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4, 2020년, pp.522 - 532  

김혜란 (서재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o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survey was based on responses from 100 teachers who have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상황에서 초등 과학 교과 온라인 수업의 운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효과적인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과 온라인수업의 운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 실태,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에 대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과 온라인수업의 운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점을 마련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는 2020학년도에 학습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원격수업 플랫폼인 KERIS e학습터를 활용하여 비대면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호감, 공영태, 권혁순, 김재영, 배진호 송명섭 신영준, 양일호, 윤혜경, 이대형, 이명제, 임채성, 임희준, 장신호, 전영석, 채동현(2007). 초등과학교육론. 서울:교육과학사. 

  2. 고복희(2007).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만족도.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2020). 초등학교 과학 4-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과서. 

  4. 권점례(2020). 뉴 노멀 시대, 교육의 과제: 초?중?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및 개선 방안 탐색. 제 14회 청람 교육포럼 자료집, 63-99. 

  5. 김상미(2020).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지, 21(6), 1091-1100. 

  6. 김수연, 강동웅(2020). 교사 10명 중 8명 "원격수업으로 학생 간 학습격차 커졌다". JTBC 뉴스, Retrieved September 21, 2020, from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70582 

  7. 박명숙(2016). 온라인 음악교육에서 이러닝 품질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음악교육공학, 28, 1-15. 

  8. 박재명(2020). 초중고 540만 명 사상 초유의 원격수업... 학부모들 "수업의 질 높여야". 동아일보, Retrieved April 20, 2020, from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20/100735846/1 

  9. 변근아(2020). [코로나 시대 교육 방향] '쌍방향 원격수업' 피로감 심각하다. 중부일보, Retrieved October 11, 2020, from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448315 

  10. 서나래(2020). 초?중등 영어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온라인 개학(2020)의 특수한 맥락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쌍철(2017). 교과선택권 확대를 위한 온라인수업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12. 이준희(2020). 과학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은정, 권수미(2020). 비대면 음악 온라인 원격 수업 실태 연구. 예술교육연구, 18(3), 165-184. 

  14. 장미경(2018). 인문계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 이용에 관한 만족도 조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장지훈(2020). 원격수업 학생 평가 어떻게?...'과정중심평가' 모델 보급. 서울뉴스1, Retrieved November 9, 2020, from https://www.news1.kr/articles/?4112722 

  16. Keegan, D. (1996). On defining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