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합면의 교모형태에 따른 치과용 모형 스캐너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dental model scanner according to occlusal attrition type 원문보기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JTD, v.42 no.4, 2020년, pp.313 - 320  

김동연 (폴드 치과기공소) ,  김지환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치의기공전공) ,  이범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치의기공전공) ,  이주희 (대전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김원수 (대전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박진영 (스마일치과기공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curacy of single crowns based on the type of occlusal surface. Methods: A single crown wax pattern was fabricated in three types of occlusal surface. The prepared wax pattern was replicated with silicone, and stone was injected to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관(single crown)의 교합면 교모도에 따른 모형 스캐너의 정확도 분석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합면 형태에 따라서 3차원 스캔된 데이터의 모형을 3차원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스캐너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스캐너는 비접촉식 스캐너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모형 스캐너의 단관 교합면 교모도에 따른 정확성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EJ. A study on the possession state of dental CAD/CAM system and usage satisfaction. J Tech Dent. 2020;42: 45-53. 

  2. Kim DY, Jeong ID, Kim JH, Kim HY, Kim WC. Reproducibility of different coping arrangements fabricated by dental micro-stereolithography: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s in metal copings. J Dent Sci. 2018;13:220-225. 

  3. Kim DY, Kim JH, Kim HY, Kim WC.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s in cobalt-chromium alloy copings fabricated using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J Prosthodont Res. 2018;62:56-64. 

  4. Kim JH, Kim KB. Analysis of the quality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digital light-processing technology. J Tech Dent. 2020;42:197-201. 

  5. Huang MY, Son K, Lee WS, Lee KB.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by three-dimensional analysis in single and 3-unit bridge abutment model: in vitro stud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9;57:102-109. 

  6. Lee JJ, Jeong ID, Kim CM, Park JY, Kim JH, Kim WC. Comparison of accuracy of digital data obtained by intraoral scanner and extra-oral scanner.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5;37:191-197. 

  7. Lee JJ, Park JY, Bae SY, Jeon JH, Kim JH, Kim WC. Evaluation of the model accuracy according to three types of dental scanner. J Dent Hyg Sci. 2015;15:226-231. 

  8. Persson A, Andersson M, Oden A, Sandborgh-Englund G.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a laser scanner and a touch-probe scanner. J Prosthet Dent. 2006;95:194-200. 

  9. Jeong HY, Choi YS. Functional and esthetic improvement through systematic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dures in patient with unaesthetic anterior teeth proportion because of tooth wear: a case repor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8;56:40-49. 

  10. Jeon CL.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dental attrition and estimated age from the auricular surface in a Joseon Dynasty population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0. 

  1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SO 12836:2012 Dentistry- digitizing devices for CAD/CAM systems for indirect dental restorations-test methods for assessing accuracy. Geneva: ISO, 2012. 

  12. Kim DY.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butment preparation angles o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using a blue light model scanner. J Adv Prosthodont. 2020;12:210-217. 

  13. Jeon JH, Kim DY, Lee JJ, Kim JH, Kim WC.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individual abutment impression, assessed with a blue light scanner. J Adv Prosthodont. 2016;8:214-218. 

  14. 3Shape. 3Shape dental system [Internet]. Copenhagen: 3Shape; [cited 2020 Oct 24]. Available from: https://ww2.3shape.com/ko-kr/products/dental-labs/cad-software. 

  15. Son K, Lee KB. Effect of tooth types on the accuracy of dental 3D scanners: an in vitro study. Materials (Basel). 2020;13:1744. 

  16. Park JM, Kim RJ, Lee KW. Comparative reproducibility analysis of 6 intraoral scanners used on complex intracoronal preparations. J Prosthet Dent. 2020;123:113-120. 

  17. Sim JY, Jang Y, Kim WC, Kim HY, Lee DH, Kim JH. Comparing the accuracy (trueness and precision) of models of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by digital and conventional workflows. J Prosthodont Res. 2019;63:25-30. 

  18. Kim DY, Lee KE, Jeon JH, Kim JH, Kim WC. Evaluation of the reproducibility of various abutments using a blue light model scanner. J Adv Prosthodont. 2018;10:328-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