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기반의 인공지능(AI) 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3 no.4, 2020년, pp.49 - 59  

이성혜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중등 교육에서 AI 교육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논의가 막 시작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AI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있는 AI 문제를 탐색, 정의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AI 모델을 구축한 후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W효과성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AI의 가치 인식에 대한 변화와 AI 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AI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I 효능감은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해보는 경험을 통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또한 AI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 효능감은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된 AI 프로젝트에 대한 학습자의 전반적인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AI 프로젝트 각 단계(AI 문제 이해 및 문제 탐색, 실습, 문제 정의, 문제해결 아이디어 구현, 평가 및 발표)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 인식은 프로그래밍 언어활용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I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e beginning of the discussion of AI education in K-12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an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AI education programs. In the AI education program, students explored and defined the AI problems they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 교육과 마찬가지로 AI 교육 역시 AI를 활용한 문제해결 경험을 강조하는 상황에서[6][13], 본 연구에서는 AI 교육을 처음 경험하는 학생들이 AI의 개념을 이해하고 AI 문제를 탐색, 해결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AI에 대한 관심과 흥미, 그리고 학습동기 등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AI 교육프로그램은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3차에 걸쳐 조사된 설문 데이터를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후 분석을 통해 설문 간 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상, 하)을 구획변수로 하여 집단 간에 AI 교육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 ‘상’은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이었으며, ‘하’는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에 응답한 학생이었다.
  • 둘째, 본 연구에서는 AI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언어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AI 가치 인식은 교육 전 설문 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차이는 특강 및 프로젝트를 수행한 후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의 AI 가치 인식과 효능감이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는 디자인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어 디자인을 넘어 혁신이 필요한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어 왔으며[14], 교육에서도 문제정의, 질문제기, 아이디어 구안 및 해결안 도출을 안내하는 유용한 교수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15].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인 AI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실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AI를 적용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하였다.
  •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는 문제를 발견,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유용한 틀이다. 이에 연구에 서는 AI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AI를 적용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AI 교육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AI 교육을 처음 경험하는 학생들이 AI의 개념을 이해하고 AI 문제를 탐색, 해결해볼 수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I문제해결 접근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프로 그램개발에 적용하였다.
  •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씽킹 기반의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I 교육에 대한 다양한 SW 교육은 어떠한 기대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가?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초중등 AI 교육 도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효과적인 AI 교육 모델을 개발 하고 다양한 SW 교육의 맥락에서 빠르게 확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AI 관련 지식 및 기술, AI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 문제해결 등 AI 분야의 지식과 응용 능력을 심화, 또는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AI 및 AI 융합 분야의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씽킹이란 무엇인가? 디자인씽킹은 디자인 분야에서 시작된 문제 해결 프로세스와 사고 방법으로서, 디자이너가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여 문제를 처리하고,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의미한다[18][19].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는 디자인씽킹을 실천하기 위한 절차로서, 문제 상황에 대해 확인하고 관찰한 내용과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하며,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며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절차를 말한다[20].
AI4K12 이니셔티브가 제시한 AI개념 5가지 핵심 영역은? org)에서 제시한 AI 교육과정 프레임워크가 대표적이다. AI4K12 이니셔티브는 AAAI(Association for the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와 CSTA(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e)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초중등 AI 교육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초중등 수준에서 AI 개념과 이해를 위한 다섯 가지 핵심영역을 인식(perception), 표현과 추론(representation and reaso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자연스러운 상호작용(natural interaction), 사회적 영향(social interaction)으로 제시한 바 있다[4]. AI4K12가 선도적으로 제시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는 AI 교육과정을 분석하거나 개발하는 데 지침이 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용성 (2019). 인공지능(AI) 시대 주요국의 인재양성 정책 동향.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2. Quin Zujun (2019). AI-SW 교육의 시작, AI 시대를 대비하다. 2019 글로벌 소프트웨어교육 컨퍼런스 자료집. 한국과학창의재단. 

  3. 관계부처합동 (2019). 인공지능 국가전략. 

  4. CSTA (2019). K-12 Guidelin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hat Students Should Know. Retrieved from https://github.com/touretzkyds/ai4k12/wiki. 

  5. 이은경 (2020).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1), 37-44. 

  6. Wong, G., Ma, X., Dillenbourg, p., & Huan, J. (2020). Broaden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K-12: where to start? ACM Inroads, 11(1), 20-29. 

