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의 간호사 간 신뢰도 평가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among the Research Nurses and the Triage Nurs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91 - 99  

양정은 (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이은자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between the research nurses and the triage nurses. Methods: Interrater reliability was measured on 400 adult (≧15) and 400 pediatric (<15)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from...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중증도 분류의 핵심인력인 간호사 간에 신뢰도를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증도 분류의 핵심인력인 간호사들 간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KTAS 교육 강사인 연구자와 KTAS 이수증을 소지하고 있는 간호사들(14명) 간의 응급도 단계가 일치되는 정도인 신뢰도를 평가하고 응급도가 불일치한 요인을 분석하여 KTAS와 PedKTAS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KTAS와 PedKTAS의 간호사 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KTAS와 PedKTAS의 간호사 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KTAS의 평가자 간 신뢰도는 substantial 수준으로 퍼센트 일치도는 77.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진행한 연구로 전국 응급의료기관의 신뢰도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연구 설계 시 평가자를 연구자와 중증도 분류간호사들로 설계하여 평가자 간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개인 간의 평가 차이는 반영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일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KTAS와 PedKTAS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도란 무엇인가? KTAS는 중증도와 긴급도의 개념을 가진 중증도 분류 도구이다. 중증도란,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바탕으로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긴급도는 환자의 예후와는 관계가 적으나 불편감이 심하여 빠른 진료가 필요한 경우를 뜻한다.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상태를 과소평가하면 나타나는 영향은?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상태를 과소평가하여 비응급으로 분류하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환자의 예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11]. 이와는 반대로 실제 응급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비응급환자를 응급환자로 과대분류할 경우 비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사용으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안전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1, 12].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상태를 과대분류하면 나타나는 상황은?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의 상태를 과소평가하여 비응급으로 분류하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환자의 예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11]. 이와는 반대로 실제 응급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비응급환자를 응급환자로 과대분류할 경우 비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사용으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안전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1, 12]. 따라서 응급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환자 상태에 맞는 응급도 단계를 결정하는 중증도 분류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ernandes CM, Tanabe P, Gilboy N, Johnson LA, McNair RS, Rosenau AM, et al. Five-level triage: a report from the ACEP/ENA five-level triage task force. J Emerg Nurs. 2005;31(1):39-50. https://doi.org/10.1016/j.jen.2004.11.002 

  2. Park J, Lim T.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J Korean Soc Emerg Med. 2017;28(6):547-51. https://doi.org/10.22470/pemj.2015.2.2.53 

  3. Mirhaghi A, Heydari A, Mazlom R, Ebrahimi M. The reliability of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meta-analysis. N Am J Med Sci. 2015;7(7):299-305. http://doi.org/10.4103/1947-2714.161243 

  4. Zachariasse JM, van der Hagen V, Seiger N, Mackway-Jones K, van Veen M, Moll HA. Performance of triage systems in emergency ca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Open. 2019;9(5):e026471. http://doi.org/10.1136/bmjopen-2018-026471 

  5. Magalhaes-Barbosa MC, Robaina JR, Prata-Barbosa A, Lopes CDS. Reliability of triage systems for paediatric emergency care: a systematic review. Emerg Med J. 2019;36(4):231-8. http://doi.org/10.1136/emermed-2018-207781 

  6. Magalhaes-Barbosa MC, Robaina JR, Prata-Barbosa A, Lopes CDS. Validity of triage systems for paediatric emergency care: a systematic review. Emerg Med J. 2017;34(11):711-9. http://doi.org/10.1136/emermed-2016-206058 

  7.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stud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20 March 4].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1&research_id1351000-201400241&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한국형+중증%. 

  8. Chang YC, Ng CJ, Wu CT, Chen LC, Chen JC, Hsu KH. Effectiveness of a five-level Paediatric Triage System: an analysis of resource utilis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Taiwan. Emerg Med J. 2013;30(9):735-9. https://doi.org/10.1136/emermed-2012-201362 

  9. Bullard MJ, Chan T, Brayman C, Warren D. Revisions to the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and Acuity Scale (CTAS) Guidelines. CJEM. 2014;16(6):485-9. https://doi.org/10.1017/S148180350000350X 

  10. Takahashi T, Inoue N, Shimizu N, Terakawa T, Goldman RD. "Downtriage" for children with abnormal vital signs: evaluation of a new triage practice at a pa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in Japan. Emerg Med J. 2016;33(8):533-7. http://doi.org/10.1136/emermed-2015-204968 

  11. Haas B, Gomez D, Zagorski B, Stukel TA, Rubenfeld GD, Nathens AB. Survival of the fittest: the hidden cost of undertriage of major trauma. J Am Coll Surg. 2010;211(6):804-11. http://doi.org/10.1016/j.jamcollsurg.2010.08.014 

  12. Armstrong JH, Hammond J, Hirshberg A, Frykberg ER. Is overtriage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The evidence says "yes." Disaster Med Public Health Pre. 2008;2(1):4-5. http://doi.org/10.1097/DMP.0b013e31816476c0 

  13. Choi HJ, Ok JS, An SY. Evaluation of Valid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J Korean Acad Nurs. 2019;49(1):26-35. https://doi.org/10.4040/jkan.2019.49.1.26 

  14. Iserson KV, Moskop JC. Triage in medicine, part I: concept, history, and types. Ann Emerg Med. 2007;49(3):275-81.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6.05.019 

  15. Park CU, Kim HJ. Measurement of inter-rater reliability in systematic review. Hanyang Med Rev. 2015;35(1):44-9. https://doi.org/10.7599/hmr.2015.35.1.44 

  16. Worster A, Sardo A, Eva K, Fernandes CMB, Upadhye S. Triage Tool inter-rater reliability: a comparison of live versus paper case scenarios. J Emerg Nurs. 2007;33(4):319-23. https://doi.org/10.1016/j.jen.2006.12.016 

  17. Ying R, Sern W, Glen S, Khairil A, Jamil M, Wai W, et al. Comparison of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us the Patient Acuity Category Scale in an emergency setting. Int Emerg Nurs. 2018;41:13-8. https://doi.org/10.1016/j.ienj.2018.05.001 

  18. Bujang MA, Baharum N. Guidelines of the minimum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Cohen's Kappa. Epidemiol Biostat Public Health. 2017; 14(2):e122671-1-10. https://doi.org/10.2427/12267 

  19.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KTAS Committe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manual version 3. Paju: Koonja; 2019. pp.11-30. 

  20. Park JB, Lee J, Kim YJ, Lee JH. Reliability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 interrater agreement between two experienced nurses by real-time triage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 disagreement of triage levels. J Korean Med Sci. 2019;34(28):1-7. https://doi.org/10.3346/jkms.2019.34.e189 

  21. Moon S, Lan J, Id S, Park K, Park C. Triage accuracy and causes of mistriage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PLoS One. 2019; 14(9):e021697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16972 

  22. Moon S, Shim JL.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8;19(11):626-34.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626 

  23. Lee JH, Park YS, Park IC, Lee HS, Kim JH, Park JM, et al. Over-triage occurs when considering the patient's pain in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PLoS One. 2019;14(5):e0216519. http://dx.plos.org/10.1371/journal.pone.0216519 

  24. Peacock S, Patel S. Cultural influences on pain. Rev Pain. 2008;1(2):6-9. https://doi.org/10.1177/204946370800100203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actment of the Korean emergency patients severity classification standard: article 2015-243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20 March 0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292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