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우울증 환자에서 혈장 Cytokine의 농도변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Plasma Levels of Cytokines in Patients with Postpartum Depression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2, 2020년, pp.177 - 184  

이윤정 (경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용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계현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  이분희 (마음과 마음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산후우울증은 일반적으로 산모의 10~15%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으로는 정신사회적인 요인과 산과적인 요인이 모두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감염, 손상, 악성종양, 자가면역질환,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가 자극되면 proinflammatory cytokine과 anti-inflammatory cytokine이 생성되고 분비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후우울증이 있는 경우 산후우울증이 없는 군에 비해 혈중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TGF-β1),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β-Nerve growth factor (β-NGF), Interleukin-2 (IL-2), IL-4,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feron-γ (IFN-γ)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임산부에서의 우울증의 경과에 따라 cytokine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총 104 명의 임산부와 60명의 임신을 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은 임신 24주, 출산 1주, 출산 6주에 에딘버러 산후 우울 척도(EPD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EPDS의 총 점수가 10 이상인 경우,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EPDS 점수 변화에 따라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 과 임신군과 비임신 정상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TGF-β1, IGF-1의 혈장 농도는 임신군에서 비임신 정상대조군보다 더 높았다(TGF-β1 ; p<0.01, IGF-1 ; p=0.026). 그러나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는 비임신 여성대조군에 비해 임산부 정상대조군에서 그 농도가 낮게 측정되었다(β-NGF ; p=0.001, IL-2 ; p<0.01, IL-4 ; p<0.01, IL-6 ; p<0.01, IFN-γ ; p<0.01, TNF-α ; p<0.01) 임신 24주에 TGF-β1, IGF-1, β-NGF, IL-2, IL-4, IL-6, IFN-γ, TNF-α의 농도를 살펴보면 임산부 정상대조군, 출산 후 우울-회복군, 출산 후 우울군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출산 6주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임신 24주, 출산 6주에 시간에 따른 농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세 군에서 모두 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비임신 정상대조군과 임신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으나 산후우울증군과 정상 임신대조군간의 혈장 cytokine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밝혀내지는 못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Postpartum depression is known to occur in 10-15% of mothers. The concentration of cytokine varies depending on stress, depression, pregnancy and general medical conditions. We hypothesized that the concentration of cytokines may be related to reproduction and childbirth, and that wome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여러 연구에서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에서는 임산부와 비임신 여성군간에 cytokine의 농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해보았으며 산후우울증이 있는 경우 산후우울증이 없는 군에 비해 혈중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1 (TGF-β1),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β -Nerve growth factor (β-NGF), Interleukin-2 (IL-2), IL-4,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fer- on-γ (IFN-γ)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임산 부에서의 우울감의 경과에 따라 cytokine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임신과 출산과 관련된 시기에 더 두드러진다.3)
  • 본 연구에서도 혈장외에도 산모의 혈청이나 소변, 태반의 cytokine의 농도를 모두 측정했다면 이전의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전체 표본의 크기가 작다는 점이다. 임신중 우울증이었다가 산후회복된 출산 후 우울-회복군의 경우 표본수가 18명밖에 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Greenberg PE, Kessler RC, Birnbaum HG, Leong SA, Lowe SW, Berglund PA, Corey-Lisle PK. The economic burden of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how did it change between 1990 and 2000? J Clin Psychiatry 2003;64:1465-1475. 

  2. Gutierrez-Lobos K, Scherer M, Anderer P, Katschnig H. The influence of age on the female/male ratio of treated incidence rates in depression. BMC Psychiatry 2002;2:3. 

  3. O'Hara MW, Neunaber DJ, Zekoski EM. Prospective study of postpartum depression: prevalence, course, and predictive factors. J Abnorm Psychol 1984;93:158-171. 

  4. Lindahl V, Pearson JL, Colpe L. Prevalence of suicidality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Arch Womens Ment Health 2005;8:77-87. 

  5. Josefsson A, Sydsjo G. A follow-up study of postpartum depressed women: recurrent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 behavior after four years. Arch Womens Ment Health 2007;10:141-145. 

  6. Milgrom J, Gemmill AW, Bilszta JL, Hayes B, Barnett B, Brooks J, Ericksen J, Ellwood D, Buist A. Antenatal risk factors for postnatal depression: a large prospective study. J Affect Disord 2008;108:147-157. 

  7. Josefsson A, Angelsioo L, Berg G, Ekstrom CM, Gunnervik C, Nordin C, Sydsjo G. Obstetric, somatic, and demographic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Obstet Gynecol 2002;99:223-228. 

  8. Payne JL, Maguire J.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implicated in postpartum depression. Front Neuroendocrinol 2019;52:165-180. 

