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이혼 유무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Undergraduates: Focusing on the Divorce Status and the Marital Conflict of their Par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379 - 387  

한영숙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양명숙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여부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은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부모의 이혼과 부부갈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혼을 하지 않은 부모들은 고갈등부모와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혼부모 자녀집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1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t-검증, 상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부모가 이혼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는 이혼하지 않은 부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커플관계탄력성은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부모의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의 대학생들이 가장 심리적인 적응의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자체보다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ents' divorce status and their parents' conflict. Specifically, students who have not-divorced par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have with a high degr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갈등관계에 놓여있는 부부의 경우 자녀를 삼각관계에 끌어들이면서 자녀의 자아분화가 방해를 받게 되어, 결국자아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26]. 그러나 대부분 연구들이 부모의 이혼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이혼 여부뿐만 아니라, 부모의부부갈등에 따른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 자녀들의 심리적 적응은 위의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정신건강과 커플관계 탄력성, 부모자녀관계 및 자아분화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 부모의 부부갈등은 자녀인 대학생들이 지각한 과거나현재의 경험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부모의 이혼여부와 부모의 부부갈등의정도에 따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생인 자녀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부부갈등과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 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이혼부모와 이혼을 하지 않은 결혼유지부모의 경우는 부부의 갈등이 심각한 상위 25%의고갈등부모와 갈등이 낮은 하위 25%의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 세집단간 심리적 적응문제의 차이를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 자녀들의 심리적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부모의 이혼 여부와 더불어 부모의 부부갈등의 정도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기 위하여, 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부모의 경우에는 고갈등부모와 저갈등부모로 나누어 대학생 자녀들의 심리적 적응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이혼부모와 이혼을 하지 않은 결혼유지부모의 경우는 부부의 갈등이 심각한 상위 25%의고갈등부모와 갈등이 낮은 하위 25%의 저갈등부모 자녀집단으로 나누어 이 세집단간 심리적 적응문제의 차이를비교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과 부모의 부부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라 부모의 부부갈등, 대학생자녀의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은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라 부모의 부부갈등, 대학생자녀의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둘째, 대학생 자녀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정도에 따라 자녀의 정신건강 커플관계 탄력성, 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과 부모의 부부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라 부모의 부부갈등, 대학생자녀의 정신건강, 커플관계탄력성,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둘째, 대학생 자녀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정도에 따라 자녀의 정신건강 커플관계 탄력성, 부모자녀관계, 자아분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혼가정 자녀들의 경우 어떠한 증상과 어떤관계에서 어려움을 나타내는가?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내적 변화와 새로운 사회적 역할로 인해 고민과 회의를 갖게 되며 이러한 고민과 갈등은 이 시기의 발달과업으로서 확고한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1]. 그러나 성인으로서 독립된 사회적 존재로 도약을 앞둔 대학생들이 부모 이혼이나 심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을 경험한 것은 정신적 고통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2], 이혼가정 자녀들의 경우, 우울, 불안, 공격성 등의 증상을 비롯하여 정신건강, 대인관계, 커플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3-5]. 즉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자녀들은 정신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통하여 심리·정신·행동적으로 적응상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5-9].
부모의 부부갈등은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처럼 부모의 이혼은 삶의 기반이던 가족이 와해됨으로써 가족구성원에게 위기를 가져오는 사건으로 이를 겪은 자녀들에게 다양한 심리적 증상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부모의 이혼이 반드시 자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기 보다는, 이혼 전후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정신건강을 비롯한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장하는 연구들도 있다[10-12]. 즉 이혼가정 자녀들의 경우라도 부모의 부부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13].
부모의 이혼 여부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분석 한 결과는?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t-검증, 상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은 부모가 이혼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자아분화는 이혼하지 않은 부모의 대학생들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커플관계탄력성은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이혼은 하지 않았지만, 부모의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의 대학생들이 가장 심리적인 적응의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 자체보다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적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H. S. Jang. (2015).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 Pakyoungsa. 

