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직장인의 건강상태, 노후준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n Aging Anxiety in Middle-Aged Work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15 - 325  

전호선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주현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직장인 대상으로 건강상태, 노후준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와 G시에 소재하는 기관 3개소에 근무하는 40~59세 중년 직장인 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노후준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노화불안 정도를 52% 설명하였다. 둘째, 건강상태가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를 통한 노화불안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49세와 50~59세 직장인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건강상태와 노화불안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노화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후준비에 대한 방안모색이 중요하며,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model of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retirement aging anxiety on middle-aged workers. The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263 40-59 year old middle-aged workers who work at three institutions in C and G cities. Results First, the variables affecting ag...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직장인의 노화불안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건강상태, 노후준비를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40~49세 과 50~59세 중년 직장인 집단을 대상으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외생변수로, 노후준비를 내생변수로 하여 노화불안을 예측하기 위한 구조모형분석 연구로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노화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통해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직장인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예측하기 위해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모수치와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노후준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노화불안을 52% 설명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직장인의 노화불안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건강상태, 노후준비를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40~49세 과 50~59세 중년 직장인 집단을 대상으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러나 중년기에 직장은 다니고 있으나 한창 일하는 40대와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50대의 세대적 특성에 차이, 신체적 노화 및 노후준비의 차이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노화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파악하고, 중년직장인의 연령에 따른 40~49세 집단과 50~59세 집단간 차이는 어떠한지 확인한 후 노화불안을 완화시키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 노화 적응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생주기에서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노화불안이란 늙어서 기능이 점차 쇠퇴하는 것에 대한 염려 또는 불안 등을 일컫는 말로 주로 인간발달 단계에서 중년기가 노년기 사람들보다 두려움과 불안을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인생주기에서 중년기는 안정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심감의 상승 시기이지만, 신체기능 감소로 노화를 실감하고[8], 노화로 인한 만성질환, 성인병 등의 유병률이 높으며, 정신적으로 우울, 공허함, 실패감과 같은 정서적,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역동적 시기이다[8]. 이처럼 중년기는 실제 노인들보다도 나이 드는 것에 대해 더 부정적이고 불안감을 크게 느끼는 것은[9] 이미 노인들은 노화과정을 겪으면서 이러한 감정에 대해 다소 낙관적이지만 중년기는 긴 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9].
노화불안이란 무엇인가? 노화불안이란 늙어서 기능이 점차 쇠퇴하는 것에 대한 염려 또는 불안 등을 일컫는 말로 주로 인간발달 단계에서 중년기가 노년기 사람들보다 두려움과 불안을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인생주기에서 중년기는 안정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심감의 상승 시기이지만, 신체기능 감소로 노화를 실감하고[8], 노화로 인한 만성질환, 성인병 등의 유병률이 높으며, 정신적으로 우울, 공허함, 실패감과 같은 정서적,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역동적 시기이다[8].
보건복지부의 2012년 조사 결과에도 나타난 노년의 삶에 대한 불안감에 대한 내용은 무엇인가? 이는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나라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신체 정신적인 노화와 기능 저화, 만성질환 증가와 장애 등은 개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힘들고, 한국사회의 안전망 부재는 다가올 긴 노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을 야기하고 있다[2]. 또한 보건복지부 2012년 조사 결과에서도 자신의 노후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을 성인의 89%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연구소의 은퇴준비현황과 의식수준을 조사한 보고서에서도 길어진 수명,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 등으로 인해 은퇴 준비에 대한 자신감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노후 불안감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 (2018). Elderly Statistics 2018 Retrieved July 29. 2019. from https://sgis.kostat.go.kr/publicsmodel. 

  2. J. Y. Im & J. H. Kim. .(2014).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Mediational Effects of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6(4), 1131-1149. 

  3. Samsung Life Retirement Research Institute. (2018). Retirement Readiness Index 2018 Report. Seoul. Retrieved July 25. 2019. from http://www.samsunglife.com/retirement/magazine/paper/list.html. 

