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주산 병풀 용매추출물의 활성성분과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Bioactive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entella asiatica Cultured in Chungju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6, 2020년, pp.692 - 701  

신현영 (고려대학교 의생명융합과학과) ,  김훈 (경희대학교 피부생명공학센터) ,  정은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김정은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이경행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배윤정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유광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ntella asiatica (CA) has been widely used as herbal plants. It is a valuable resourc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A cultivated in Chungju, Korea (Good tiger care). After preparing water (cold-water, CA-WE; hot-water, CA-HWE) an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증가하고 있는 병풀의 수요에 비해 국내 재배 병풀을 이용한 생리활성 및 성분분석 등의 과학적인 결과는 매우 부족한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 충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병풀(Good tiger care 품종)로부터 4종의 용매(냉수, 열수, 50%와 70% 주정) 추출물을 조제한 후 병풀에서 주요한 생리활성 성분으로 보고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pentacyclic triterpenoid 화합물을 분석하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검토하여 국내산 병풀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함과 함께 지역농산물 활용증진에 따른 농가의 소득증대를 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마크로파지 세포는 체내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주된 세포로(Chen 등 2001; Lee와 Kang 2020), 본 연구에서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인 LPS로 염증이 유도된 마우스 유래 RAW 264.7 대식세포주에서 염증 유발 물질인 TNF-α와 NO 생성에 병풀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항염증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RAW 264.
  • 원료 자원이다. 본 연구는 충북 충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Good tiger care 품종의 병풀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매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주요한 활성성분 함량과 함께 항산화와 항염증활성을 평가하여 지역농산물로서 병풀의 산업적 활용가능성과 농가소득 확대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병풀로부터 물(냉수, CA-WE; 열수 추출물, CA-HWE)과 주정 추출물(50%, CA-50E; 70%, CA-70E)을 조제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및 주요 triterpenoid 함량분석과 함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된 병풀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추출용매 하에서 병풀의 주요한 활성성분으로 보고된 화합물의 함량과 함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최근 병풀은 화장품 또는 의약품 원료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고려하여 추출용매는 식품용으로 사용이 허가된 물과 주정만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 또한 Kil 등(2018)은 최근 국내 합천지방에서 재배되는 병풀의 생육부위별 유효성분을 비교하였는데,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정확한 수치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잎자루(petiole) 또는 잎+잎자루(leaf+petiole)과 비교하여 잎 (leaf)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풀의 전초를 활용하기 위하여 건초에 대한 용매 추출물을 조제한 것으로 폴리페놀 함량(9.0~28.0 mg/g)이 다소 적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향후 잎만의 용매 추출물을 조제하여 건초의 용매추출물과 비교하고자 한다.
  • 2B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으로서 항염증 활성이 이미 보고된 바 있는 dexamethasone(20 μg/mL)을 사용하여 시료의 TNF-α 억제활성과 비교하고자 하였다(Jeon 등 2000). PC 대조군에서는 106.
  • 최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동일원료(Good tiger care) 의주정 추출물은 TNF-α와 IFN-γ(T+I) 유도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HaCaT 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매개 물질인 cyclooxy- genase-2와 IL-6를 억제하는 항아토피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Lee 등 2020).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HaCaT 세포를 이용한 피부염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NF-α와 IFN-γ(T+I)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피부세포에 작용하여 IL-6와 IL-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조직의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Kim 등 2002; Yang 등 2015),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병풀 추출물 처리가 IL-6와 IL-8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충주지역 병풀 추출물의 원료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는 triterpenoid인 asiaticoside 또는 madecassoside가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본연 구진은 향후 병풀의 다양한 품종 및 건조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충주지역 병풀의 장점을 부각시킴으로써 수입산 병풀을 대체하고 지역농산물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Quercetin equival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70-76 

  2. Bylka W, Znajdek-Awizen P, Studzinska-Sroka E, Brzezinska M. 2013. Centella asiatica in cosmetology. Postepy Dermatol Alergol 30:46-49 

  3. Chen YC, Shen SC, Lee WR, Hou WC, Yang LL, Lee TJF. 2001.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s and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ducible NOS and cyclooxygenase-2 gene expressions by rutin, quercetin, and quercetin pentaacetate in RAW 264.7 macrophages. J Cell Biochem 82:537-548 

  4. Goo YM, Kil YS, Sin SM, Lee DY, Jeong WM, Ko K, Yang K, Kim YH, Lee SW. 2018. Analysis of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skin-whitening effect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J Plant Biotechnol 45:117-124 

  5. Ha JH, Kwon MC, Kim SS, Jeong MH, Hwang B, Lee HY. 2010. Enhancement of skin-whitening and UV-protective effects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by ultrasonifica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18:79-85 

  6. Ha JH, Kwon MC, Kim Y, Jeong SS, Jeong MH, Hwang B, Lee HY. 2009. Enhancement of immuno-modulatory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with edible polymer through nanoencapsula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17:257-265 

