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갈등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고령친화마을 만들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on Conflict Experiences of Elderly Participants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 Focused on Creating an Aged-friendly Village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61 - 73  

임병우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친화마을 만들기를 위한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갈등경험을 탐색하여 갈등해결을 유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시 ◯◯구 ◯◯동에서 노인일자리 참여자 5명을 표본 추출하여 FGI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패러다임 모형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은 사회적, 경제적, 심리·신체적 참여동기로, 맥락적 조건은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단절, 삶의 경험 차이가 갈등유발에 영향을 미쳤다. 중심현상은 '경험과 역할의 차이'와 '심리·사회관계 기술의 차이'에 의해 갈등이 시작되고, 중재적 조건은 갈등해소를 위한 의사소통을 통해 대인관계 활성화, 능력 활용을 통한 사회통합, 규칙적인 사회활동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교육하기, 신뢰감 형성을 위한 상호지지, 성공적인 고령친화마을 프로그램 운영으로 노인일자리 갈등해소 전략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자신의 삶 찾기, 지역사회교류 활성화, 성취감 증가, 공동체 의식이 성장함으로써 노인일자리 갈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일자리 갈등 해결 유형은 교육 해결형, 상호지지 해결형, 성공 경험 해결형으로 유형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conflict resolution by exploring the conflict experienc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jobs for the elderly to create an elderly-friendly village. This study applied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data collection, a FGI was conduc...

주제어

참고문헌 (27)

  1. B. W. Lim. (2016). Jeongeup City Guidelines for Senior Cities. Jeongeup City.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kostat.go.kr/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ttps://www.kihasa.re.kr/ 

  4. Korea Financial Research Institute. (2019).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Elderly frequency in Korea. Seoul : Korea Financial Research Institute. 

  5. Welfare we create together through welfare. http://www.bokjiro.go.kr/ 

  6. J. M. Jang. (2019). November 22, 2019 Interview with Senior Representatives Participating in Senior jobs in Siheung 3-dong, Geumcheon-gu. 

  7. S. J. Lee. (2013). Analysis on the Social Network Effects of Senior job Placement Particip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9, 331-354. DOI : 10.21194/kjgsw..59.201303.331 

  8. S. Y. Kim, M. H. Lee & S. J. Chang. (2014). Identifying changes in Psychosocial Health of Elderly Participants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4, 371-393. DOI : 10.21194/kjgsw..64.201406.371 

  9. H. T. Ko. (2012). A cost-benefit Analysis o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Job Creation Project for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8, 61-88. DOI : 10.21194/kjgsw..58.201212.61 

  10. S. J. Go. (2017). The Effectivenes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From Depth Interview. Korean Local Autonomy Research, 59(2), 73-91. DOI : 10.38134/klgr.2017.19.2.073 

  11. Y. M. Park & B. K. Kim. (2015). The Study on the Effect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27(1), 243-264. 

  12. Y. H. Lee. (2017). A Project to Support the Elderly to Become Involed with Social Activities and Incerase their Satisfaction Living as Seniors. Journal of the Korean Welfare Practice Society, 8(1), 175-198. DOI : 10.12811/kshsm.2014.8.1.175 

  13. D. H. Lee. (2013). Creating an Aged-friendly urban Space. Busan Development Institute BDI Focus, 216, 1-12. 

  14. J. Y. Park. (2018). A Study on Evaluation of Physical Safety Factors for the Age-Friendly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34(3), 117-128. DOI : 10.5659/JAIK_PD.2018.34.3.117 

  15. K. H. Lee & S. Y. Kim. (2017). Develop Age-Friendly City Indicators : Focused on Measurable Indica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from the Older Persons'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Design Society, 4(18), 51-62. DOI : 10.38195/judik.2017.04.18.2.51 

  16. S. C. Han, I. S. Na & H. Y. Kim. (2018). Development and Adjustment of Age-friendly City Checklists in Korea: Focused on Seoul Southeastern four boroughs. Journal of Urban Policies, 9(1), 49-65. DOI : 10.21447/jup.2018.9.1.49 

  17. S. D. Chung, H. S. Jeon & A. Y. Song. (2015). The Influence of Age-friendly Community on The Self-perception of Aging among Korean Older Adult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ocial Science Research, 26(3), 29-46. DOI : 10.16881/jss.2015.07.26.3.29 

  18. H. K. Choi. (2016). A Study on Age-Friendly City Focusing on Community and Elderly Initiative Participation : The Case of British Columbia, Canada.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52, 83-114. 

  19. H. K. Choi. (2016). Policy Suggestion for a Vital Older-Friendly City. Busan Development Institute BDI Focus, 155, 1-12. 

  20. K. S. Lim. (2016). Activation Measures for Community Building Considering Aging Affinity. Journal of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9(4), 217-242. 

  21.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naver.com/ 

  22. Daum Encyclopedia.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v022mb110b1 

  23. J. U. Kim. (2015). The Study of Conflict Management Methodsfor Conflict Level : Focused on the Case of Political Leader and Military Leader"s Leadership Conflict in the Wartime. Korean Journal for the Conflict Management Studies, 2(1), 231-258. 

  2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8). A Basic Study on Creating an Elderly-friendly Village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5. A. Strauss & J.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6. EG. Guba & Y S. Lincoln. (1981).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SanFrancisco. 

  27. M. R. Hong Hyun, J. S. Kwon, H. K. Jang, M. Y. Lee & A. Y. Woo. (2008). The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social welfare. Seoul : Hak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