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령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
Inhibitory Effect of Polyporus umbellatus Extract on Melanogenes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37 no.1, 2020년, pp.24 - 30  

강리아민주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박설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뷰티디자인학과) ,  문연자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우원홍 (원광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lanogenesis inhibition of ethanol extract of Polyporus (EP) by using B16F10 melanoma cells. Methods : We measured antioxidant effect of EP by using 1,1-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we confirm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α-MSH는 생체 내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본 실험에서는 α-MSH를 세포에 처리하여 과색소형성 유도 시 저령에탄올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  1% DMSO가 첨가된 1 N NaOH 용액에 90℃에서 1시간동안 멜라닌을 용해시키고, 96 well plate에 60 μl 씩 넣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72시간 배양 후 세포의 수지상돌기의 변화를 위상차도립현미경(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BS로 2회 세척 하고 세포를 모아 eptube로 옮긴 후 15,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관찰하였다.
  •  세포의 형태적 관찰은 6 cm 배양용기에 1.5×104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부착시킨 뒤 시료 처리 1시간 후에 α-MSH (100 μM)를 처리하였다.
  • 10 cm 배양용기에 6×104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부착시킨 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 10 cm 배양용기에 2.5×104개의 세포를 심고 24시간동안 부착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 하고, 1시간 후 α-MSH (10 μM)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 하였다.
  • 1% tween-20)로 blocking 후 1차 antibody를 blocking 버퍼에 희석하여 4℃에서 overnight 하였다. 2차 antibody는 anti-rabbit IgG, anti-mouse, anti-goat를 1:5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반응시킨 다음 TBST로 세척고 ECL (Millipore, USA) 용액으로 발색 후 chemiDoc (Bio-Rad, USA)을 이용해 촬영하였다.
  • Mushroom tyrosinase는 버섯이 생물/비생물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생성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저령 에탄올추출물이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1 M PMSF)로 세포를 용해하여 4℃에서 15,000 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Hanil, Korea)하여 얻은 상층액을 tyrosinase 활성 측정용액으로 사용하였다. Protein assay 용액으로 59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동량의 단백질 양을 계산하였다. 동일양의 단백질과 0.
  • 동일양의 단백질과 0.1 M SPB (pH 6.8)의 총량이 150 μl가 되도록 고 0.1% L-dopa를 50 μl씩 분주하여 혼합한 후 ELISA reader로 475 nm의 파장으로 30분에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 또한 α-MSH로 증가된 멜라닌이 저령추출물 50, 100 μg/ml에 의해 감소함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였다(Fig. 5E).
  • 멜라닌 정량은 Hosei 등 21) 의 방법을 변형해 사용하였다.
  • 세포 생존율 측정은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와 MTT tetrazolium이 반응하면 MTT formazan이 형성되고 이를 다시 DMSO로 재수화시키면 보라색으로 나타나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저령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 세포 생존율 측정은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와 MTT tetrazolium이 반응하면 MTT formazan이 형성되고 이를 다시 DMSO로 재수화시키면 보라색으로 나타나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저령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시료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의 94.
  • 저령 에탄올추출물이 tyrosinase를 안정화시키고 활성을 조절하는 TRP-1과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TRP-2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α-MSH를 처리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했다.
  • 저령 에탄올추출물이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농도별로 48시간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 및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DPPH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게 되면 free radical이 소거되어 탈색되는 점을 이용해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플라보노이드 등 환원력이 높은 물질들이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이 높다고 보고되어 저령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능을 DPPH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료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71.
  • 항산화활성은 Blosis방법을 19) 이용한 1,1-dipheny1-2-picry1-hydrazyl (DPPH; Sigma, USA)를 사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한국세포주은행(Seoul, Korea)에서 분양받은 B16F10 melanoma 세포를 5% fetal bovine serum (FBS; Welgene, Korea)가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Welgene, Korea) 을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으로 평균갑을 구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sigmaplot 10.0 (San Jose, CA, USA)을 이용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p-value를 구하였으며, p〈0.05인 경우 *(#)로 표기하였고, p〈0.01인 경우 **(##)로 표기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였다.

이론/모형

  •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은 Matinez-Esparza 등 20) 의 방법으로측정하였다. 10 cm 배양용기에 5×104 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부착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PPH를 이용하여 저령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는? 플라보노이드 등 환원력이 높은 물질들이 DPPH 라디칼을 소거능이 높다고 보고되어 저령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DPPH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료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71.6%, 91.2%와 90.4%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Fig. 2).
멜라닌 세포란 무엇인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 활성산소가 생기는데, 활성산소는 피부 속 인지질과 단백질 등을 손상시켜 피부 주름이나 노화를 촉진한다. 우리 몸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와 세포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데1), 멜라닌 세포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 머리 및 눈동자색을 결정하는 세포로 널리 알려져 있다2).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합성되어 표피의 각질세포(keratinocyte)로 이동된다.
활성산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또한 햇빛과 반응해 피부에서는 vitamin D 합성 및 당질 대사 활성이 증가되지만 자외선은 발암물질로 선정이 될 만큼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 활성산소가 생기는데, 활성산소는 피부 속 인지질과 단백질 등을 손상시켜 피부 주름이나 노화를 촉진한다. 우리 몸은 자외선에 대한 피부와 세포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데1), 멜라닌 세포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 머리 및 눈동자색을 결정하는 세포로 널리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ang TW, Park JH.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ies of flower and fruit of Sophora japonica L. Korean J Plant Res. 2017 ; 30(1) : 22-8. https://doi.org/10.7732/kjpr.2016.30.1.022 