  4. J. A. Yeom. (2015). Study on Menopausal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5. K. S. Han. (2007). Stress of the Mid-life Stag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5(4), 263-270. 

  6. J. H. Kim & W. Kim. (2015). Effects of Anxiety about Aging on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the Young,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0(68), 187-216. DOI : 10.21194/kjgsw..68.201506.187 

  7. S. M. Lynch.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8. Y. S. Seo. (2010). A Study on Middle Aged Men and Women's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Social Welfare Review, 15, 35-51. 

  9. M. H. Kim & S. O. Shin. (2014). Personality and Aging Anxiety in Midlife Adults: The Relationship of Five Factor Personality, Generativity and Aging Anxiety. The Korean Jouran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1-27. 

  10. H. S. Jeon. (2014). The Effects of the Locus of Control and Aging Anxiety on Preparation for Old Age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2), 243-254. 

  11. C. W. Jeong. (2015). Middle-aged Workers Impact on Health, Aging Anxiety, Retirement Prepa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imhae. 

  12. J. Han. (2011). The Roles of Self and Soc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elf-perception of ag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Ohio. USA. 

  13. H. G. Shin. (2012). Effects of Middle-aged Korean's Aging Anxiety Factors on Ageis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5, 33-64. 

  14. H. Y. Sung & A. R. Kim. (2017). Development of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for Retiree. Jeonju-si : National Pension Service. 

  15. National Pension Service. (2017). Results of the 6th Year Survey of the National Elderly Security Panel. Retrieved August 2. 2019. from http://news.nps.or.kr/enewspaper/articleview.php?master&aid2062&sid4&mvid235 

  16. S. R. Suh & H. J. Choi. (2013). Aging Anxiety and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4), 464-472. 

  17. Y. O. Jung & H. S. Oh. (2016).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Aging Anxiety of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1), 30-41. 

  18. I. H. Cho & Y. J. Kim. (2016).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Death Anxiety on Aging Anxiety of Middle Age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2), 179-188. 

  19. K. I. Shin. (2015). Aging Anxiety of Adult Women :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3), 329-346. DOI : 10.18205/kpa.2015.20.3.005 

  20. E. J. Cha & S. H. Lee. (2015). Effects of Depression,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on Aging Anxiety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05-2717. 

  21. J. S. Kim & S. Kang. (2012). Baby Boom Generations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ging Anxiety,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40-452. 

  22. J. H. Cho & B. H. Kim. (2012).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9(2), 259-266. 

  23. K. H. Hong & J. Y. Ha. (2015).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 A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1), 29-39. 

  24. Y. M. Choi. (2018).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on Preparation for Aging in Middle-aged Wome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Jeonbuk Wanju. 

  25. K. B. Son. (2013). Effects of the Life Style, Condition of Health, Leisure Activity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26. G. S. Kim. (2010). Structural equating model analysis, Hannarae Academy, Seoul. 

  27. K. H. Lim. (2002). A Study on Shifting Nurses' Health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8. K. H. Bae. (1989). A Study on Preparation for Old Age of Adul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9. S. I. Hang. (2000). A Study on the Attitude of Elderly Lif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the Young-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30. K. M. Park. (2013). A Study of Middle Aged Women's Health Status, Preparation for the Aged,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31. K. P. Lasher & P. J. Faulkender.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32. W.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Anxiety about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7, 71-94. 

  33. D. S. Moon. (2017). The Effects of Middle-aged Preparati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ging Anxiety: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and Gender Comparis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34. S. Y .Lim. (2014).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Aging Anxiety in Middle-aged Adults. International Theological Journal, 16, 233-254. 

  35. J. S. Kim. (2018). A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in Middle Aged Adults: Personal Psychological, Family and Social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36. M. S. Ko & S. H. Kim. (2013). Influences of the Current Health Status upon Health-related Preparation Behavior for Later Life of Adul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Expectation in Later Lif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9(2), 63-75. 

  37. H. J. Lim. (2002).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aged in the Middle-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8. S. H. Hwang. (2015). Effects of Life Styles and Health Conditions on Preparation for Later Life with the Physically Challenged in Middle and Older Ag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