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개 지역 D 와 S 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 목적, 과정에 설명을 하고 동의한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1.0 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분산분석, t검증, 상관분석, 희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중년여성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주관적 경제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갱년기증상(β=.409, p<.001), 자아존중감(β=-.368, p<.001), 건강상태(β=-.094 p=.174), 경제상태(β=.067 p=.353)순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과 우울정도를 확인하여 갱년기를 자연스러운 인생의 전환기로 받아들이고 갱년기 여성의 사회정책, 간호정책개발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cteric Symptom and Self 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 woman.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25 D & S city middle aged womans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instability. The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are Climacteric Symptom(β=.409, p<.001), Self Esteem(β=-.368 p<.001), economic status(β=.067 p=353), health status(β=-.094 p=.174). It sh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policy nursing policy for menopausal women by confirming the symptoms of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accepting menopausal period as a turning point of natural lif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중년 여성 | 중년 여성은 무엇에 의해 우울을 경험하는가? |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와 여성으로서의 역할변화, 갱년기 증상, 자녀의 독립, 배우자의 은퇴 등 심리적인 증상
최근 중년여성은 인생의 전환점으로 체력 저하, 생리주기의 불안정으로 인한 초조감, 업무능력 저하, 죽음과 노화에 대한 불안감 등이 증가하는 시기이다[1]. 중년 여성은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와 여성으로서의 역할변화, 갱년기 증상, 자녀의 독립, 배우자의 은퇴 등 심리적인 증상으로 우울을 경험하며 우울로 인하여 소외감, 열등감, 허무감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 우리나라는 폐경연령을 45세에서 55세로 보며, 폐경연령의 평균은 50-51세로서 이 연령을 중심으로 갱년기증상이 시작되는 시기를 고려하여 40세 이상에서 59세 까지의 여성을 중년 여성이라 한다[3]. |
갱년기 증상 |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37%이상이 경험하는 주요 갱년기 증상은 무엇인가? |
요통, 팔다리 쑤심, 관절통, 두통, 피로 등
또한 신경과민, 우울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한다.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37%이상이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며 주요증상은 요통, 팔다리 쑤심, 관절통, 두통, 피로 등이며 갱년기 증상이 많을수록 우울증상이 높아진다고 보고 하였다[4].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의미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의미라고 하였다[5]. |
중년여성의 갱년기 | 중년여성의 갱년기에는 어떤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는가? |
신경과민, 우울
중년여성의 갱년기는 생식 생리의 변화를 겪으면서 고독을 느낀다. 또한 신경과민, 우울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한다.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37%이상이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며 주요증상은 요통, 팔다리 쑤심, 관절통, 두통, 피로 등이며 갱년기 증상이 많을수록 우울증상이 높아진다고 보고 하였다[4].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