  2. Yu JS, Kim AK. Effect of combination of taurine and azelaic acid on antimelanogenesis in murine melanoma cells. J Biomed Sci. 2010 ; 17 Suppl 1: S45. https://doi.org/10.1186/1423-0127-17-s1-s45 

  3. Yamaguchi Y, Brenner M, Hearing VJ.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J Biol Chem. 2007 ; 282(38) : 27557-61. https://doi.org/10.1074/jbc.R700026200 

  4. Hwang BH. Medicinal Mushrooms mushrooms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est Bioenergy. 2008 ; 27(1): 36-46. 

  5. Jin JP, Jang JS. Edible medicinal herbal dictionary. 1st ed. Seoul : Bubinprint. 2013 : 880. 

  6. Kaminage T, Yasukawa K, Kanno H, Tai T, Nunoura Y, Takido M. Inhibitory effects of lanostane-type triterpene acids, the components of Poria cocos, on tumor promotion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Oncology. 1996 ; 53(5) : 382-5. https://doi.org/10.1159/000227592 

  7. Lee WY, Park Y, Park Y, Ahn JK, Park SY, Lee HJ. Cytotoxic activity of ergosta-4,6,8(14),22-tetraen-3-one from the sclerotia of Polyporus umbellatus. Bull Korean Chem Soc. 2005 ; 26(9) : 1464-6. 

  8. Lu W, Adachi I, Kano K, Yasuta A, Toriizuka K, Ueno M, et al. Platelet aggregation potentiators from cho-rei. Chem Pharm Bull (Tokyo). 1985 ; 33(11): 5083-7. https://doi.org/10.1248/cpb.33.5083 

  9. Ishida H, Inaoka Y, Shibatani J, Fukushima M, Tsuji K. Studies of the active substances in herbs used for hair treatment. II. Isolation of hair regrowth substances, acetosyringone and polyporusterone A and B, from Polyporus umbellatus fries. Bio Pharm Bull. 1999 ; 22(11) : 1189-92. https://doi.org/10.1248/bpb.22.1189 

  10. Ohsawa T, Yukawa M, Takao C, Murayama M, Bando H. Studies on constituents of fruit body of Polyporus umbellatus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Chem Pharm Bull (Tokyo). 1992 ; 40(1) : 143-7. https://doi.org/10.1248/cpb.40.143 

  11. Nguyen TPT, Hung TM, Cuong TD, Huh JI, Kwack SJ, Kim JM, et al. Analysis and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 from Ephedrae herba, Phytolaccae radix and Polyporus for toxicity study. Korean J Pharmacogn. 2010 ; 41(2) : 141-6. 

  12. Lee HS, Hwang IH, Kim JA, Choi JY, Jang TS, Osada H, et al. Isolation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y constituents from the sclerotia of Polyporus umbellatus fries. Bull Korean Chem Soc. 2011 ; 32(2) : 697-700. 

  13. Lee JW, Shin YJ, Cho DJ, Lim HJ, Choi WE, Lee YK. Antitumor and antimutagenic effect of the proteinpolysaccharides from Polyporus umbell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 33(3) : 475-9. https://doi.org/10.3746/jkfn.2004.33.3.475 

  14. Park JC, Yoo BG. The effects of inhibited on superoxide radical to Grifola umbellata extract on mic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3 ; 26(4) : 47-52. 

  15. Ha YD. Antitumor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franctions from Grifola umbellatu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001 ; 8(4) : 481-7. 

  16. Park JC.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Grifola umbellata hot water extract on mic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05 ; 28(4) : 333-40. 

  17. Hong YJ, Jang AR, Yang KS.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expression of ergosterol derivatives from Phellinus pini. Nat Prod Sci. 2013 ; 19(3) : 258-62. 

  18. Cho YK, Shin DS, Paik DH, Yoon DY, Shin 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3,4-dihydroxybenz aldehyde Isolated from Pinellia ternate. Kor J Herbology. 2006 ; 21(2) : 1-7. 

  19. Blois M.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181: 1199-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20. Martinez-Esparza M, Jimenez-Cervantes C, Solano F, Lozano JA, Garcia-Borron JC.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B16/F10 mouse Mmlanoma cells. Eur J Biochem. 1998 ; 255 : 139-46. 

  21.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lpha}$ ,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1985 ; 45 : 1474-8. 

  22. Videira, IFS. Moura DFL, Magina S. Mechanisms regulating melanogenesis. An Bras Dermatol. 2013 ; 88(1) : 76-83. https://doi.org/10.1590/s0365-05962013000100009 

  23. Matta MK, Zusterzeel R, Pilli NR, Patel V, Volpe DA, Florian J, et al. Effect of sunscreen application under maximal use conditions on plasma concentration of sunscreen active ingredie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9 ; 321(21) : 2082-91. https://doi.org/10.1001/jama.2019.5586 

  24. Tan XL, Lei G, Wang GH. Polyporus umbellatus inhibited tumor cell proliferation and promoted tumor cell apoptosis by downregulating AKT in breast cancer. Biomed Pharmacother. 2016 ; 83 : 526-35. https://doi.org/10.1016/j.biopha.2016.06.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