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루머 행동에 대한 온라인 환경 요인의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Online Environmental Factors on Online Rumor Behavio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45 - 52  

김한민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루머는 피해자에게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이미지 손실을 발생시킨다. 온라인 루머 관련 선행 연구들은 온라인 루머가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환경 요인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루머에 대한 온라인 특성의 영향력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된 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 인지된 전파성을 온라인 특성으로 고려하였으며, 온라인 특성이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를 거쳐 온라인 루머 행동으로 이어지는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 201명의 표본을 확보하였으며, PLS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모델을 검증 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익명성과 인지된 전파성은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를 거쳐 온라인 루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적 실재감 부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발견은 개인의 온라인 루머 행동이 온라인 특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루머 행동에 대해 인지된 익명성과 인지된 전파성의 역할을 주목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rumor creates psychological stress and image loss for victims. Prior studies related to online rumor did not consider the online environmental factor, despite the fact that online rumor occurs in the online spa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nline characteris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과 온라인 루머 행동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으로 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 전파성을 적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들인 인지된 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 인지된 전파성이 온라인 루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고자 한다. 또한, 행동에직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태도를 루머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활용하고자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들인 인지된 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 인지된 전파성이 온라인 루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고자 한다. 또한, 행동에직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태도를 루머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활용하고자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루머 행동에 대한 온라인 환경 요인들의 영향력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에 앞서 박사 과정 학생 5명과 석사 과정 학생 8명에게 설문 항목의 문맥과 타당성을 점검받았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온라인 루머 행동에 대해 온라인 환경 요인의 영향력을 발견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지 않았다. 온라인 루머 출처에 대한 불분명성, 개인적 관여도 등의 요인들도 본 연구의 모델에서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과 온라인 루머 행동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 요인으로 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 전파성을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잠재 개념들의 판별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개념의 AVE 제곱근 값과 개념들 간 상관계수를비교 분석하였다. 아래 Table 3를 살펴보면 모든 개념의AVE 제곱근 값이 각각의 개념들 간의 상관계수 값을 상회하고 있다.
  • 하지만 루머에 대한 태도의 선행 변수로 온라인 환경 요인을 주목한 연구는 거의 수행 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기존 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온라인 환경 요인과 루머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의 선행 요인들이 인지된 익명성과 인지된 전파성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온라인 루머가 현실과는 다른 온라인 환경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시작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학문적 갈증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온라인 루머를 설명하는데 있어 인지된 익명성과 인지된 전파성의 역할을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향후 온라인 루머 연구에서 온라인 환경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현상에 대한 이해와 대응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현상에 대한 충분한 인식과 설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온라인 루머가 현실과는 다른 온라인 환경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시작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학문적 갈증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온라인 루머를 설명하는데 있어 인지된 익명성과 인지된 전파성의 역할을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의 실무적 기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본 연구는 온라인 루머 행동을 줄이기 위해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제안한다. 익명성이 온라인 루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온라인 루머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할 때 이론적 증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 인지된 익명성은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사회적 실재감 부족은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인지된 전파성은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온라인 루머에 대한 태e도는 온라인 루머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 Kwan, M. Cha, K. Jung, W. Chen & Y. Wang. (2013). Prominent Features of Rumor Propagation in Online Social Media. 2013 IEE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pp. 1103-1108). Dallas, TX, USA. DOI : 10.1109/ICDM.2013.61 

  2. K. Abbott & W. Makowsky. (September 27, 2010). Korean Pop Star Battles Attacks on Stanford Record. The Stanford Daily. http://www.stanforddaily.com/2010/09/27/korean-pop-star-battles-attacks-on-stanford-record/. 

  3. S. Vosoughi, D. Roy & S. Aral. (2018). The spread of true and false news online. Science, 359(6380), 1146-1151. DOI : 10.1126/science.aap9559 

  4. W. Jong & M. L. Duckers. (2016). Self-correcting mechanisms and echo-effects in social media: An analysis of the "gunman in the newsroom" crisi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9, 334-341. DOI : 10.1016/j.chb.2016.02.032 

  5. P. B. Brandtzaeg & A. Folstad. (2017). Trust and distrust in online fact-checking services. Communications of the ACM, 60(9), 65-71. DOI : 10.1145/3122803 

  6. O. Oh, M. Agrawal & H. R. Rao. (2013). Community intelligence and social media services: A rumor theoretic analysis of tweets during social crises. Mis Quarterly, 37(2), 407-426. 

