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의도적 음독 자살 시도자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ntional Self-Poisoning Patients : Comparison between Non-Prescription and Prescription Drug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2, 2020년, pp.116 - 125  

조을아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지현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조경형 (마음사랑병원) ,  심현보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자살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 중 음독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독 의약품에 따른 자살 시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임상 진료 현장에서 도움이 될 제언과 자살 예방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소재 1개 종합 병원 응급실에 음독 자살 시도 후 내원한 환자 57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자살 과거력, 정신건강의학과 과거력, 정신질환 외 기저질환력, 음독 약물의 종류 및 양, 획득 경로, 단일 혹은 혼합 음독여부 등에 대해서 조사 후 카이제곱 검정 및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유의한 결과에 대해서는 위험률 산출을 위해 오즈비를 구하였다. 결 과 일반의약품 음독군이 전문의약품 음독군에 비해 연령은 유의하게 낮았으며 국민건강보험 외 비율은 낮고 배우자가 있는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전문의약품 음독군은 일반의약품 음독군에 비해 비자발적 응급실 내원, 정신질환력 및 정신질환 외 기저질환력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의약품 중 벤조디아제핀 음독군은 비음독군에 비해 본인 처방 비율이 높은 반면 졸피뎀 음독군은 타인처방 비율이 높았다. 벤조디아제핀, 졸피뎀, 항우울제 단독 음독군이 복합 음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정신질환력이 없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일반의약품 판매 규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며 임상 현장에서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유념한 면담이 필요하다. 또한 자살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에게 전문의약품 처방 시 추적 관찰 기간 및 처방 기간, 포장 방식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elf-poisoning is the leading cause of visits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after a suicide attempts.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drugs ingested by th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Methods : All medical charts were retrospec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 4월 1일부터 2019년 7월 31일까지 서울의료원 응급진료센터에 의도적으로 약물 음독 자살 시도를 하여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한 연구이다. ICD-10 기준 중독 상태에 대한 진단 코드인 T36.
  • 14) 또한, 정신질환 환자들 중 신체질환이 동반된 환자들의 자살수단으로 음독이 가장 많다는 연구결과도 있어, 15) 음독 자살 시도에 대한 치료 현장에서의 주의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도에 따라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음독 자살시도빈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전문의약품의 경우 병원 이용율이 높은 계층의 음독비율이 높을 것이다는 가설 하에 의약품 종류에 따른 자살 시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ECD. Health at a Glance 2019 OECD INDICATORS. Paris: 2019.OECD Publishing. 

  2.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2019. p.75 

  3.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9 WHITE BOOK;2019. 

  4. Kim SY, Song HS, Kim KD, Lee KK. A study of patients with suicidal attempt.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560-567. 

  5. Choi KS, Woo JH, Lim YS, Kim JJ, Jang JH, Choi WS, Min KJ, Cho SJ, Kang SG, Na KS. The characteristics of first suicide attempt patients with self-poisoning: comparison of patients with self-injury. J Korean Soc Emerg Med 2017;28:493-501. 

  6. Kwak MH, Kang HY, Lee SJ, Han KS, Kim SJ, Lee EJ, Lee SW. Self-poisoning as a target group for prevention of suicide.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8;16:93-101. 

  7. Hur JM, Chun WC, Min YG, Jung YS. Analyses of suicide victims admitted via the emergency department-based on psychiatric histories, past suicidal attempts and psychiatric diagnose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4;2:106-115. 

  8. Lee WJ, Park KN, Choi SP, Lee MJ. Trends analysis of suicidal poisoning in Korea-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IMF crisis and the economic recession.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5;3:33-39. 

  9. Kim SH, Kim H, Lee JS, Park JM, Park J, Kim KH, Shin DW, Kim H, Jeon W. Pharmaceutical drug poisoning after deregulation of over the counter drug sales: emergency department based in-depth injury surveillance.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8;16:141-148. 

  10. Kim HJ, Kim HM, Kim HJ, Cho YS, Lee MG, Jun DH, Go CY. Association of Prescribed Drug intoxication and Neuropsychiatric histor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1;9:77-80. 

  11. Lee OS, Cheon YJ, Kim JT, Lim SC. Evaluation of drugs for suicide attempt and antidote uses in emergency room of a hospital in Korea. Kor J Clin Pharm 2012;22:304-315. 

  12. Alexandre M, Omaid T, Gilles L, Pierre-Andre D, Youssef H, Alain L, CP L Nancy, Suzanne L, Santokh S, Elham R. Over-the-counter drugs and other substances used in attempted suicide presented to emergency departments in montreal, Canada: a cross-sectional study. Crisis 2019;40:166-75. 

  13. Lo A, Shalansky S, Leung M, Hollander Y, Raboud J. Pati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nonprescription drug use in intentional overdose. Can J Psychiatry 2003;48:232-236. 

  14. Oh S, Park H. Analysis of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medications that list suicide in use cautions using the HIRA claims data. Korean J Clin Pharn 2019;29:202-208. 

