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및 환자의존도에 따른 환자군별 간호시간과 간호사 배치수준
Nursing Hours and Nurse Staffing according to Korean Triage Acuity Scale and Patient Dependenc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3, 2020년, pp.395 - 406  

정은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팀) ,  조성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상림 (서울대학교병원 간호팀) ,  최민진 (서울대학교병원) ,  김성숙 (서울아산병원) ,  최은경 (서울아산병원) ,  한경화 (아주대학교병원 간호팀) ,  전미영 (아주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e staffing according to patients' acuity and dependency by measuring nursing hours.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patients who visited the adult emergency departments (EDs) of three tertiary referral hospitals and nurses who worked on shif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환자의 KTAS 레벨 및 환자의존도와 간호 시간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KTAS 레벨 및 환자의존도 그룹별 간호시간과 간호사 배치수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속 48시간 조사기간 동안 응급실을 이용한 모든 환자의 KTAS 와 환자의존도를 평가하고, 해당 기간 6개 근무조에 근무한 모든 간호사를 10분 간격으로 관찰하여 간호사가 환자에게 제공한 간호행위와 간호시간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의존도, 간호시간을 단면적으로 측정하여 환자 중증도 및 의존도와 간호시간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중증도 및 의존도 환자군별 간호시간과 간호사 배치수준을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환자의 KTAS 레벨 및 환자 의존도와 간호시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KTAS 레벨 및 환자 의존도 그룹별 간호사 배치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내에서의 환자의존도를 이용한 간호사 배치에 관한 선행연구는[13]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진행된 연구가 대부분이고 응급실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환자의 중증도와 의존도를 측정하고 중증도와 의존도별 간호 시간을 측정하여 배치수준을 확인함으로써, 응급 환자의 중증도 분류 단계와 환자의존도에 따른 응급실의 간호인력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향후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전담 간호사 지표를 평가할 때 의료기관별 KTAS 환자구성과 입퇴실 환자 수를 반영하여 배치수준 적정성을 평가해야 한다. 환자 수뿐 아니라 환자의 KTAS 레벨과 체류시간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현재에는 응급실의 간호인력등급이(중증)응급 환자 진료 구역 관찰료의 가감산에만 영향을 미치나, 추후에는 응급의료수가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수가 산정 결정지표로 만들 것을 제안한다.

가설 설정

  • 직접간호는 특정 환자와 매칭 가능하므로 해당 환자의 직접간호시간으로 계산하고, 간접간호는 특정 환자와 매칭하기 어려워 근무조별로 제공한 간접시간을 해당 환자의 직접간호시간에 비례하여 배분하였다. 즉, 직접간호시간이 많으면 이에 비례해서 간접간호시간도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관련 업무 시간은 재실 환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할당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ollaoglu M, Celik P.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ing services and patient satisfaction of servi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6;25(19-20):2778-2785. https://doi.org/10.1111/jocn.13272 

  2. Kallberg AS, Ehrenberg A, Florin J, Ostergren J, Goransson KE. Physicians' and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risk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017;33:14-19. https://doi.org/10.1016/j.ienj.2017.01.002 

  3. Kane RL, Shamliyan TA, Mueller C, Duval S, Wilt TJ.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 staffing levels and patient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al Care. 2007;45(12):1195-1204. https://doi.org/ 10.1097/MLR.0b013e3181468ca3 

  4. Griffiths P, Ball J, Drennan J, Dall'Ora C, Jones J, Maruotti A, et 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evidence to inform policy and practice. A review and discussion paper based on evidence reviewed for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Safe Staffing guidelin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6;63:213-22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6.03.012 

  5. Chan TC, Killeen JP, Vilke GM, Marshall JB, Castillo EM. Effect of mandated nurse-patient ratios on patient wait time and care tim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10;17(5):545-552. https://doi.org/10.1111/j.1553-2712.2010.00727.x 

  6. Recio-Saucedo A, Pope C, Dall'Ora C, Griffiths P, Jones J, Crouch R, et al. Safe staffing for nursing in emergency departments: Evidence review.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15; 32(11):888-894. https://doi.org/10.1136/emermed-2015-204936 

