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에 대한 대학생의 지식, 인식, 태도와 예방행위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toward Particulate Matt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49 - 56  

김옥선 (케이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예방행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9년 12월 9일부터 2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한 후 180명의 자료를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태도, 인식, 예방행위는 100점으로 환산 시 각각 62.00점, 72.33점, 77.30점, 69.02점이었고, 지식, 인식, 태도와 예방행위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인식만이 미세먼지 예방행위 영향 요인으로 유의하였다(p<.001). 그러므로 미세먼지 노출 예방행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미세먼지 노출 예방행위 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toward particulate matter (PM)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PM preventive behavior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December 9 to December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미세먼지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미세먼지 예방 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므로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예방행위 영향요인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수준과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지식, 인식, 태도, 예방행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예방행위 영향 요인으로는 인식만이 유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0). Clean air conservation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May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B%8C%80%EA%B8%B0%ED%99%98%EA%B2%BD%EB%B3%B4%EC%A0%84%EB%B2%95 

  2.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20).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ttached table 1.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May 27]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D%99%98%EA%B2%BD%EC%A0%95%EC%B1%85%EA%B8%B0%EB%B3%B8%EB%B2%95%EC%8B%9C%ED%96%89%EB%A0%B9 

  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What is fine dust?, I can see it if I know correctly. [Brochure].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4. A. Jennifer. (2014). Fine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air pollut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U.S.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0(2), 322-330. DOI : 10.1093/geronb/gbu064 

  5. M. Brauer et al. (2012). Exposure assessment for estimation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outdoor air polluti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6(2), 652-660. DOI : 10.1021/es2025752 

  6. M. M. Dysart, B. R. Galvis, A. G. Russell & T. H. Barker. (2014). Environmental particulate (PM2.5) augments stiffness-induced alveolar epithelial cell mechanoactiv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PLoS One, 9(9), e106821. DOI : 10.1371/journal.pone.0106821 

  7. M. C. McCormack et al. (2011). Indoor particulate matter increases asthma morbidity in children with nonatopic and atopic asthma.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106(4), 308-315. DOI : 10.1016/j.anai.2011.01.015 

  8. Y. L. Hsieh, S. S. Tsai &, C. Y. Yang. (2013).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A case-crossover study in Taipei. Inhalation Toxicology. 28(8), 455-460. DOI : 10.3109/08958378.2013.804609 

  9. J. Madrigano, I. Kloog, R. Goldberg, B. A. Coull, M. A. Mittleman & J. Schwartz. (2013). Long-term exposure to PM2.5 and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1(2), 192-196. DOI : 10.1289/ehp.1205284 

  10. L. T. N. Ngoc, D. Park, Y. Lee & Y. C. Lee. (2017).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human skin diseases due to particulate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4(12), 1458 DOI : 10.3390/ijerph14121458 

  11. K. K. Lee. (2013). The fluctuation patterns of conjunctivitis cases caused by Asian dust storm (ADS): focused on the ADS density and the accuracy of ADS forecast.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30(1), 91-102. DOI : 10.7737/KMSR.2013.30.1.091 

  12. S. Y. Choi. (2019). Fine dust and eye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2(9), 486-494. DOI : 10.5124/jkma.2019.62.9.486 

  13. Korea Academy of Medical Sciences &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A guide to fine dust health rules,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s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ternet]. Osong: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Cited 2020 Febr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ontents.es?mida20304030400 

  14. S. H. Choi. (201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fine dust cognition,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2), 281-290. DOI : 10.5392/JKCA.2018.18.12.281 

  15. S. M. Koo & H. J. Kim.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knowledge, risk attitud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fine dust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7), 78-84. DOI : 10.5762/KAIS.2019.20.7.78 

  16. E. S. Park, H. J. Oh, S. H. Kim & A. R. Min. (2018).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ulate matter risk perception,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 20-29. DOI : 10.7586/jkbns.2018.20.1.20 

  17. H. B. Lim & J. S. Lee. (2020).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tic bias, subjective perception, risk perception, and future-time-perspectives in terms of particulate matter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Convergence Society, 11(9), 341-349. DOI : 10.15207/JKCS.2020.11.9.341 

  18. J. Joo. (2017). Explor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on health behavior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focused on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nd health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onvergence Society, 8(11), 4131-421. DOI : 10.15207/JKCS.2017.8.11.413 

  19. J. Joo. (2018). Exploration into effect of perception on health behavior regarding particulate matter(PM) among Korean collegians: centered on attribution styles, involvement, perceived haelth status, and preventive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onvergence Society, 9(7), 269-276. DOI : 10.15207/JKCS.2018.9.7.269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7 fine dust action tip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Cited 2017 November 17] Available from: https://me.go.kr/home/file/readDownloadFile2.do?fileId151609&fileSeq1&fileName604962075d4e379939ecd9d3bb096369ef788eca7cff069b0f5f19031db0f1263c9a72e1814c6a319a807566a7cafaa9&openYnY 

  21. Y. W. Kim, H. S. Lee & Y. J. Jang. (2015). A study of the public's perception and opinion formation on particulate matter risk-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s toward promotional news and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72(4), 52-91. 

  22. M. K. Park & G. S. Kim. (2020).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3), 431-443. DOI : 10.4040/jkan.19201 

  23. H. S. Park, M. S. Kim, S. H. Kim, R. Ma & M. S. Kim. (2020). The influence of awareness regarding particulate matter, perceived respiratory symptoms, and physical activitie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7(2), 95-105. DOI : 10.7739/jkafn.2020.27.2.95 

  24. Y. J. Jeong. (2017). A cogni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and countermeasures of the parents and childcare teachers toward and against particulate matter. Master dissertation. Sookmyong Woman's University, Seoul. 

  25. S. M. Kim et al. (2019). Comparison study of perception, knowledge and actions about particular matter risk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53(5), 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