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 수업 담화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 탐색
Exploring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3년, pp.181 - 192  

이선경 (서울대학교) ,  최취임 (서울대학교) ,  이규호 (경인교육대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  송호장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추론의 기본 논리 전개가 연역, 귀납, 귀추라는 관점을 토대로 초등과학 수업 담화에서 교사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과학적 추론의 흐름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3달에 걸친 13차시의 초등학교 4학년 활동 중심의 과학 수업 담화를 주 자료원으로 하여 과학적 추론의 흐름의 양상을 분석 및 해석한 결과, 총 3개의 과학적 추론의 양상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서, 연역적 추론(담화 단편 1개), 귀납적 추론(담화 단편 1개), 귀추적 추론(귀추-연역적 추론, 담화 단편 2개)이 질적으로 해석되어 제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과학 담화에서 추론이 명시적이고 암시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생의 상호주관성의 형성에 따라 추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학생의 추론 전개에서 추론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scientific reasoning that students and their teachers construct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in terms of basic reasoning types; deduction, induction, and abduction.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3 classes of 4th grade science activities dur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수업에 대한 연구는 무엇을 담아야 하는가? ‘과학수업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What’s happening in the classroom?) 이 화두는 지난 십여 년 사이에 국내 과학교육 연구를 ‘과학수업 자체’ 를 미시적으로 보는 질적 연구로 이끌었다. 과학수업에 대한 연구는 타 교과목 수업과 차별되는 과학수업 자체의 ‘고유성’ 을 담아야 한다. 그렇지만, 그 동안 이루어진 과학수업의 질적 연구가 대체로 모든 교과목에 공통적인 ‘수업의 일반성’ 측면을 드러내는 경향이 많았다.
귀추란? ‘귀추(abduction)’ 는 학교 과학에서 지나치게 정당화 맥락만을 강조하여 주목받지 못했던 추론법으로서, 귀납과 연역이 설명해내지 못하는 이론(설명적 가설)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었다(Hanson, 1958; Lawson, 2000). 귀추는 특정한 사실이나 법칙, 가설을 추론하여 어떤 현상이나 관찰 내용을 설명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Magnani, 2001).
과학 학습에서 연역과 귀납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과학 학습에서 연역과 귀납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과학학습 과정에서 연역적 사고는 설명이나 예측을 요구하는 과제에서 많이 사용된다. 주어진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자연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데 연역적 과정이 사용된다(박종원, 2000; Chalmers, 1985). 또 귀납은 과학적 추론의 주요 요소로 강조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과학 지식의 생성에서 관찰이 갖는 위상이 컸기 때문이다(Gustason, 1994; Jung, 1996; Kuhn et al., 1988; Lawso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용주, 정진수, 박용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2. 권현정(2003). 중학교 과학실험실 수업에서의 교사 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4. 박종원(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5.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6. 유은정, 고윤정, 이선경, 김찬종(2006). 과학수업에서 초임교사의 수업담화와 내러티브 특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101-127. 

  7. 이규호, 권병두(2010). 지구과학적 현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 제안. 한국지과학교육학회지, 31(2), 185-202. 

  8. 이옥희(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혜정, 양일호, 서형두, 정재구(2005).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초등과학교육, 24(2), 123-129. 

  10.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11. Anderson, J, R. (200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6th ed.). New York: Worth Publishers. 

  12. Chalmers, A. (1985). 현대의 과학철학 (신일철, 신중섭 역). 서울: 서광사. (원서 1982년 발행) 

  13. Flach, P. A. & Kakas, A. C. (2000). Abductive and inductive reasoning: Background and issues. In P. A. Flach & A. C. Kakas (eds.). Abduction and induction: Essays on their relation and integration (pp.1-27). Dordrecht/Boston/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Gustason, W. (1994). Reasoning from Evidence: Inductive Logic.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ers. 

  15.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Hanson, N. R. (1971). Observation and explanation: A guide to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UK: George Allen & Unwin. 

  17. Hammer, D., Russ, R., Mikeska J., & Scherr, R. (2008). Identifying inquiry and conceptualizing students'abilities. In R. A. Duschl & R. E. Grandy (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pp. 138-156),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18. Jung, S. (1996). The logic of discovery: An interrogative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New York: Peter Lang. 

  19.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1. Lawson, A. E. (2000). How do humans acquire knowledge? and what does that imply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 Education, 9, 577-598. 

  22. Lawson, A. E. (2004). T. rex, the crater of doom,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 Education, 13, 155-177. 

  23. Magnani, L. (2001). Abduction, reason, and science process of discovery and explanation.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 

  24. Siegel, H. (1989). The rationality of science, critical thinking and science education. Synthese, 80(1), 9-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