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Depression of Main Caregiver for Elderly in Korean Nursing Hom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231 - 240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김은정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주 돌봄 제공자의 우울 정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G도에 위치한 5개의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주 돌봄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iam을 이용하여 208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에 차이를 보인 특성은 확대가족인 경우, 요양시설 입소 기간이 5년 미만이며 입소 결정자가 가족이며 입소비용이 많고, 요양시설까지의 거리가 1시간 이내, 요양시설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할 때 우울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pression of the main caregivers for the elderly in Korea by using a descriptive survey study. A total of two hundred eight participants who admitted at five nursing homes located in G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요양 시설에 노인을 입소시킨 주 돌봄자의 우울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에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가족의 형태에서 확대가족이 핵가족보다 유의하게 우울 점수가 높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우울 점수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따라서 요양시설에 노인을 입소시킨 돌봄 제공자의 정서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요양시설 입소 후에도 노인과 주 돌봄자의 긍정적인 관계를 돕고 주 돌봄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겪는 부담감은 무엇인가? 가족 내 질환을 가진 노인이 요양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경우 가족은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게 되며, 요양 시설에 입소한 노인을 돌보는 가족은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부담감을 경험하게 된다[5-7]. 특히 효를 가장 중요한 덕목의 하나로 강조하는 유교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자녀가 부모를 요양시설에 입소시키는 행위는 늙고 병든 부모를 버린다는 인식 때문에 정서적 부담과 함께 사회적 오명에서 비롯되는 심리적 부담감이 상당하다[8].
노인을 요양시설에 입소시킨 뒤 입소노인 가족이 느끼는 감정으로 무엇이 있는가? 노인을 요양시설에 입소시킨 뒤 입소노인 가족이 느끼는 감정으로는 부모를 요양시설에 모시는 것이 불효라는 생각, 죄스럽고 미안한 마음, 노후의 자신의 모습일 것 같은 감정이입 등이 있다[5]. 현실적인 문제로 노인을 요양시설에 입소시켰지만 요양시설 입소 후에도 돌봄 제공자의 역할 변화만 있을 뿐 돌봄 부담으로 인 한 죄책감은 여전히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11].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의 우울에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가족의 형태에서 확대가족이 핵가족보다 유의하게 우울 점수가 높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우울 점수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돌봄 관련 특성에서는 요양시설 입소 기간이 5년 미만과 5년 이상에서 우울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5년 미만의 대상자가 5년 이상보다 우울 점수가 높았다. 또한, 요양시설 입소 결정자가 가족인 경우가 연구대상자 본인인 경우보다, 그리고 요양비 정도가 높거나 요양시설까지의 거리가 1시간 이내로 가까운 경우, 요양 시설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 우울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돌봄자에게 나타나는 우울은 주 돌봄자의 삶의 질의 저하는 물론이고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과 그 가족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요양시설 입소노인 주 돌봄자들에게 노인의 요양 시설 입소 초기에 우울 감소를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때 본 연구결과의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국가정책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원을 요청할 때에도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보길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W. Hong., & H. M. Soon. (2007). Family Caregivers' Expreience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Their Elder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7(5), 724-735. DOI : 10.4040/jkan.2007.37.5.724 

  2. C. J. Park. (2015). Determinants of Long Term Care Service types of Family Caregiver.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0, 31-51. DOI : 10.21194/kjgsw..70.201512.31 

  3. Y. H. Park., S. J. Yu., & M. S. Song. (1999). Caregiver burden of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and their Needs for Support Group Interven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2), 384-395. 

  4. J. G. Lim., E. J. Hong., & J. Y. Lee. (2010). Comparis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ing Elderly C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4, 255-275. 

  5. W. H. Kim., C. Y. Park., J. J. Y., & I. M. Kang. (2003). A Qualitative Analysis on Familial Caregivers' Burden in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3(1), 1-22. DOI : 10.4332/KJHPA.2003.13.1.001 

  6. J. Y. Lee., & Y. A. Kim. (2009).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gi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41-48. 

  7. S. H. Lee. (2010). Feeling of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Elder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2(1), 69-92. 

  8. Y. J. Lee., J. H. Kim., & K. B. Kim. (2000). An Ethnography on Stigma of Families Having Old People Admitted to Nursing Hom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3), 1005-1020. 

  9. J. H. Seomun., & Y. J. Jung. (2011). A Qualitative Study on Caregivers' Burden Experiences for the Long-term Care Qualified Elderly. Journal of Social Science, 22(4), 3-30. 