  7. A. Y. Chua & S. Banerjee. (2018). Intentions to trust and share online health rumors: An experiment with medical professional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7, 1-9. DOI : 10.1016/j.chb.2018.05.021 

  8. P. B. Lowry, J. Zhang, C. Wang & M. Siponen. (2016). Why Do Adults Engage in Cyberbullying on Social Media? An Integration of Online Disinhibition and Deindividuation Effects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Social Learning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7(4), 962-986. DOI : 10.1287/isre.2016.0671 

  9. M. J. Moore, T. Nakano, A. Enomoto & T. Suda. (2012). Anonymity and roles associated with aggressive posts in an online foru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3), 861-867. DOI : 10.1016/j.chb.2011.12.005 

  10. C. Barlett, K. Chamberlin & Z. Witkower. (2017). Predicting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emerging adults: A theoretical test of the Barlett Gentile Cyberbullying Model. Aggressive behavior, 43(2), 147-154. DOI : 10.1002/ab.21670 

  11. H. M.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Characteristics and Malicious Comments on Facebook : The Role of Anonymity and Dissemin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5(1), 87-104. DOI : 10.21219/jitam.2018.25.1.087 

  12. D. M. Hite, T. Voelker & A. Robertson. (2014). Measuring perceived anonymity: The development of a context independent instrument. Journal of Methods and Measurement in the Social Sciences, 5(1), 22-39. DOI : 10.2458/azu_jmmss_v5i1_hite 

  13. P. R. Lowenthal. (2010). Social presence. In Social computing: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pp. 129-136). IGI Global. 

  14. M. E. Jaeger, S. Anthony & R. L. Rosnow. (1980). Who hears what from whom and with what effect: A study of rum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6(3), 473-478. DOI : 10.1177/014616728063024 

  15. N. DiFonzo & P. Bordia. (2007). Rumor psychology: Social and organizational approach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6. S. A. Thomas. (2007). Lies, damn lies, and rumors: an analysis of collective efficacy, rumors, and fear in the wake of Katrina. Sociological Spectrum, 27(6), 679-703. DOI : 10.1080/02732170701534200 

  17. J. H. Kim & G. W Bock.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Of Spreading Online Rumors: Focusing On The Rumor Recipient's Emotions. In PACIS. (pp. 1-17). Queensland, Australia. 

  18. P. J. Kalbfleisch. (2003). Credibility for the 21st century: Integrating perspectives on source, message, and media credibility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In Communication yearbook 27. (pp. 307-350). Routledge. 

  19. L. Ling-han, Q. Jia-yin & Y. Chao-yang. (2013). How does praise and rumor spread online? Analyzing user relationships on social networks: A case study of Haidilao. In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Science and Engineering 20th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 57-65). IEEE. 

  20. Y. J. Song & S. I. Kim. (2017). The Rational Regulation of Illegal & Harmful Information in Cyberspa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31-236. DOI : 10.15207/JKCS.2017.8.9.231 

  21. B. A. Reinig & R. J. Mejias. (2004).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and anonymity on flaming and criticalness in GSS-supported discussions. Small Group Research, 35(6), 698-723. DOI : 10.1177/1046496404266773 

  22. Z. Jiang, C. S. Heng & B. C. Choi. (2013). Research note-privacy concerns and privacy-protective behavior in synchronous online social inter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4(3), 579-595. DOI : 10.1287/isre.1120.0441 

  23. T. Postmes & R. Spears. (1998). Deindividuation and antinormative behavior: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3(3), 238-259. 

  24. D. Cyr, M. Head, H. Larios & B. Pan. (2009). Exploring human images in website design: a multi-method approach. MIS quarterly, 33(3), 539-566. DOI : 10.2307/20650308 

  25. C. H. Tu & M. McIsaac. (2002).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6(3), 131-150. DOI : 10.1207/S15389286AJDE1603_2 

  26. R. Holmes. (2017). Eradicating Cyber Bullying: Through Online Training, Reporting & Tracking System. AuthorHouse. 

  27. P. B. Lowry, G. D. Moody, & S. Chatterjee. (2017). Using IT design to prevent cyberbullying.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34(3), 863-901. DOI : 10.1080/07421222.2017.1373012 

  28. T. A. Pempek, Y. A. Yermolayeva & S. L. Calvert. (2009).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ing experiences on Facebook.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3), 227-238. DOI : 10.1016/j.appdev.2008.12.010 

  29. Y. Y. Huang & C. Chou. (2010). An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of cyberbullying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aiwa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6), 1581-1590. DOI : 10.1016/j.chb.2010.06.005 

  30. N. Antoniadou & C. M. Kokkinos. (2015). Cyber and school bullying: Same or different phenomena?.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5, 363-372. DOI : 10.1016/j.avb.2015.09.013 

  31. M. Fishbein & I. Ajzen. (1975). Beliefs,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2. J. S. Kang, J. W. Oh & M. Y. Lee. (2017). Convergence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to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91-100. DOI : 10.15207/JKCS.2014.5.4.069 

  33. S. Yang. (2015).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73-88. DOI : 10.15207/JKCS.2015.6.4.073 

  34.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DOI : 10.1177/002224378101800104 

  35. W. W. Chin. (1998). Commentary: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