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행복지수 영향요인에 관한 융복합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index of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nursing hospitals Convergence Researc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413 - 423  

주현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행복지수의 영향요인을 구조모형으로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 6개 요양병원 237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무력감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인지된 건강상태, 경제상태, 간호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행복지수를 66% 설명하였다. 경제상태는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를 통해 행복지수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접, 간접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원기간은 무력감과 간호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만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력감을 줄이고 인지된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개인별 상황에 맞는 지지체계 지원 및 간호중재 제공 등 통합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index for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nursing hospitals with a structural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237 people in 6 nursing hospitals in G city from July 1 to August 15, 2018, and analyzed with SPSS 18.0 and A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간접 효과 및 상대적 중요성를 확인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경제 상태와 입원기간을 외생변수로, 무력감과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를 내생변수로 하여 행복지수를 예측하기 위한 구조모형분석 연구로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개인적인 특성 중 경제 상태, 입원기간이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 상태를 통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의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통해 검정하는 구조모형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무력감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인지된 건강상태, 경제 상태, 간호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행복지수를 66% 설명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행복지수에 대한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경제상태, 입원 기간,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를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경제적인 부분에서 현실적인 지원과 대안과 다양한 의료복지제도 등 개인별 상황에 맞는 중재전략이 필요하고,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인적, 물적 지원, 국가차원에서 의료복지 시설과 전문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행복지수에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 경제 상태가 직접적으로 유의하였고 입원기간은 간호 만족도와 무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가설적 모형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정한 점이라 할 수 있겠다.
  •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규명된 개인적인 특성 중 경제상태와 갈수록 길어지고 있는 입원기간을 외생변수로 하고, 행복지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무력감, 간호만족도, 인지된 건강상태를 내생변수로 해서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s Korea. (2019). 2018 Life table press release. Retrieved December 7. 2019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871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Retrieved November. 2017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953&page1 

  3. Average length of stay in nursing hospitals and nursing homes by city and province among the deaths over 65 in 2017(2018. 10. 11). News of Dailymedi. from https://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35542&thread22r14 

  4. Y. H. Kim. (2013).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nursing satisfaction and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 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5. J. S. Shin, H. M. Kim & S. K. Hwang. (2004). Influence of self-esteem and family-support on powerlessness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3), 470-479. 

  6. H. J. Lee & K. H. .Kim. (2014). The role-expectation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and performance of gerontological nursing by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6(6), 642-652. DOI : 10.7475/kjan.2014.26.6.642 

  7. Y. H. Nam & J. R. .Nam. (2011).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4), 145-162. 

  8. D. S. Bailis, A. Segall, & J. G. Chipperfield. (2003). Two Views of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56, 203-217. DOI : 10.1016/S0277-9536(02)00020-5 

  9. K. B. Kim, S. E, Cho & Y. J. Lee. (2012). The impact factors that affect powerlessnes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2), 487-499. 

  10. O. S. ,Kim & S. J. Yang. (2007). Health status, sleeping, exercise, and nutrition of elderly women. Nursing Science-Ewha Womans University. 19(2), 1-9. . 

  11. S. J. Lee & E. W. Jeon.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y lives of the elderly and relevant variabl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 113-131. DOI : 10.13049/kfwa.2015.20.1.113 

  12. S. J. Gong, E. H. Lee & M. O. Ha.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constructs of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30, 141-169. 

  13. G. Turrell, J. W. Lynch, G. A. Kaplan, S. A. Everson, E. L. Helkala, J. Kauhanen & J. T. Salonen. (2002). Socioeconomic Position Across the Lifecourse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 Middle Ag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57(1), 43-51. DOI: https://doi.org/10.1093/geronb/57.1.S43 

  14. D. S. Choi. (2019).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Nursing Home Elderly's Hapines. Unpublished Doctor's Thesis. Keimyung Universi. Daegu. 

  15. M. S. Yoon & M. S. Lee. (2012).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happiness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2), 397-413. 

  16. K. S. So, H. J. Hwang & E. M. Kim. (2019). The Impact of Medical Utilization on Subjective Health and Happiness Index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conomic Level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3), 544-552. 

  17. J. W. Hwang & S. H. You.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happines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2), 191-222. 

  18. Y. H. Park.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Aging,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Happiness Index in the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9. H. J. Park & S. R. Suh. (1999).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powerless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hospit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1), 5-15. 

  20. S. H. Park & J. H. Lee. (2006). The Relationship among Powerlessn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1), 65-73. 

  21. G. S. Kim, "Structural equating model analysis, Hannarae Academy, Seoul, 2010. 

  22. J. F. Miller. (1983). Coping with chronic illness, ,Overcoming powerlessness,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23. J. M.. Park. (2001).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powerlessness of older resident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4. E. L. La Monica, M. T. Oberst, A. R. Madea & R. M. Wolf. (1986). Development of a patient satisfaction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9(1), 43-50. 

  25. E. K. Suh & J. S. Koo.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6-114. 

  26. S. A. Lee. (2015). Influence of Helplessness, Nursing Satisfaction, Perceived Health State on Happiness Index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imhae. 

  27. I. S. Ko. (2008). The Effects of Powerlessn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Family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hronic Geriatric Cases. Unpublished Maater's Thesis. Tamna University. Jeju. 

  28. K. S. Park, D. W. Hahn & J. I. Lee. (2004).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of old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2), 441-470. 

  29. C. G. Kim. (2015).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by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2), 108-119. DOI : 10.17079/jkgn.2015.17.2.108 

  30. D. H. Yoon. (2018). Convergent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45-354. DOI : 10.14400/JDC.2017.15.9.345 

  31. J. G. Lee. (2016). Influence of elderly income level on happiness ind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ge University. Gimhae. 

  32. K. M. Lee. (2016). The Effects of Nursing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djustment of the Elderly in Long-term Hospital. Unpublished Maater's Thesis. Kosin University. Pusan. 

  33. S. S Lee. (2009).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Senior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a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