  10. H. J. Yoo. (2013). A Study on the Conflict Among Siblings Regarding the Long-term Care of Older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0, 63-91 DOI : 10.16975/kjfsw.2013..40.003 

  11. M. S. Lee. (2009).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aregiving burden of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entering nursing home. Korean Journal of Care Work, 11, 27-43. 

  12. B. E. Barba., & T. Anita. (2001). Family Caregivers Attitudes Toward Aging, Caregiving, and Nursing Home Placement.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 44-52. DOI : 10.3928/0098-9134-20010801-12 

  13. G. H. Youn. (1998). Cultur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den and Caregiving Obligation of Primary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8(1), 75-90. 

  14. E. G. Yun. (2010). A research on the how caregiving burden for the frail elderly effect on caregiver's guilt : Comparing between home-care elderly and nursing hom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7, 289-308. DOI : 10.21194/kjgsw..47.201003.289 

  15. K. S. Kim. (2017). Qualitative Case Study on Care Problem and Function of Family of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9(2), 49-59. 

  16. S. H. Kwon., & Y. S. Tae. (2012). The Experience of Adult Korean Children Caring for Parents Institutionalized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41-54. DOI : 10.4040/jkan.2014.44.1.41. 

  17. K. K. Chon., S. C., Choi., & B. C. Yong.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18. G. J. Park. (2005). A Study on People's Burden of Nursing Their Elderly Family Members and Their Hospitalization into Nursing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Yonsei. Seoul. Korea. 

  19. E. J. Han., R. I. Hwang., S. Y. Park., & J. S. Lee. (2019). Comparison of caregiving burdens among family members by the type of benefits in long-term care. Korea Social Policy Review, 26 (3), 93-116 DOI : 10.17000/kspr.26.3.201909.93 

  20. M. Fitting., P. Robins., M. J. Lucas., & J. Eastham. (1986). Caregivers for dementia patient; A comparison of husbands and wives. The Gerontologist, 26(3), 246-252. DOI : 10.1093/geront/26.3.248 

  21. J. Y. Lee. (2005).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scale of the Korean long term care hospital elderly inpat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Korea University of Korea, Seoul. 

  22. H. J. Ko. (2011) Factors Determining the Main Caregiver's Depression in Long Term Care Insurance-Comparison Based on Long Term Care Facility Us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Seoul. Korea. 

  23. Y. J. Kim., & P. S. Lee. (1999). A Study on the Burdens and Depressive Reactions on Families who Cared for Patients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4), 766-779. DOI : 10.4040/jkan.1999.29.4.766 

  24. F. O'Reilly., F. Finnan., S. Allwright., G. D. Smith., & B. Y. Shlomo. (1996). The effects of caring for a spouse with Parkinson's disease on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46, 507-512. 

  25. A. K. Motenko. (1989). The frustrations, gratification and well-being of dementia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29(2). 166-196. DOI : 10.1093/geront/29.2.166 

  26. J. Brown. (2012). The most difficult decision: Dementia and the move into residential aged care (Discussion Paper No. 5). North Ryde, NSW: Alzheimer's Australia NSW. 

  27. J. K. Goh., I. O. Hwang., & H. Y. Oh. (2009). The experiences of the newly admitted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ty, 29(2), 477-488. 

  28. Y. S. Young., & Y. R. Tak. (2014). Feelings of Guilt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after Nursing Home Placement fo Older Adults. Journal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3), 276-287. DOI : 10.17079/jkgn.2014.16.3.276 

  29. E. J. Kim., & K. M. Sung. An Integrated Review on Main Caregiver's Burden of Elderly in Korean Nursing Ho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267-277. DOI : 10.14400/JDC.2019.17.6.267 

  30. S. H. Mo., S. Y. Choi. (2013). Changes in Caregiving Burden of Families After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40, 7-31. 

  31. S. J. Han., S. Y. Lee., J. Y. Kim., & H. S. Kim.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Caregiver Burden for Patients with Dementia: A Literature Review. Korean Geroontological Nursing Society, 16(3), 242-254. DOI : 10.17079/jkgn.2014.16.3.242 

  32. J. Hennings., K. Froggatt., & S. Payne. (2013). Spouse caregivers of people with advanced dementia in nursing homes: A longitudinal narrative study. Palliative Medicine, 27(2), 683-691. DOI : 10.17079/jkgn.2014.16.3.2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