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 탐색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Using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233 - 244  

김수연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오유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 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효과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P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두 반을 실험집단(29명)과 통제집단(29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7주간 실시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 설문검사를 실시,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부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문제 상황 속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향상되고 협동심을 통한 빠른 문제 해결과 성취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창의역량 증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음악수업 활동이 새롭고 창의적이며 다양한 수업 모델을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is music class activity and its effectivene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using applications class. To this end, the effectivenes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ers' prior study of 'Development of Music learning program Using Applications Based 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활용만을 가지고 진행된 음악 수업 연구들과의 본 연구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미래 인재상에 걸맞은 역량의 요소들인 ‘창의성, 협동심, 공감능력, 문제해결력’ 4가지 변인을 두고 그 향상 여부를 탐색하였다.
  •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업 프로그램이 과연 학생들에게 창의성, 협동심, 공감 능력, 문제해결력의 미래지향적 교육 가치관에 과연 유의미한 효과성을 가지고 있는 지에 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음악교육의 프로그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연구자 본인의 선행연구인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이 프로세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집단 창의성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창조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9].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후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역량인 창의성뿐만 아니라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 그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선행 연구인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수업을 진행하였다[7].
  •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사전 연구에서의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수업에 대한 창의성 및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업 전과 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따른 사전 검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통한 음악 프로그램이 다만 이론적 수업 모델로써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가능성 타진과 효과성 탐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음악 수업 활동의 교육적 역할에 충족하기 위한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며 이는 새로운 수업 형태로서의 디자인씽킹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시대의 변화를 수용하는 음악 수업,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창의적 음악 수업으로써의 역할에 도움을 줄 것이다.
  • 실험집단에는 디자인씽킹 기반 음악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음악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의 선행 논문의 프로그램 설계를 기초로 하여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어플리케이션 활용한 음악 수업 활동 후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7].
  • 학생들은 구성원들이 팀별 공동 목표 설정을 공유하며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경험과 정보를 아이디어화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때 학생들은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준비물로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며 역동적으로 해결책을 풀어가려고 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작곡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작곡하는 것에 특히 집중도와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선행 연구인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수업을 진행하였다[7].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업 프로그램이 과연 학생들에게 창의성, 협동심, 공감 능력, 문제해결력의 미래지향적 교육 가치관에 과연 유의미한 효과성을 가지고 있는 지에 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음악교육의 프로그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연구는 어떤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는가? 이처럼 디자인씽킹은 다양한 학교 및 기업에서 접목되어 진행되고 있다.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연구들은 미술 교과, 가정 교과, 수학 교과, 과학 교과, 진로교육, 메이커 교육, 발명교육, 데이터 분석 등에서 많이 연구 되어 지고 있으며 음악 분야에서는 최근에서야 각광받는 수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구’는 디자인씽킹의 충분한 설명과 전문가적인 역량이 없이는 학습자들이 충분히 수행하기 어려운 수업일 수도 있으므로 시도를 해보기가 쉽지 않다.
디자인씽킹은 어떤 과정에서 발현되는가? 이 프로세스는 기존의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으로[5] 디자이너의 문제 접근 및 해결 방법에서 출발하여 현재 교육 패러다임의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디자인씽킹은 팀을 기반으로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와 더불어 감성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가 역동적으로 함양되어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발현된다[6]. 이는 학생 주도 참여 수업과, 문제해결능력 및 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며, 협업 능력과 공감능력 향상 등을 포함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에 필요한 능력은 무엇이 있는가? 2016년 세계 다보스 경제 포럼에서는 교육 분야의 급격한 시스템 변화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상을 발표하였다. 이는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성, 사람 관리, 협력, 감성지능, 결정과 판단 능력, 서비스 지향성, 협상력, 인지 유연성이 포함 되었다[1]. 이러한 새로운 인재상에 필요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디자인씽킹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ttp://www.m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73, 2018.11.03. 

  2. 최고운,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 과정 지도방안-디스쿨(d.school)의 디자인 사고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 이선영, 윤지현, 강성주, "초등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개발 전략으로서 디자인씽킹 기반 문제 해결 프로그램의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1호, pp.525-554, 2018. 

  4. R. L. Martin, 이건식 역, Desingn thinking, 웅진윙스, 2010. 

  5. 전효은, "후츠파 문화정신과 디자인 씽킹 연구를 통한 기업 융합형 창의성 모형 제언,"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pp.333-344, 2015. 