  7. Jamil SS, Nizami Q, Salam M. 2007. Centella asiatica (Linn.) Urban: A review. Indian J Nat Prod Resour 6:158-170 

  8. Jeon YJ, Han SH, Lee YW, Lee M, Yang KH, Kim HM. 2000. Dexamethasone inhibits IL-1β gene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y blocking NF-κB/Rel and AP-1 activation. Immunopharmacol 48:173-183 

  9. Jo CH, Kim SY, An IS. 2014. The improving effect of Centella asiatica extracts on erythema on scalp of aged 20-50's women. Korean J Aesthet Cosmetol 12:921-927 

  10. Kil YS, Sin SM, Lee DY, Min JW, Yang KJ, Lee SW, Kim YH, Goo YM. 2018. Analysis triterpene glycoside leve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different shoot tissues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J Life Sci 28:917-922 

  11. Kim OT, Kim MY, Kim SJ, Kim YJ, Kim KS, Ahn JC, Kim SW, Hwang B. 2002. Seasonal variations of triterpene glycosides contents in the leaf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Korean J Med Crop Sci 10:375-378 

  12. Kwon KJ, Choi SJ, Yoon YM. 2012. Improving effects of the cleanser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s and charcoal and pearl powder on the facial skin. Asian J Beauty Cosmetol 10:581-586 

  13. Lee J, Myung CH, Lee JE, Jo MR, Kim HS, Lee NY, Woo H, You J, Jo H, Hwang JS. 2019. Anti-inflammato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Centella extracts fermented in Jeju lava water. J Soc Cosmet Sci Korea 45:363-372 

  14. Lee Y, Choi HK, N'deh KPU, Choi YJ, Fan M, Kim EK, Chung KH, An JH. 2020. Inhibitory effect of Centella asiatica extract o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HaCaT cells and BALB/c mice. Nutrients 12:411 

  15. Lee YY, Kang SA. 202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Korean J Food Nutr 33:483-492 

  16. Mahmood A, Tiwari AK, Sahin K, Kucuk O, Ali S. 2016. Triterpenoid saponin-rich fraction of Centella asiatica decreases IL-1β and NF-κB, and augments tissue regeneration and excision wound repair. Turk J Biol 40:399-409 

  17. Marinova D, Ribarova F, Atanassova M. 2005.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in Bulgarian fruits and vegetables. J Univ Chem Technol Metall 40:255-260 

  18. Orhan IE. 2012. Centella asiatica (L.) Urban: From traditional medicine to modern medicine with neuroprotective potential. Evid Based Complementary Alternat Med 2012:946259 

  19. Pittella F, Dutra RC, Junior DD, Lopes MTP, Barbosa NR. 2009.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Centella asiatica (L) Urb. Int J Mol Sci 10:3713-3721 

  20. Rafamantanana MH, Rozet E, Raoelison GE, Cheuk K, Ratsimamanga SU, Hubert P, Quetin-Leclercq J. 2009. An improved HPLC-UV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triterpenic glycosides and aglycone in leaves of Centella asiatica (L.) Urb (Apiaceae). J Chromatogr B 877:2396-2402 

  21. Ryu BS, Choi HE, Choi WS, Lee NH, Choi UK. 2017.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pine tree. Korean J Food Nutr 30:1133-1139 

  22. Schaneberg BT, Mikell JR, Bedir E, Khan IA. 2003. An improved HPL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ix triterpenes in Centella asiatica extracts and commercial products. Pharmazie 58:381-384 

  23. Singh J, Sabir F, Sangwan RS, Narnoliya LK, Saxena S, Sangwan NS. 2015. Enhanced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 and pathway gene expression by leaf explantsinduced direct root morphotypes are regulated by combination of growth regulators and culture conditions in Centella asiatica (L.) urban. Plant Growth Regul 75:55-66 

  24. Stankovic MS. 2011. Total 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rrubium peregrinum L. extracts. Kragujevac J Sci 33:63-72 

  25. Suguna L, Sivakumar P, Chandrakasan G. 1996. Effects of Centella asiatica extract on dermal wound healing in rats. Indian J Exp Biol 34:1208-1211 

  26. Tatmiya RN, Chundasama KS, Jhala VM, Thaker VS. 2014. Screening of proper leaf size in Centella asiatica for antioxidant potential and separation of phenolics using RP-HPLC. J Appl Pharm Sci 4:043-047 

  27. Tenni R, Zanaboni G, De Agostini MP, Rossi A, Bendotti C, Cetta G. 1988. Effect of the triterpenoid fraction of Centella asiatica on macromolecules of the connective matrix in human skin fibroblast cultures. Ital J Biochem 37:69-77 

  28. Yang JH, Hwang YH, Gu MJ, Cho WK, Ma JY. 2015. Ethanol extra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suppress TNF-α/IFN-γ-induced pro-inflammatory chemokine production in HaCaT cells. Phytomedicine 22:1262-1268 

  29. Zaidan MR, Noor Rain A, Badrul AR, Adlin A, Norazah A, Zakiah I. 2005. In vitro screening of five local medicinal plants for antibacterial activity using disc diffusion method. Trop Biomed 22:165-170 

  30. Zainol MK, Abd-Hamid A, Yusof S, Muse R.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leaf, root and petiole of four accessions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Food Chem 81:575-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