  7. Aiken LH, Sloane DM, Cimiotti JP, Clarke SP, Flynn L, Seago JA, et al. Implications of the California nurse staffing mandate for other states. Health Services Research. 2010;45(4):904-921. https://doi.org/10.1111/j.1475-6773.2010.01114.x 

  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decree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20 Dec. 1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263#0000 

  9. Cho SH, Hong KJ, Yoon HJ, Chang SJ, Choi KH, Park HJ, et al. Estimation of expected nursing hours based on patients' nursing care needs and a comparison with actual nursing hour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0;26(4):365-377.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4.365 

  10. Alghamdi MG. Nursing workloa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4):449-457. https://doi.org/10.1111/jonm.12354 

  11. Graff I, Goldschmidt B, Glien P, Klockner S, Erdfelder F, Schiefer JL, et al. Nurse staffing calcul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performance-oriented calculation based on the Manchester Triage System at the University Hospital Bonn. PLoS One. 2016;11(5):e0154344. http:/doi.org/10.1371/journal.pone.0154344 

  12. RCN Emergency Care Association, Faculty of Emergency Nursing. BEST-Baseline Emergency Staffing Tool [Internet]. London: Royal College of Nursing; 2013 [updated 2019 May 11; cited 2020 Oct 30]. Available from: https://www.rcn.org.uk/get-involved/forums/emergencycare-association/best-tool. 

  13. Cho SH, Song KJ, Park IS, Kim YH, Kim MS, Gong DH, et al. Development of staffing levels for nursing personnel to provide inpatients with intergrated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211-22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211 

  14. Hurst K. Selecting and applying methods for estimating the size and mix of nursing team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ommision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Internet]. Leeds: University of Leeds(UK), Nuffield Institute for Health; c2003 [cited 2020 Sep. 28].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rh/tools/size_mix.pdf. 

  15. Wise S, Fry M, Duffield C, Roche M, Buchanan J. Ratios and nurse staffing: The vexed case of emergency departments.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5;18(1):49-55. https://doi.org/10.1016/j.aenj.2014.08.001 

  16. Williams S, Crouch R.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s: A systematic review.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6;14(3):160-170. https://doi.org/10.1016/j.aaen.2006.06.002 

  17. Kuriyama A, Urushidani S, Nakayama T. Five-level emergency triage systems: Variation in assessment of validity.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17;34(11):703-710. https://doi.org/10.1136/emermed-2016-206295 

  18. Park JB, Lim TH.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7; 28(6):547-551. 

  19. State of California, Department of Industrial Relations. California Code of Regulations [Internet]. Sacramento: State of California; [cited 2020 Oct 30]. Available from: https://www.dir.ca.gov/dlse/ccr.htm. 

  20. Boggatz T, Dijkstra A, Lohrmann C, Dassen T. The meaning of care dependency as shared by care givers and care recipients: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60(5):561-56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56.x 

  21. Jones G. Measuring patient dependenc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ing Standard. 2015;30(2):38-43. https://doi.org/10.7748/ns.30.2.38.e9249 

  22. Hurst K. Emergency Department(ED)/Accident and Emergency (A&E) department workload and staffing data collection information pack. King's Lynn(UK): Hurst Research Ltd; 2019. 

  23. Lavander P, Merilainen M, Turkki L. Working time use and division of labour among nurses and health-care workers in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8):1027-1040. https://doi.org/10.1111/jonm.12423 

  24. Institute for Health Care Improvement (US). Percent of nurse time spent in direct patient care [Internet]. Boston: Institute for Health Care Improvement; c2020 [cited 2020 Oct 30]. Available from: http://www.ihi.org/resources/Pages/Measures/PercentN urseTimeSpentinDirectPatientCare.aspx 

  25. Parliament of Victoria (AU). Safe Patient Care(Nurse to Patient and Midwife to Patient Ratios) Amendment Bill 2018 [Internet]. Melbourne: State Government of Victoria(AU); 2018 [cited 2020 Sep. 28]. Available from: https://www.legislation.vic.gov.au/bills/safe-patient-care-nurse-patient-and-midwife-patient-ratios-amendment-bill-2018. 

  26. Mahmoudi H, Mohmmadi E, Ebadi A. Barriers to nursing care in emergency wards.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3;18(2):145-151. 

  27. Choi SH. A study on patient dependency in emergency medical center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8. p. 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