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예측요인 분석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Analysis on Predictive Factors of Digital Accessibility Level of Middle-old Age Group: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7 no.1 = no.102, 2020년, pp.55 - 71  

김수경 (Dept. of Gerontology, Kyung Hee University) ,  신혜리 (Dept. of Gerontology, Kyung Hee University) ,  김영선 (Dept. of Gerontology, Kyung 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은 장애인, 청소년 등 다른 계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 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 및 정신건강 변인이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55세에서 84세에 해당하는 166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 모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 중고령자의 경우 비독거일수록, 여성 중고령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남·여성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accessi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as been increasing at a faster pace than other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digital accessibility of middle and older adults are scarce. In order to examine variables affecting accessibility to 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정보접근수준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을 분석할 때 성별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남성과 여성 집단으로 구분하여 장·노년층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밝혀진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연관성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체 및 정신건강요인 2가지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의 예측요인들을 살펴보았던 것에서 나아가 성별의 차이에 따른 집단 차이를 분석하여, 중고령자 집단 내에서도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프로그램 및 정책을 수행해야하는 필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의 분석 자료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예측변수를 함께 살펴보지 못한 한계를 갖고 있다.
  • 본 연구는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 1,661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 및 정신건강 변인들이 디지털정보접근수준에 미치는 독립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예측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쳤다.
  • 이상의 연구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2가지 요인으로 디지털정보접근수준 예측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경제수준, 거주 지역, 독거여부를 포함하였고 신체 및 정신건강요인에는 삶에 대한 만족도, 일상생활 만족도를 고려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디지털정보접근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의 특징은?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은 장애인, 청소년 등 다른 계층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 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알아본 남·여성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의 특성은?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55세에서 84세에 해당하는 166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 모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 중고령자의 경우 비독거일수록, 여성 중고령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남·여성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란? 디지털정보접근수준이란 디지털 격차의 구성요소인 접근, 역량, 활용 중 하나이며 2018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의하면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여부와 인터넷 상시 접속 가능 여부로 정의된다.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 및 인프라 구축 환경은 디지털 격차를 좁히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hn, J. (2006). "Digital Divide and Digital Literacy on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elfare."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 information Studies, 36, 78-108. 

  2. Baek, G., Bong, J. & Shin, Y.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nd Resolution Methods of the Smart Divide of Older Adults."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42(10), 1207-1221. 

  3. Baek, H. (2006).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overty among the Po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1), 5-39 

  4. Baek, S. (2003).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formation Inequ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2(4), 81-107. 

  5. Bandura, A. (1995). "Exercise of pers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334. 

  6. Boz, H. & Karatas, S. (2015). "A Review on Internet Use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ypriot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10(3), 182-191. 

  7. Campos-Castillo, C. (2015). "Revisiting the first-level digital divide in the United States: Gender and race/ethnicity patterns, 2007-2012."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3(4), 423-439. 

  8. Caplan, S. (2006). "Relations among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10(2), 234-242. 

  9. Choi, N. & DiNitto, D. (2013). "Internet use among older adults: association with health needs,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5(5), e97. 

  10. Fallows. & James. (2008). "The Connection Has Been Reset." Atlantic. Available at http://www.theatlantic.com/magazine/archive/2008/03/-ldquo-the-connection-has-been-resetrdquo/6650. 

  11. Gray, T., Gainous, J. & Wagner, K. (2017). "Gender and the digital divide in Latin America." Social Science Quarterly, 98(1), 326-340. 

  12. Hwang, H. & Hwang, Y. (2017). "Gaps and Reasons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in Korea : Focusing on Household Composition."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24(3), 359-386. 

  13. Hwang, Y., Park, N., Lee, H. & Lee, W. (2012). "Exploring Digital Literacy in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Generation Gap."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56(2), 198-225. 

  14. Intel Corporation (2012). "Women and the Web: Bridging the Internet Gap and Creating New Global Opportuniti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vailable at http://www.intel.com/content/www/us/en/technologyineducation/women-in-the-web.html. 

  15. Jang, S. (2016).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Elderly."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11(2), 149-170 

  16. Jason, G., Kevin, W. & Jason, A. (2015). "Civic Disobedience: Does Internet Use Stimulate Political Unrest in East-Asia?"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Politics, 12(2), 219-36. 

  17. John, P., Paul, D. & Eszter, H. (2003). "New Social Survey Perspectives on the Digital Divide." IT and Society, 1(5), 1-22. 

