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벼 흰잎마름병의 신속하고 간편한 진단을 위한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등온증폭법
A Rapid and Simple Detection Assay for Rice Bacterial Leaf Blight by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4, 2020년, pp.195 - 201  

김신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이봉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김현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최수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서수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김상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Xanthomonas oryzae pv. oryzae는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며, 벼 흰잎마름병은 벼 주요 재배지에서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흰잎마름병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하기 위해 등온증폭법 중 하나인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RPA)를 적용하여 현장진단 등을 위한 유전자기반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RPA법은 짧은 시간의 등온 조건에서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벼 흰잎마름병 RPA 진단법은 39℃에서 5분간만 반응하면 목표유전자의 증폭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진단법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며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K1-K3a의 4종 레이스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DNA 추출 없이 식물체 잎의 즙액으로 증폭반응 수행이 가능하며 기존 Taq 기반 PCR보다 약 10배 검출 민감도가 높고 고가의 thermal cycler 없이도 항온수조, 발열블록 혹은 체온을 이용한 증폭반응 수행이 가능하다. 벼흰잎마름병은 벼의 농작물재해보험 대상재해 병충해 중의 하나이므로 과학적 진단결과가 요구되나, 일선 농촌지도 현장에서는 유전자기반 진단을 위한 장비, 기술 등의 부족으로 분자진단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벼 흰잎마름병 RPA 진단을 활용한다 면 병징 의심부위 마쇄액을 주형으로, 손으로 5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벼 흰잎마름병의 목표유전자 증폭산물을 형성하므로 벼 흰잎마름병 진단의 최일선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bacterial leaf blight (BLB) by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jor rice diseases steadily occurring around the rice-producing countr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RPA) assay for the rapid, convenient and specific di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ryzae는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며, 벼 흰잎마름병은 벼 주요 재배지에서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흰잎마름병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하기 위해 등온증폭법 중 하나인 recombinase poly- merase amplification (RPA)를 적용하여 현장진단 등을 위한 유전자 기반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RPA법은 짧은 시간의 등온 조건에서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tschul, S. F., Gish, W., Miller, W., Myers, E. W. and Lipman, D. J. 1990.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J. Mol. Biol. 215: 403-410. 

  2. Cho, Y. S. 1978. Problems and prospect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Korea. Seoul Natl. Univ. Coll. Agric. Bull. 3: 65-74. (In Korean) 

  3. Choi, Y. C., Lee, S. K., Chung, B. J., Lee, K. H. and Cho, Y. S. 1967. Studies on the varietal trials of rice to the bacterial leaf blight [Xanthomonas oryzae (Uyeda et Ishiyama) Dowson] in Korea. Res. Rep. Off. Rural Dev. 20: 93-100. (In Korean) 

  4. Ezuka, A. and Kaku, H. 2000. A historical review of bacterial blight of rice. Bull. Natl. Inst. Agrobiol. Resour. (Jpn.) 15: 1-207. 

  5. Higgins, M., Ravenhall, M., Ward, D., Phelan, J., Ibrahim, A., Forrest, M. S. et al. 2019. PrimedRPA: primer design for 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 assays. Bioinformatics 35: 682-684. 

  6. Lee, K.-H. 1975. Studies on the epidemiology and control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14: 111-131. (In Korean) 

  7. Mew, T. W. 1987.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research on bacterial blight of rice. Ann. Rev. Phytopathol. 25: 359-382. 

  8. Mew, T. W. 1989. An overview of the world bacterial blight situation. In: Bacterial Blight of Rice, pp. 7-12.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Manila, Philippines. 

  9. Mizukami, T. and Wakimoto, S. 1969. Epidemiology and control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Ann. Rev. Phytopathol. 7: 51-72. 

  10. Noh, T.-H., Kang, M.-H., Seo, S.-J., Shim, H.-K., Choi, M.-Y., Park, J.-C. et al. 2013. Measurement of density for Xanthomoanas oryzae pv. oryzae cell using real time PCR. Korean J. Int. Agric. 25: 194-199. (In Korean) 

  11. Ou, S. H. 1985. Rice Diseases. 2nd ed.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Ferry Lane, UK. 381 pp. 

  12. Rao, P. S. and Kauffman, H. E. 1977. Portential yield losses in dwarf rice varieties due to bacterial blight in india. J. Phytopathol. 90: 281-284. 

  13. Reddy, A. P. K., MacKenzie, D. R., Rouse, D. I. and Rao, A. V. 1979. Relationship of bacterial leaf blight severity to grain yield of rice. Phytopathology 69: 967-969. 

  14. Shim, H.-K., Noh, T.-H., Kang, M.-H., Park, Y.-J., Lee, D.-K., Lee, B. M. et al. 2012. Rapid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by using PCR-amplified Phage integrase and transposase a gene. Korean J. Int. Agric. 24: 219-225. 

  15. Shin, M. S., Shin, H. T. Jun, B. T. and Choi, B. S. 1992. Effects of inoculation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bacterial blight races on grain yield and quality of two rice cultivars. Korean J. Breed. Sci. 24: 264-267. (In Korean) 

  16. Yun, M.-S., Lee, E.-J. and Cho, Y.-S. 1985. Pathogenic specialization of the rice bacterial leaf blight pathogen,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race classification based on reactions of Korean differential varieties. Korean J. Appl. Entomol. 24: 97-10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