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교육 평가인증의 국제적 동향
Current Trend of Accredita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2 no.1, 2020년, pp.9 - 15  

안덕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accredita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is a priority on the agenda for many countries worldwide.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s (WFME) launch of its first trilogy of standards in 2003 was a seminal event in promoting accreditation within basic medical education (BME) glob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논문에는 기본의학교육, 졸업후교육 그리고 평생전문직업성교육의 세 단계가 의사양성의 단계별 시점에 의한 별도의 영역 구분 없이 평가인증이라는 공통된 개념에서 평가인증에 대한 현시대의 새로운 변화에 초점을 두고 혼합적으로 기술하였다.
  •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기본의학교육, 졸업후교육 그리고 평생전문직업성교육의 평가인증에 관련되는 국제적인 변화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종 간 교육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제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커뮤니티케어라는 이름으로 통합돌봄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실제로 이를 준비하기 위해 직종 간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도하는 의과대학이나 다른 의료인 양성기관도 아직은 없어 보인다. 선진국의 의학교육학회에서 흔하게 회자되는 직종 간 교육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이제서야 본격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기 때문이다. 정부가 던진 통합돌봄이 화두가 된 지 1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아 향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모든 나라에서 의학교육은 어떻게 분절되어 있는가? 나라마다 추진하고 있는 의학교육에 관한 평가인증 정보를 모두 파악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의학교육은 모든 나라가 현재 기본의학교육, 인턴과 전공의를 위한 졸업후의학교육 그리고 보수교육 혹은 평생교육으로 사용되는 평생전문직업성교육으로 분절되어 있고, 평가인증제도도 의사양성의 시점에 따라 역시 크게 3분화되어 있다. 그럼에도 전 세계 의과대학의 평가인증을 이끄는 WFME의 활동이나 의학교육 발전의 선두주자의 역할을 하는 몇몇 주요 국가의 변화는 이들이 갖고 있는 국제적인 의학교육과 평가인증에 대한 영향력과 국제적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기에 의학교육자 모두는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건강시스템과학이 개발된 목적은 무엇인가? Skochelak 등[12]은 의학교육의 제3의 축인 건강시스템과학(health systems science, HSS)을 소개하였고, 향후 이 부분에 대한 평가인증기준의 설정과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이 예상되고 있다. HSS는 기존의 전통적인 의학교육으로는 의료체계 및 제도 속에서 사회가 원하는 양질의 의료와 건강증진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동시에 비용 효과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미래의료인은 전통적인 환자 진료를 위한 임상과 기초의 능력 이외에 의료전달체계에 정통하고, 환자 문제를 총체적으로 분석・조망한 후 현명하고 이성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사회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Human Resources for Health: Workforce 203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2.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orld Directory of Medical Schools. Ferney-Voltair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2016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ww.wdoms.org. 

  3.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ternet]. Ferney-Voltair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fme.org. 

  4. Karle H. Global standards and accreditation in medical education: a view from the WFME. Acad Med. 2006;81(12 Suppl):S43-8. 

  5. Barzansky B. Overview of the self-study process: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lege of Medicine [Internet]. Washington (DC):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2019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s://medicine.musc.edu/about/lcme-reaccreditation. 

  6. United Nation. Ageing [Internet]. New York (NY): United Nation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ww.un.org/en/sections/issuesdepth/ageing/index.html. 

  7. Chun Y. The use and coordination of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continuum of care. Health Soc Welf Rev. 2018;38(4):10-39. 

  8. Ahn D, Oh Y. Integrated care I: community care, where it is from?: working paper 2019-1 [Internet]. Seoul: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9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ww.rihp.re.kr/research/working-paper/?uid2498&moddocument&pageid1. 

  9. Zorek J, Raehl C.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in the USA: a comparative analysis. J Interprof Care. 2013;27(2):123-30. 