  18.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2016). "A Study on ICT Adoption and Use of the Aged and Policy Approaches to Improve Digital Welfare." 

  19. Katz, J. & Rice, R. (2002). "Social consequences of internet use: Acces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20. Kim, B. & Kim, J. (2009). "Mass Media & IT : A study on Digital Divide trigger factor of older people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35(2), 193-222. 

  21. Kim, H., Lee, M. & Kang, B. (201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Older Adults in Korea."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113-129 

  22. Kim, M. (2012).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Adaptation Abilities of Babyboomers on th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58, 303-324 

  23. Kim, M., Kang, Y., Jung, D. & Lee, G. (2013). "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The Academy of Qualitative Research, 14(1), 13-22. 

  24. Kim, S. (2005), "A Study on the factor influencing acceptance of S-DMB :based on distinction between groups about subscription and intention of acceptance."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5. Kim, Y., Cho, Y. & Suh, Y. (2017).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mong the Elderly: A Focus on Digital Literacy and Quality of Life" 

  26. Lee, B. & Myung, S. (2010). "The Perceived Effec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ternet use on Building Social Network for the Elderly People: The Case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Journal of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3(4): 151-179. 

  27. Lee, H., Hong, K. & Lee, J. (2014). "Survey on the Elderly People's Digital Divide in 2013." 

  28. Lee, H. & Lee, S.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Elderly People : Focusing on community, meeting, and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2), 1-7. 

  29. Lelkes, O. (2013). "Happier and less isolated: Internet use in old age." Journal of Poverty and Social Justice, 21(1), 33-46. 

  30. Linda, B., Marie, P. & Andrea, V. (2010). "Women on the Web. How Women Are Shaping the Internet. ComScore," Inc. Available at http://www.comscore.com/Insights/PresentationsandWhitepapers/2010/Women-on-the-Web-How-Women-are-Shaping-the-Internet 

  31. Min, Y. (2011). "The Digital Divide among Internet Users : An Analysis of Digital Access, Literacy, and Participation."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48(1), 150-187. 

  32. Nam-Gung, H., Kim, I. & Chun, H. (2017). "Study on the correlates of digital disparity among older Seoul resi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73-81. 

  3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2018 Survey of Digital divide." Ministry of Science and ICT.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4. Niehaves, B. & Plattfaut, R. (2014). "Internet adoption by the elderly: employing IS technology acceptance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age-related digital divide."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3(6), 708-726. 

  35. Norris, P. (2001).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in democratic societie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Opalinski, L. (2001). "Older adults and the digital divide: Assessing results of a web-based survey."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18(3-4), 203-221. 

  37. Park, C. & Jang, S. (2013). "The Smart Media of Elderly and Digital Welfare: focused on the access and use gap of smart device."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17(4), 79-105. 

  38. Park, S. & Jung, S. (2019).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Acces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and Social Network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9(3), 179-214. 

  39. Paul, G. & Stegbauer, C. (2005). "Is the digital divide between young and elderly people increasing?" First Monday, 10(10). 

  40. Reagon, J.(2002), "The difficult world of predicting telecommunication innovations: Fcators affecting adop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ociety: Audience and Use(pp. 65-87). Cresskill, NJ: Hampton 

  41. Shin, S. & Kim, D.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 Usage Level."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4(2), 227-267. 

  42. Shin, Y. & Koo, M. (2010).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4), 119-147. 

  43. Song, H. (2014). "Consideration to Influence Factor of Using Internet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gital Divide: Focus on Users' Digital Literacy, Perceived Awareness, and Self-efficac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8(2), 85-116. 

  44. Sum, S., Mathews, R., Hughes, I. & Campbell, A. (2008). "Internet use and loneliness in older adul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2), 208-211. 

  45. Tirado-Morueta, R., Hernando-Gomez, A. & Aguaded-Gomez, J. (2016). (Spain).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9(10), 1427-1444. 

  46. Warschauer, M. (2004), "Technology and social inclusion: Rethinking the digital divide." Cambridge, MA: MIT Press. 

  47. Wilson, K., Wallin, J. & Reiser, C. (2003). "Social stratification and the digital divid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21, 133-143. 

  48. Yang, S & Lim, J. (2019). "Factors Affecting on the Tendency of the Elderly's Smartphone Addiction :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a cognitive-behavioral model." Journal of public policy studies, 36(1), 207-230. 

  49. Yun, S. (2004). "The Study on the Acceptance Decision Factor of the Mobile Interne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3), 274-3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