  6. 전은화, 정효정 "디자인씽킹 교육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분석 : 협력부하 발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8호, pp.965-995, 2019. 

  7. 김수연, 디자인씽킹에 기반을 둔 ICT 활용 음악수업프로그램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8. 구자준,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제20권, 제3호, pp.1-18, 2017. 

  9. 김선연,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제35권, 제3호, pp.621-653, 2019. 

  10. 서응교, 전은화, 정효정, "대학생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강좌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693-718, 2016. 

  11. 임지민,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2017. 

  12. 김서영, 나건,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다학제 협업 - 초기 기술개발 단계에서 디자인의 접목-," 한국디자인문화학획, 제22권, 제2호, pp.87-97, 2016. 

  13. 이은혜, 태진미, "디자인씽킹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수,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과정연구, 제11권, 제1호, pp.143-162, 2017. 

  14. 송동주, 박재호, 강상희, 디자인씽킹, 영남대학교출판부, 2016. 

  15. 김정아, 오인균,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 연구,"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제15권, 제3호, pp.9-18, 2016. 

  16. A. Razeghi, The Riddle: where ideas come from and how to have better ones.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Inc., 2008. 

  17. 구자준,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사용자 중심 리서치가 공감에 끼치는 영향-관찰, 인터뷰, 체험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139-152, 2017. 

  18. 임종현, 안미리, "공과대학 학생들의 디자인 씽킹 활동을 통한 협력적 소통경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23권, 제1호, pp.27-30, 2018. 

  19. 김수연, 오유진,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3호, pp.29-47, 2019. 

  20.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24-139, 2011. 

  21. 김영희, 고태순,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0-338, 2014. 

  22. 김원경, "중학생의 음악흥미도와 공감능력간의 관계," 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pp.1-21, 2018. 

  23. 박미경, 김경선,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기법을 활용한 인성함양 STEAM 교육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제55권, pp.197-205, 2018. 

  24. 석문주, 문경숙, 최미영, "음악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고찰," 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4호, pp.205-223, 2017. 

  25. 정정호, 장동련, "수평적 조직구조에서 디자인씽킹 기반의 창의성 발현," 디자인학연구, pp.219-230, 제25권, 제2호, 2012. 

  26. 정정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자인 사고 중심의 창조적 가치창출," 디자인학연구, 제24권, 제3호, pp.285-296, 2011. 

  27. 조준동, 창의융합프로젝트 아이디어북, 한빛아카데미, 2017. 

  28. 조혜숙, 권동욱, 강유진, 박종석, 손정우, 남정희,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8권, 제5호, pp.681-691, 2018. 

  29. 황혜선, 정은경, "미디어.예술 분야 대학생 창의성 진단도구 타당화와 진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45-152, 2014. 

  30. 홍정순, 장환영, "초등학교 '디자인씽킹' 기반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8권, 제22호, pp.1309-1337, 2018. 

  31. 변현정,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149-167, 2015. 

  32. 최원식, 나건, "디자인 씽킹과 린스타트업을 통합한 디자이너를 위한 스타트업 교육 개발 - 한국디자인진흥원 "우수디자인 아이디어 글로벌 창업지원" 사례-," 산업디자인학연구, 제9권, 제2호, pp.11-20, 2015. 

  33. A. Brown, "Design experimen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creating complex interventions in classroom setting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Vol.2, No.2, pp.141-178, 1992. 

  34. C. Cardoso and P. Badke-Schaub, "EDITORIAL Fixation or Inspir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Desig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45, No.2, pp.77-82, 2011. 

  35. D. Simonton, "Creativity: Cognitive, personal, developmental, and social aspect,"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151-158, 2000. 

  36. D. Herbenick, "Class Secrets Project: Toward the Teaching of Empathy," American Journal of Sexuality Education, Vol.8, No.1-2, pp.73-79, 2013. 

  37. T. DiLiello and J. Houghton, "Creative potential and practised creativity : Identifying untapped creativity in organization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Vol.17, No.1, pp.37-46, 2008. 

  38. T. Taura, E. Yamamoto, M. Fasiha, M. Goka, F. Mukai, Y. Nagai, and H. Nakashima, "Constructive simulation of creative concept generation process in design: a research method for difficult-to-observe design-thinking processes," Journal of Engineering Design, Vol.23, No.4, pp.297-321, 2008. 

  39. J. Lindquist, "Class Affects, Classroom Affectations: Working through the Paradoxes of Strategic Empathy," College English, Vol.67, No.2, pp.187-209, 20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