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 상황에서 초등 과학 전담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및 인식
A Study on Status and Perception of Class Operation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Specialized Teachers in COVID-19 Situa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3, 2020년, pp.317 - 329  

김성운 (한국교원대학교) ,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초등 과학 전담 교사들은 과학 수업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으며 수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과학 교과 전담교사를 맡고 있는 21명이다. 21명 전체를 대상으로 COVID-19 상황에서의 과학 수업과 앞으로의 수업방향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21명 중 8명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을 어떻게 하고 왜 그렇게 했는지등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과학 교사들의 COVID-19 이전과 이후의 과학 수업은 달랐다. COVID-19 상황에서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성에 따른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둘째, 이러한 과학 수업 운영 방식의 바탕에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있었으며, 그 인식은 과학 수업은 탐구 활동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 방침이 허락하는 한, 내 입맛에 맞는 수업을 하고 싶다는 것, 온라인 수업은 학생들의 동기 저하 및 학력 격차 확대를 야기하며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ience specialized teachers operate and how they have a perception of the science clas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is 21 who are dedicated to science subjects in 2020. 21 teachers were given an open 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25)

  1. 교육부(2020a). 교육부 보도자료(2020. 3. 24.); 학교 안팎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추진(코로나19). 

  2. 교육부(2020b). 교육부 보도자료(2020. 3. 31.);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코로나19). 

  3. 교육부(2020c).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 예방 관리 안내. 세종: 교육부. 

  4. Cavanaugh, C., Gillian, K. J., Kromrey, J., Hess, M., & Blomeyer, R. (2004). The effects of distance education on K-12 student outcomes: A meta-analysis. Naperville, IL: Learning Point. 

  5. Downing, K. F. (2016). Developing online earth science courses. In D. K. Kennepohl (Ed.), Teaching science online: Practical guidance for effective instruction and lab work (pp. 46-66). Sterling, VA: Stylus. 

  6. Frid, S., & Soden, R. (2001). Supporting primary students' on-line learning in a virtual enrichment program. Research in Education, 66(1), 9-27. 

  7. Grober, S., Eckert, B., & Jodl, H. J. (2013). A new medium for physics teaching: results of a worldwide study of remotely controlled laboratories. European Journal of Physics, 35(1), 018001. 

  8. Hughes, J. E., McLeod, S., Brown, R., J'v1aeda, Y., & Choi, J. (2005). Staff development and student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virtual and traditional secondary schools. Naperville, IL: North 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Learning Point Associates. 

  9. Jeschofnig, L., & Jeschofnig, P. (2011). Teaching lab science courses onlin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0. Kennepohl, D. K. (2013). Teaching science at a distance. In M. G. Moore (Ed.),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pp. 670-683). England: Routledge. 

  11. Kennepohl, D. K. (2016). Teaching science online: Practical guidance for effective instruction and lab work. Sterling, Virginia: Stylus Publishing. 

  12. Lyall, R., & Patti, A. F. (2010). Taking the chemistry experience home-home experiments or "kitchen chemis-try". In D. Kennepohl, & L. Shaw (Eds.), Accessible elements: Teaching science online and at a distance (pp. 83-108). Canada: AU Press. 

  13. Makela, T., Mehtala, S., Clements, K., & Seppa, J. (2020). Schools went online over one weekend: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online education related to the COVID-19 crisis. Proceedings of EdMedia+Innovate Learning 2020, 77-85. Waynesvill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14. Mawn, M. V., Carrico, P., Charuk, K., Stote, K. S., & Lawrence, B. (2011). Hands-on and online: Scientific explorations through distance learning. Open Learning: The Journal of Open, Distance and E-learning, 26(2), 135-146. 

  15. Mills, S. C. (2003). Implementing online secondary education: An evaluation of a virtual high school. In C. Crawford et al. (Eds.),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03, 444-451, Norfolk, VA: AACE. 

  16. Mosse, J., & Wright, W. (2010). Acquisition of laboratory skills by on-campus and distance education students. In D. Kennepohl, & L. Shaw (Eds.), Accessible elements: Teaching science online and at a distance (pp. 83-108). Edmonton, AB: AU Press. 

  17. Mulenga, E. M., & Marban, J. M. (2020). Prospective teachers' online learning Mathematics activities in the age of COVID-19: A cluster analysis approach.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6(9), em1872. 

  18. Potkonjak, V., Gardner, M., Callaghan, V., Mattila, P., Guetl, C., Petrovic, V. M., & Jovanovic, K. (2016). Virtual laboratories for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 review. Computers & Education, 95, 309-327. 

  19. Reeves, J., & Kimbrough, D. (2004). Solving the laboratory dilemma in distance learning general chemistry.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8(3), 47-51. 

  20. Rice, K. L. (2006). A comprehensive look at distance education in the K-12 contex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8(4), 425-448. 

  21. Roblyer, M. D., & Marshall, J. C. (2003). Predicting the success of virtual high school students: Preliminary results from an educational success prediction instrumen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5(2), 241-256. 

  22. Shaw, L., & Carmichael, R. (2010). Needs, costs, and accessibility of DE science lab programs. In D. Kennepohl, & L. Shaw (Eds.), Accessible elements: Teaching science online and at a distance (pp. 191-211). Edmonton, Canada: AU Press. 

  23. Sintema, E. J. (2020). Effect of COVID-19 on the performance of grade 12 students: Implications for STEM education.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6(7), em1851. 

  24. Stein, D. S., Wanstreet, C. E., Calvin, J., Overtoom, C., & Wheaton, J. E. (2005). Bridging the transactional distance gap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2), 105-118. 

  25. Tunison, S., & Noonan, B. (2001). On-line learning: Secondary students' first experience.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26(4), 495-5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