonia measurement in patient poisoned with glufosinate ammonium herbicide. Hum Exp Toxicol 2015;35:554-61. 

  8. Lee HD, Sun KH, Kim SJ. The usefulnes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 as a predictor of convulsion in patients with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7;15:40-6. 

  9. Cha YS, Kim H, Lee Y.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mmonia level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Hum Exp Toxicol 2017;37: 571-9. 

  10. Mao YC, Wang JD, Hung DZ. et al. Hyperammonemia following glufosinate-containing herbicide poisoning: a potential marker of severe neurotoxicity. Clin Toxicol (Phila) 2011;49:48-52. 

  11. Lee DK, Youk H, Kim H. et al. Initial serum ammonia as a predictor of neurolog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poisoning. Yonsei Med J 2016;57: 254-9. 

  12. Lee JH. Kim YW. Prognostic factor determination mortality of acute glufosinate poisoned patients. Hum Exp Toxicol 2018;38: 129-35. 

  13. Park S, Kim DE, Park SY. et al. Seizures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intoxication, with a focus on glufosinate ammonium. Hum Exp Toxicol 2017;37:331-7. 

  14. Joo HS, Yoo TH, Cho SH.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glyphosate and glufosinate herbicide poisoning patient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8;16:124-30. 

  15. Yoo DH, Lee JW, Choi JH. et al. Utility of the APACHE II score as a neurologic prognostic factor for glufosinate intoxicated patient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6;14:107-14. 

  16. Hirose Y, Kobayashi M, Koyama K. et al. A toxicokinetic analysis in a patient with acute glufosinate poisoning. Hum Exp Toxicol 1999;18:30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