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정보사회에서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인지와 태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Peopl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Focusing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11 - 19  

최아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인지 및 디지털기술 활용 등을 살펴보고 향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지정도에 따라 디지털정보 활용 측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지가 높은 그룹일수록 다양한 분야의 정보활용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중고령층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필요성을 많이 인지할수록,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령화 진전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시기로 디지털 격차 증대에 대한 우려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기술의 활용과 미래 지식정보기술의 인식과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중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정보 기술의 활용능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디지털 포용 관점에서 중고령층의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정보 역량과 활용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life,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wareness of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need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fidence in new technology, and attitude to mi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디지털 소외 계층으로 분류되고 있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의 환경변화인 미래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인지, 필요성, 태도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 포용 관점에서 디지털 기술이사회적 소통과 경제활동 등의 필수재로 인식하고 디지털 기회 확장을 위한 역할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중고령층은 고령화 진전으로 그 계층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갖으며 이전 고령층과는 다른 마인드를 갖고 있는 계층으로 이들의 니즈 또한 상이함에 따라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디지털 뉴딜은 디지털역량 강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됨에 따라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를 위한 생태계를 강화하고, 교육 인프라의 디지털화, 비대면 산업육성, 교통·수자원·도시·물류 등 기반시설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는 디지털 소외 계층으로 분류되고 있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의 환경변화인 미래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인지, 필요성, 태도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 포용 관점에서 디지털 기술이사회적 소통과 경제활동 등의 필수재로 인식하고 디지털 기회 확장을 위한 역할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디지털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중고령층을대상으로 이들의 디지털정보 활용능력과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인지도와 필요성 및 태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고령층(55세 이상)을 대상으로 새로운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식에 따른 디지털정보 활용 정도를 살펴보고, 디지털정보 역량과 활용수준, 미래 지능정보사회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중고령층은 기존 연구에서 5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고령층은 UN에서 제시된 정의에 따라 65세 이상을 고령자로 제시하고 있다.
  •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지와 태도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중고령층의 미래 지능사회에 대한 인지와 디지털정보 기술의 활용능력이 필수적인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최근 고령층에 대한 제2 의 인생,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새로운 기술 환경을 통한 환경변화가 예상되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기술 활용을 통해 중고령층의 삶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 활용하였다. 본 조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매년 수행하는 설문조사로 일반 시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과 정보이용 태도 및 기타 사항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디지털정보화 수준의 세부항목으로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 디지털정보화 역량수준, 디지털 정보화 활용수준이 있으며, 정보 이용태도 및 기타 세부항목으로 인터넷 비이용관련, 디지털기기 이용태도, 지능정보사회 관련 항목이 있다.
  • 중고령층은 기존 연구에서 5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고령층은 UN에서 제시된 정의에 따라 65세 이상을 고령자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층을 55세 이상으로 제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급격한 환경변화 특히, 디지털 환경변화는 정보에의 접근성 보다는 정보기술 활용을 통하여, 개인 삶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가설 2. 디지털정보 역량, 디지털정보 활용, 미래 지능정보사회 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 Wei. (2012). Number Matters: The Multimodality of Internet Use as an Indicator of the Digital Inequaliti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7, 303-318. DOI: 10.1111/j.1083-6101.2012.01578.x 

  2. N. Selwyn, S. Gorard, J. Furlong, L. Madden. (2003). Older adul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veryday Life, Aging & Society, 23, 561-582. DOI: 10.1017/S0144686X03001302. 

  3. NTIA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1998). Falling through the Net II: New Data on the Digital Divide. Retrieved September 29, 2004, from http://www.ntia.doc.gov/ntiahome/net2/. 

  4. A. Wilhelm. (2001). From Access To Outcomes. Benton Foundation. 

  5. J. P. Robinson, P. Dimaggio, E. Hargittai. (2003). New Social Survey Perspectives in The Digital Divide, IT&SOCIETY, 1(5), 1-22. 

  6. P. Norris. (2001).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A. van Deursen and J. van Dijk. (2011). Internet Skills and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Society, 13(6), 893-911. 

  8. K. Mossberger, C. J. Tolbert, M. Stansbury. (2003). Virtual Inequality: Beyond the Digital Divid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9. M. Ragnedda, M. L. Ruiu. (2017). Social Capital and the Three Levels of Digital Divide, Massimo Ragnedda and Maria Laura Ruiu (2017) Social capital and the three levels of digital divide. In Ragnedda M., Muschert G. eds. (2017), Theorizing Digital Divides, Routledge, 21-34. DOI: 10.4324/9781315455334-3 

  10. European Union. (2013). Survey of Schools: ICT in Education: Benchmarking Access, Use and Attitudes to Technology in Europe's Schools, European Union, Website. 

  11. K. Ariansyah, V. H. Anandhita, D. Sari. (2019). Investigating the Next Level Digital Divide in Indonesia, The 2019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and Engineering Science International Conference (TIMES-iCON2019). 

  12. K. Ariansyah. (2018).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on Improving Economic Welfare: An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n Rural Household, in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for Rural Development (IC-ICTRuDev), Badung Regency, Indonesia, 118-123. DOI: 10.1109/ICICTR.2018.8706868. 

  13. K. Das, M. Gryseels, P. Sudhir, and K. T. Tan. (2016). Unlocking Indonesia's Digital Opportunity, McKinsey&Company Indonesia, Jakarta. 

  14. C. S. Choi, Y. H. Im. (2020). Is Information Gap Associated with Income Gap? : An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News Usage in the Online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2), 105-13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0929. 

  15. S. Molnar. (2003). The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Proceedings of the IFIP Summer School, Risks and Challenges of Networked Society. Retrieved on August 10, 2019 from https://www.academia.edu/1308255/The_explanation _frame_of_the_digital_divide. 

  16. M. S. Yi. (2020). Study on the Influence of Digital Divide on Knowledge Gap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6(2), 119-143. DOI: https://doi.org/10.18859/ssrr.2020.5.36.2.119. 

  17. H. White. (2002).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of Thpsychosocial Impact of Providing Internet Training and Access to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Mental Health, 6(3), 213-221. https://doi.org/10.1080/13607860220142422 

  18. M. S. Furlong. (1989). An Electronic Community for Older Adults; The Senior Net, Journal of Communication, 39(3), 145-15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9.tb01048.x 

  19. M. Thompson. (1996). Computer Technology : How It Impacts the Lives of Older Adults, Ageing International, 23(1), 85-91. 

  20. N. Selwyn, S. Gorard, J. Furlong, L. Madden. (2003). Older adul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veryday Life, Aging & Society, 23, 561-582. DOI: 10.1017/S0144686X03001302. 

  21. J. E. Kubeck, S. A. Miller-Albrecht, M. D. Murphy. (1999). Finding Information on the World Wide Web, Educational Gerontology, 25, 167-183.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9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