  9. O'Hara MW. Postpartum depression: what we know. J Clin Psychol 2009;65:1258-1269. 

  10. Corwin EJ, Pajer K. The psychoneuroimmunology of postpartum depression. J Womens Health (Larchmt) 2008;17:1529- 1534. 

  11. Anisman H, Merali Z. Cytokines, stress and depressive illness: brain-immune interactions. Ann Med 2003;35:2-11. 

  12. Dinarello CA.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st 2000;118: 503-508. 

  13. Ostensen M, Forger F, Nelson JL, Schuhmacher A, Hebisch G, Villiger PM. Pregnancy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crease in pregnancy and decrease post partum. Ann Rheum Dis 2005;64:839-844. 

  14. Sakai M, Tsuda H, Tanebe K, Sasaki Y, Saito S. Interleukin-12 secretion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s decreased in normal pregnant subjects and increased in preeclamptic patients. Am J Reprod Immunol 2002;47:91-97. 

  15. Veenstra van Nieuwenhoven AL, Bouman A, Moes H, Heineman MJ, de Leij LF, Santema J, Faas MM. Endotoxin-induced cytokine production of monocytes of third-trimester pregnant women compared with women in the follicular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Am J Obstet Gynecol 2003;188:1073-1077. 

  16. Wichers MC, Kenis G, Koek GH, Robaeys G, Nicolson NA, Maes M. Interferon-alpha-induced depressive symptoms are related to changes in the cytokine network but not to cortisol. J Psychosom Res 2007;62:207-214. 

  17. Dentino AN, Pieper CF, Rao MK, Currie MS, Harris T, Blazer DG, Cohen HJ. Association of interleukin-6 and other biologic variables with depression in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J Am Geriatr Soc 1999;47:6-11. 

  18. Boufidou F, Lambrinoudaki I, Argeitis J, Zervas IM, Pliatsika P, Leonardou AA, Petropoulos G, Hasiakos D, Papadias K, Nikolaou C. CSF and plasma cytokines at delivery and postpartum mood disturbances. J Affect Disord 2009;115: 287-292. 

  19. Buglione-Corbett R, Deligiannidis KM, Leung K, Zhang N, Lee M, Rosal MC, Moore Simas TA. Expression of inflammatory markers in women with perinatal depressive symptoms. Arch Womens Ment Health 2018;21:671-679. 

  20. Kim YK WS, Lim HJ, Choi SH. The standadizat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Depression Bipolar Disorder Association 2005;3:42-49. 

  21.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 J Psychiatry 1987;150:782-786. 

  22. Miyazono K, Yuki K, Takaku F, Wernstedt C, Kanzaki T, Olofsson A, Hellman U, Heldin CH. Latent forms of TGFbeta: structure and biology. Ann N Y Acad Sci 1990;593:51-58. 

  23. Shelton MM, Schminkey DL, Groer MW. Relationships among prenatal depression, plasma cortisol, and inflammatory cytokines. Biol Res Nurs 2015;17:295-302. 

  24. Christian LM, Franco A, Glaser R, Iams JD. Depressive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elevated serum proinflammatory cytokines among pregnant women. Brain Behav Immun 2009;23:750-754. 

  25. Groer MW, Morgan K. Immune, health and endocrine characteristics of depressed postpartum mothers. Psychoneuroendocrinology 2007;32:133-139. 

  26. Simpson W, Steiner M, Coote M, Frey BN.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ory biomarkers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late pregnancy and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 longitudinal study. Braz J Psychiatry 2016;38:190-196. 

  27. Kelly AC, Powell TL, Jansson T. Placental function in maternal obesity. Clin Sci (Lond) 2020;134:961-984. 

  28. Peltier MR, Faux DS, Hamblin SD, Silver RM, Esplin MS. Cytokine production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women with a history of preterm birth. J Reprod Immunol 2010;84:111-116. 

  29. Verthelyi D, Klinman DM. Sex hormone levels correlate with the activity of cytokine-secreting cells in vivo. Immunology 2000;100:384-390. 

  30. Schafer A, Pauli G, Friedmann W, Dudenhausen JW. Human choriogonadotropin (hCG) and placental lactogen (hPL) inhibit interleukin-2 (IL-2) and increase interleukin-1 beta (IL-1 beta), -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expression in monocyte cell cultures. J Perinat Med 1992;20:233-240. 

  31. Kappelmann N, Lewis G, Dantzer R, Jones PB, Khandaker GM. Antidepressant activity of anti-cytokine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of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s. Mol Psychiatry 2018;23:335-343. 

  32. Wiedlocha M, Marcinowicz P, Krupa R, Janoska-Jazdzik M, Janus M, Debowska W, Mosiolek A, Waszkiewicz N, Szulc A. Effect of antidepressant treatment on peripheral inflammation markers - A meta-analysi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8;80:217-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