  2. O. S. Song, C. H. Kim & H. C. Kwon. (2008).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arent/Divorced College Students : With a Focus on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1), 15-33. DOI : 10.15842/kjcp.2008.27.1.002 

  3. S. H. Ju. (2007). Parental Divorce and Their Children's Adjustment : Focusing o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 107-136. DOI : 10.16975/kjfsw.2007..20.004 

  4. J. I. Choi & S. C. Kim. (2015). An Art Therapy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an Adolescent from a Divorced Family and the Improvement in Parent-child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2(2), 503-528. DOI : 10.35594/kata.2015.22.2.011 

  5. C. I. Choi. (2014). A study on the academic conflict of single parent's highschool boy through parent's divorce . Ph. D.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eonan. 

  6. Y. O. Chung. M. K. Lee & E. J.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ear of abandonment and Loss about parental divorce stress and divorced adolescents' anxiety and depressio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1), 171-188. 

  7. P. R. Amato, (2010). Research on Divorce : Continuing Trends a Trends and New Developm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 650-666. DOI : 10.1111/j.1741-3737.2010.00723. 

  8. Y. Chung & R. Emery, (2010). Early adolescents and divorce in South kore : Risk, resilience and pain.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1(5), 855-870. DOI : 10.3138/jcfs.41.5.855 

  9. D. H. Demo & M. A. Fine. (2010). Beyond the averagedivorce. Thousand Oaks, CA : Sage. DOI : 10.4135/9781452274713 

  10. P. R. Amato, (2001). Children of divorce in the 1990s: an update of the Amato and Keith (1991) Meta-Analysi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3), 355-370. DOI : 10.1037//0893-3200.15.3.355 

  11. P. R. Amato & T. D. Afifi, (2006). Feeling Caught Between Parents : Adult Children's Relations With Par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1), 222-235. DOI : 10.1111/j.1741-3737.2006.00243.x 

  12. J. B. Kelly, (2000). Children's Adjustment in Conflicted Marriage and Divorce : A Decade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Psychiatry, 39(8), 963-973. DOI : 10.1097/00004583-200008000-00007 

  13. E. M. Hetherington & J. Kelly, (2002). For better or for worse: Divorce reconsidered. Norton : W.W. & Company. 

  14. S. H. Hong & Y. Y. Kim. (2005). Difference in Adolescent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by Marital Conflict and Divorce of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2), 163-173. 

  15. S. H. Hong & G. H. Chung. (2014). The Impa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flict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Identity :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ther / Mother-Adolescent Closeness Gap.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269-290. 

  16. S. Y. Lee & H. H. Chung. (2010). Interparental conflicts and adolescents' mal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6), 147-170. 

  17. J. H. Lim & J. J. Youn. (2010). A Review of Interparental Conflict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in Korean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7(1), 263-284. 

  18. Y. K. Chung & J. Y. Kim. (2004).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Risk in Intimacy and Sexual Behaviors with the Opposite Sex of Early Adul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2, 71-104. 

  19. H. J. Yoo. (2001). The Influence of Parental Divorce and Interparental Conflict on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13(2), 55-78. 

  20. E. M. Cummings & P. T. Davis,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 A 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DOI : 10.1037//0033-2909.116.3.387 

  21. A. Krishnakumar & C. Buehler, (2000).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 A Meta Analytic Review. Family Relations, 49(1), 25-44. DOI : 10.1111/j.1741-3729.2000.00025.x 

  22. J. H. Park. (2012).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 Mediating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and social support. M. A.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23. J. M. Lee. (2010).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3), 1271-1287. DOI : 10.15703/kjc.11.3.201009.1271 

  24. J. R. Kwon & I. S. Lee. (2005). A Study on the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Family of-Origin. Journal Family Relations, 11(1), 35-56. 