  7. 김자미.우호성.양혜지.김민정.김성희.이소율.김보선.김영애.곽지혜.최현종.정인기.이영준.이원규 (2020). 2022년 개정을 위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제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1), 1-28. 

  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차세대 소프트웨어(SW)교육 표준모델 개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9. 김갑수.박영기 (2017).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1), 137-147. 

  10. 이영호 (2019).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인공지능 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2), 189-196. 

  11. 류미영.한선관 (2019).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83-590. 

  12. Wong, G., Ma, X., & Huan, J. (2019). When Schools Meet Artificial Intelligence in Hong Kong. BACM Inroads, 10(4), 43-46. 

  13. 김현철 (2019). 초중고 AI 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제언. 2019 AI 융합교육 정책자료집. 한국과학창의재단. 

  14. Lindberg, T., Noweski, C., & Meinel, C. (2010). Evolving discourse on design thinking: how design cognition inspires meta-disciplinary creative collaboration. Technoetic Arts: A Journal of Specluative Research, 8(1), 31-37. 

  15. Dunne, D., & Martin, R. (2006). Design thinking and how it will change management education: An interview and discuss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5(4), 512-523. 

  16. 이환철.이현숙.성정숙.정순원.김수환.김석희.김종혜.박주연.이병모 (2016). 초중등 SW 교육 실태조사 및 효과성 측정지표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7.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신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18. Brown, T. (2008).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issue 86(6), pp. 84-92. 

  19. Seidel, V. P. & Fixson, S. K. (2013). Adopting Design Thinking in Novice Multidisciplinary Teams: The Application and Limits of Design Methods and Reflexive Practice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0(S1), 19-33. 

  20. 김성인.김진수.강성주.김태영.윤지현 (2019). 아두이노를 활용한 디자인씽킹 기반의 중학생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1), 162-189. 

  21. Plattner, H. (2010). An Introduction to Design Thinking Process Guide. The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22. Kroper, M., Fay, D., Lindberg, T., & Meinel, C. (2010). Inte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Creativity and Emotions in Design Thinking Processes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Regulatory Focus Theory. I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Creativity ICDC 2010, Kobe, Japan, November 2010. 

  23. Kirschner, P. A. (2015). Do we need teachers as designers of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Instructional Science, 43(2), 309-322. 

  24. Norton, P., & Hathaway, D. (2015). In Search of a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ppropriating a Design Lens to Solve Problems of Practice. Educational Technology, 55(6), 3-14. 

  25. Carroll, M., Goldman, S., Britos, L., Koh, J., Royalty, A., & Hornstein, M. (2010). Destination, imagination and the fires within: Design thinking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Education, 29(1), 37-53. 

  26. Hsiao, H., Yu, K., Chang, Y., Chien, Y., Lin, K., Lin, C., Chen, J., Chen, J., & Lin, Y. (2017). The Study on Integrating the Design Thinking Model and STEM Activity Unit for Senior High School Living Technology Course. 2017 7th World Engineering Education Forum (WEEF), Kuala Lumpur, 383-390. 

  27. Ahmad, W., Sarlan, A., Rokhmah, S., Ahmad, R. (2017). Integrating design thiking approach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2017 7th World Engineering Education Forum (WEEF), Kuala Lumpur, 268-272. 

  28. 이지선 (2015). 컴퓨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 적용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1), 455-467. 

  29. 유예은.강인애.전용찬 (2018).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기반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감성지능의 향상 연구: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7). 163-175. 

  30. 윤혜진.강인애.강인성 (2019).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 메이커 정신 함양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5(2), 365-393. 

  31. 김종성 (2019).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 검증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씽킹(design Thikning)을 활용한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4(3), 129-140. 

  32. 이도현.윤지현.강성주(2015). 과학 교육에서 초.중등 학생의 집단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의 제안 및 타당성 검토 연구. 과학교육연구, 35(3), 443-453. 

  33. 홍정순.장환영 (2018). 초등학교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1309-1337. 

  34. 류기혁.이영주 (2019). 초등학생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739-761. 

  35. 이승철.김태영.김진수.강성주.윤지현. (2019).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1), 73-84. 

  36. 변현정 (2015).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3), 149-167. 

  37. 이민하 (2017).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8, 195-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