  15. Pitman A, Tham SG, Hunt IM, Webb RT, Appleby L, Kapur N. Access to means of lethal overdose among psychiatric patients with co-morbid physical health problems: analysis of national suicide case series data from the United Kingdom. J Affect Disord 2019;257:173-179. 

  16. Statistical analyses team. 2018 Suicidal statistics documents. 2019.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2019, 2019 Contract No.: 2019-013. 

  17. Coimbra DG, Pereira E Silva AC, de Sousa-Rodrigues CF, Barbosa FT, de Siqueira Figueredo D, Araujo Santos JL, Barbosa MR, de Medeiros Alves V, Nardi AE, de Andrade TG. Do suicide attempts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spring too? A systematic review and rhythmic analysis. J Affect Disord 2016; 196:125-137. 

  18. Kim CY, Lee EJ, Lee SW, Kim SJ, Han KS. Changes in 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sales of nonprescription drugs in convenience store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8:42-48. 

  19. Support Team Emergency Department.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ollow-up service results of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focused on the agency that performed the post-mortem suicide attempter management project based on the emergency room in 2017. KSPC Research Brief 2018, 2018. 

  20. Ahn WC, Cho JH, Moon JB, Park CW, Shin MC, Kim KE, Lee JY, Park YS, Hwang BS, Yang GE, Lee HY, Kim MS, Chun IK, Ohk TG. The pre-hospital analysis of intentional taking poison in Gangwon-do. J Korean Soc Emerg Med 2020; 31:23-38. 

  21. Son CW, Kim JA. Reality of healthcare utilization and health behaviors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Seoul 2017. The Seoul Institute p4-5, 40-47. 

  22. Mellinger GD, Balter MB, Uhlenhuth EH. Insomnia and its treatment. Prevalence and correlates. Arch Gen Psychiatry 1985;42:225-232. 

  23. Kim DM, Park WB, Lim YS, Kim JJ, Jang JH, Jang JY, Yang HJ, Lee G. Comparison of prescription patterns and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clinical departments in sedativehypnotic intoxication.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4;12:54-62. 

  24. Balestrieri M, Bortolomasi M, Galletta M, Bellantuono C. Patterns of hypnotic drug prescription in Italy. A two-week community survey. Br J Psychiatry 1997;170:176-180. 

  25. Chung HI, Kim HJ, Oh SH, Choi SP, Park KN. The potential risk factors of reattempt suicide by self-poisoning in older adults. J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y 2019;13:171-175. 

  26. SNU R&D, Foundation. Selection of suicide risk group for primary medical institution patients and development of psychiatric treatment reinforcement mode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9. p.47-60. 

  27. Cato V, Hollandare F, Nordenskjold A, Sellin T. Association between benzodiazepines and suicide risk: a matched casecontrol study. BMC Psychiatry 2019;19:317. 

  28. Gibbons R, Hur K, Lavigne J, Wang J, Mann JJ. Medications and suicide: high dimensional empirical bayes screening (iDEAS). Harvard Data Science Review 2019;1. 

  29. Nomura K, Nakao M, Sato M, Yano E. Regular prescriptions for benzodiazepines: a cross-sectional study of out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tern Med 2006;45:1279-1283. 

  30. Kim H, Kim JW, Kang HJ, Kim SY, Lee JY, Kim JM, Shin IS, Yoon JS, Kim SW.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of psychiatric in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9;58:202-208. 

  31. Choi BK, Sung HG, Nam JH, Shin JY. Zolpidem use and suicide death in south Korea: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Suicide Life Threat Behav 2019;49:1653-1667. 

  32. Lee JH, Yang SJ, Eun SW, Jin SC, Choi WI, Jung SW. Limitation of psychiatric intervention for suicidal drug intoxication patients in emergency room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6;14. 

  33. Min HG, Choi HS, Kwon OY, Lee JS, Hong HP, Ko YG, Paik JW, Kim SC, Kim DP. Is a psychiatric consultation necessary for the non-suicidal intentional drug ingestion patient in a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 

  34. Gyamlani GG, R CR Parikh Chirag. Acetaminophen toxicity: suicidal vs accidental. J Critical Care 2002;6:155-159. 

  35. White NC, Litovitz T, Clancy C. Suicidal antidepressant overdoses: a comparative analysis by antidepressant type. J Med Toxicol 2008;4:238-250. 

  36. Hawton K, Bergen H, Simkin S, Cooper J, Waters K, Gunnell D, Kapur N. Toxicity of antidepressants: rates of suicide relative to prescribing and non-fatal overdose. Br J Psychiatry 2010;196:354-358. 

  37. Crome P. The toxicity of drugs used for suicide. J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93;87:33-37. 

  38. Kye SY, Park K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among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a cross-sectional study. Compr Psychiatry 2017;73:160-167. 

  39. Yip PSA, Caine E, Yousuf S, Chang SS, Wu KCC, Chen YY. Means restriction for suicide prevention. The Lancet 2012; 379:2393-2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