  25. P. Johnson, W. C. Thorngren & A. J. Smith, (2001). Parental Divorce and Family Functioning : Effects on Differential Levels of Young adults. The Family Journal, 9(3), 265-272. DOI : 10.1177/1066480701093005 

  26. M. Bowen, (1978). Family theor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 Jason Aronson. 

  27. J. H. Grych, M. Seid & F. D. Fincham,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3), 558-572. DOI : 10.2307/1131346 

  28. Y. O. Kwon & C. D. Lee. (1997). A Validation Study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8(1), 65-80. 

  29. S. M. Kopta & J. L. Lowry. (1997).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ehavioral Heath Questionnaire-20: A Brief Instrument for Assessing Global Mentalhealth and the Three Phases of Psychotherapy Outcome. Psychotherapy Research, 2(4), 413-426. DOI : 10.1093/ptr/12.4.413 

  30. M. S. Park. (2005).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uicidal risk group,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1. J, K. Jeon & M, S. Yang. (2013). The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Pre-Marital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1), 163-190. 

  32. I. J. Choi. (2006). Cultural Psychological Implication of the Korea Parent-Child Relationship.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3), 761-773. 

  33. M. Bowen. (1976). Family therapy in clinical. New York : Jason Aronson. 

  34. S. B. Je.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ysfunctional behavior. Ph. D.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35. H, S. Kim. (2013). Growth of Korean Divorced Children: Risks and Resources. Seoul : Jipmoondang. 

  36. J. A. Han. (2011).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Related to Parent's Divorce Status and Maternal Parenting Styles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1(1), 1-18. 

  37. J. H. Oh.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21, 7(2), 509-532. DOI : 10.22143/HSS21.7.2.24 

  38. L. S. Grant, T. A. Smith, J. J. Sinclair & C. J. Saltset. (1993). The Impact of Parental divorce on College 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19(1), 183-193. DOI : 10.1300/j087v19n01_10 

  39. Ruschena, E., Prior, M., Sanson, A. & Smart, D. (2005).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Adjustment Following Family Tansi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4), 353-363. DOI : 10.1111/j.1469-7610.2004.00369.x 

  40. Y. H. Kim & J. N. Kim. (2013).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 Resilience, Divorce Recognition, Depression and Anxiety. Family and Family Therapy, 21(1), 103-126. DOI : 10.21479/kaft.2013.21.1.103 

  41. Y. S. Kim. (2013). The Impact of a Broken Family upon its Child's Personal Growth. Journal of Women's Studies, 28, 1-20. 

  42. P. Rich. (2007). Divorce Counseling Homework Planner. Seoul : Hakjisa. 

  43. J. M. Kim & J. H. Jang.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from Normal and Divorced Family.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5(4), 151-172. 

  44. P. R. Amato & A. Booth, (1991). A generation at risk.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DOI : 10.2307/j.ctvjsf3nc 

  45. H. L. Lim. (2014). The effect of perceived marital conflicts on fear of intimacy in the romantic relationships :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M. A.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46. E. M. Kinard, & J. Reinherz. (1984). Behavioral and Emotional Functioning in Children of Adolescent Moth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4, 578-594. DOI : 10.1111/j.1939-0025.1984.tb01528.x 

  47. K. J. Kim & Y. H. Kim.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Relation between Perceived Marital Conflict of Parents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3), 93-112. 

  48. H. R. Park. (2009). The effect of perceived couple conflicts and self differentiation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M. A.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Busan. 

  49. Y. S. Seoh. (1999).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uple's selfdifferentiation. M. A.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50. E. J. Lee. (2008). The influence of self differentiation and perceived couple conflicts on peer relationships of high school students. M. A.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51. S. Y. Jeon & A. J. Yoo. (1997). Adolescents' of Perceptions Divorce and Remarriage.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22, 55-64. 

  52. E. M. Hetherington, M. Cox & R. Cox, (1985). Long-term Effects of Divorce and Remarriag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24(5), 518-530. DOI : 10.4324/978020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