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 챗봇 사용자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Chatbot Us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Mall Users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1 no.4, 2020년, pp.211 - 225  

김태하 (중앙대학교) ,  차훈상 (솔즈베리 대학교) ,  박찬희 (중앙대학교) ,  위정현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쇼핑몰 사용자들의 챗봇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에 바탕을 두고 응대 정확성, 개인화 수준, 지능성, 친밀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정보 위험이 사용자들이 챗봇을 확대하여 사용하거나 반대로 챗봇 사용을 축소 또는 포기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쇼핑몰 챗봇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300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개인화 수준, 지능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정보 위험이 활용 확대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다. 또한 응대 정확성과 개인정보위험이 활용 축소/포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챗봇을 설계하고 관리하는데 소비자의 활용 확대 또는 활용 축소/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이 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개인화 수준이 높고 지능성이 높을수록 챗봇 활용을 확대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주고 응대 정확성이 낮을 경우 챗봇 활용을 포기/축소하려는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성적 측면에서는 친밀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있는데 친밀감이 활용 확대 의도 또는 축소/포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고 사회적 실재감은 활용 확대 의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개인정보 위험의 경우 확대의도와 축소/포기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hatbot us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mall users. We identify theoretical foundations from the literature and postulate that accuracy, personalization level, intelligence, intimacy, social presence, and piracy concern should affect intention to use more or negativ...

주제어

참고문헌 (22)

  1. Araujo, T. (2018). Living up to the Chatbot hype: The influence of anthropomorphic design cues and communicative agency framing on conversational agent and company percep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5, 183-189. 

  2. Lee, N. (2018). User attitudes toward paralinguistic cues and back-channeling through social presence in Chatbot.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 Li, C. (2016). When does web-based personalization really work? The distinction between actual personalization and perceived personaliz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4, 25-33. 

  4. Luo, X., et al. (2019). Frontiers: Machines vs. Humans: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disclosure on customer purchases. Marketing Science, 38(6), 913-1084. 

  5. McLean, G., & Osei-Frimpong, K. (2019). Hey Alexa ...examin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t in-home voice assista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9, 28-37. 

  6. Toader, D. C., et al. (2019).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and chatbot errors on trust. Sustainability, 12(1), 1-24. 

  7. 강소라, 남승현, 양희동 (2017). Organizational-level moderators on the SME employees' adoption of abandonment option to manage the cloud computing service risks. 한국산업정보학회 논문지, 22(1), 105-116. 

  8. 김태하, 남승현, 양희동 (2017). 의사결정 집중화 수준과 불확실성이 실물옵션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4(4), 117-131. 

  9. 류승연 (2014). 인지된 유용성, 사용 용이성, 유희성, 주관적 규범이 사내 SNS 확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0. 문희철 (2019, 11월 19일). 로켓배송·꼬깔콘 대박의 비밀...'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였다. 중앙일보. 

  11. 심홍진 (2018). 인공지능(AI)과 프라이버시의 역설: AI 음성비서를 중심으로. KISDI Premium Report, 18(12). 

  12. 안수호, 조웅, 정두희 (2019). Factors affecting users to adopt voice shopping: Empirical evidence from the UTAUT model.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27(4), 111-144. 

  13. 안수호, 조웅, 정두희 (2019). 인공지능 기반 음성쇼핑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거래 안전성 등 가상비서 속성의 영향.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65-2095. 

  14. 윤상오 (2018). Issues of public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Focused on ChatBot service.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2(2), 83-104. 

  15. 이경주, 김은영 (2020). 플랫폼 서비스 혁신에 있어 인공지능(AI)의 역할과 효과에 관한 연구: 카카오 그룹의 인공지능 활용 사례 연구. 지식경영연구, 21(1), 175-195. 

  16. 이대근 (2018). 중소상인을 위한 AI 챗봇 플랫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17. 이민규, 박희준 (2019). 챗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금융 서비스에서의 챗봇.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7(4), 755-765. 

  18. 이정현, 선현주, 이홍주 (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스마트 스피커 제품의 포지셔닝: 인공지능 속성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1(1), 197-210. 

  19. 이진명 등 (2019).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수용의도: 비수용자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30(2), 193-213. 

  20. 이홍주 (2019). 인공지능 속성에 대한 고객 태도 변화: AI 스피커 고객 리뷰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지식경영연구, 20(2), 25-42. 

  21. 전현규, 이건창 (2015). 긍정감정과 부정감정이 개인의 지식기여 및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지식경영연구, 16(1), 21-54. 

  22. 홍인석 (2020, 5월 28일). 간편한 상담업무, 전화할 필요없습니다...'챗봇'이 있으니까. 경제신문 이투데이.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