  10. Hwang U, Shah MN, Han JH, Carpenter CR, Siu AL, Adams JG. Transforming emergency care for older adults. Health Aff (Millwood). 2013;32(12):2116-21. 

  11. Tidwell N. Geriatric Emergency Department Accreditation [Internet]. Irving (TX):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s://www.acep.org/how-we-serve/sections/medical-directors/news/march-2019/geriatric-emergency-department-accreditation/. 

  12. Skochelak SE, Hawkins RE, Lawson LE, Starr SR, Borkan JM, Gonzalo JD. AMA Education Consortium: health systems science. Philadelphia (PA): Elsevier; 2017. 

  13. ten Cate O. Entrustability of professional activities and competencybased training. Med Educ. 2005;39(12):1176-7. 

  14. Dreyfus HL, Dreyfus SE, Athanasiou T. Mind over machine: the power of human intuition and expertise in the era of the computer. New York (NY): Free Press; 1986. 

  15. Frank JR, Snell LS, Cate OT, Holmboe ES, Carraccio C, Swing SR, et 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ory to practice. Med Teach. 2010;32(8):638-45. 

  16.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2019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orld Conference: programme [Internet]. Ferney-Voltair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ww.wfme2019.org. 

  17. Davis DJ, Ringsted C. Accreditation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 do the standards contribute to qual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06;11(3):305-13. 

  18. van Zanten M, McKinley D, Durante Montiel I, Pijano CV.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in Mexico and the Philippines: impact on student outcomes. Med Educ. 2012;46(6):586-92. 

  19. McGaghie WC, Miller GE, Sajid AW, Telder TV.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n medical education: an introduction. Public Health Pap. 1978;(68):11-91. 

  20. Shojania KG, McDonald KM, Wachter RM, Owens DK. Closing the quality gap: a critical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volume 1. series overview and methodology.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21. Barzansky B, Hunt D, Moineau G, Ahn D, Lai CW, Humphrey H, et a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an accreditation system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enefits and challenges. Med Teach. 2015;37(11):1032-8. 

  22. Naska T. Oversight of postgradut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philosophy and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2019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orld Conference: 2019 Apr 7-10;Seoul, Korea. Ferney-Voltair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2019. 

  23. World Medical Association. WMA Declaration on guidelines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care: 60th WMA General Assembly, New Delhi, India, October 2009, and reaffirmed with minor revision by the 213th WMA Council Session, Tbilisi, Georgia, October 2019. Ferney-Voltaire: World Medical Association; 2019. 

  24.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IAMRA Symposium 2019: continued competency: balancing assurance and improvement [Internet]. Euless (TX):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www.iamra2019.com. 

  25.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Milestones [Internet]. Chicago (IL):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s://www.acgme.org/What-We-Do/Accreditation/ Milestones/Overview. 

  26. Asch DA, Nicholson S, Srinivas S, Herrin J, Epstein AJ. Evaluating obstetrical residency programs using patient outcomes. JAMA. 2009; 302(12):1277-83 

  27. Sirovich BE, Lipner RS, Johnston M, Holmboe ES. The association between residency training and internists' ability to practice conservatively. JAMA Intern Med. 2014;174(10):1640-8. 

  28. Chen C, Petterson S, Phillips R, Bazemore A, Mullan F. Spending patterns in region of residency training and subsequent expenditures for care provided by practicing physicians for Medicare beneficiaries. JAMA. 2014;312(22):2385-93. 

  29. Smirnova A, Ravelli AC, Stalmeijer RE, Arah OA, Heineman MJ, van der Vleuten CP,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learning climate and adverse obstetrical outcomes in 16 nontertiary obstetrics-gynecology departments in the Netherlands. Acad Med. 2017;92(12):1740-8. 

  30. International Academy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creditation [Internet]. Ottawa (ON): International Academy for CPD Accreditation [cited 2020 Jan 8]. Available from: https://academy4cpdaccreditation.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