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Play Therapy Case Study-Focusing on the Daytime Protection Center User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76 - 184  

신준옥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단기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5명이다. 연구기간은 2018.1. 2. - 2. 28. 까지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문제행동 진단척도(K-CBCL)로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를 질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장애아동들은 공격성, 위축, 우울, 불안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활동적이 모습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개입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는 장애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play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study were in special schools and 5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short-term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달장애아동은 판별력, 주의력, 기억력, 일반화 영역에서 결핍을 보이며 결핍을 보이는 요인은 사회적 감정, 사회적 기술, 사회적 인지손상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또래나 동료로부터 거부당하고, 인정받지 못하여 정서적, 행동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이에 반응한다. 또한 발달 장애로 인하여 과잉행동과 공격행동, 자해행동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나므로, 비장애아동에 비해 발달장애아동은 집단에서 공격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며 지시수행이 가능하고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 는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5명의 장애학생에게 집단놀이치료 효과성 연구를 통하여 개입 전·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 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5명에게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개입 전과 개입 후의 결과를 비교하는 단일집단검사설계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아동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로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미치 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 은 경기도 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주간보호 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주 2회 매 회기마다 40분씩 모두 총 12회기를 제공 하였다.
  •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부적절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자세한 내용은 Table 3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장애아동이 활동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담당사회복지사의 관 찰일지와, HTP, KFD 도구를 활용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HTP는(House-Tree-Person Test)는 [17]이 개발한 집, 나무, 사람을 그려보는 검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놀이치료가 경기도 내 특수학 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와 놀이치료사와 상담을 통하 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주간보호센터의 목적은 무엇인가?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는 장애인이 일상생활 및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모든 지원을 낮 시간 을 활용하여 아동의 발달 수준과 특성에 맞게 재활, 교육, 케어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그 가족에게는 사회 및 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부양부담을 경감시 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93년 엠마우스 장애인 주간보호센터가 최초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전국적으로 625개의 장애인 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은 발달장애인이 80% 이상이다.
최근까지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하여 사용한 기법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까지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하여 사용한 기법은 전통적인 훈계, 행동수정기법(토큰강화, 반응대가, 소거, 타임아웃)등 이었으며 개입한 이후의 행동변화는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4]. 최근에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면서 문제행동의 기능에 따른 개입을 고안하게 되었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대체 교수법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했을 때 그 결과는?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장애아동들은 공격성, 위축, 우울, 불안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활동적이 모습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개입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는 장애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 Y. Kwon & M. S. Kim. (2016).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Research in which the Family Participated as Mediators.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18(3), 23-44. 

  2. Y. S. Kim, K. K. Yoo, J. S. Roh, N. K. Choi & S. J. Kim. (2007).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Teacher's ADHD Assessment Scale(K-ARS). Neuropsychiatry, 42(3), 352-359. 

  3. H. L. Egger & A. Angold. (2006). Common emotional and behavioraldisorders in preschool children: Presentation, nosology, and epidemiology. Journal of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ic, 47, 313-337. 

  4. J. K. Park, E. R. Kim & S. H. Kwon. (2014). Parents' Mediation and Awareness of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tardation, Duplicate, and Health Disability Research, 57(3), 23-48. 

  5. M. S. Shin , H. J. Kim & H. J. Jang. (2013). A Case Study on the Group Therapy Play Program on Self-esteem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s of Half-Parent Families, Play Therapy Research, 17(2), 109-124. 

  6. S. H. Seok & S. H. Shin. (2010).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Parent-Family and Single-Family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Nursing, 40(3), 367-377. 

  7. D. K. Han. (2016). Theatrical therapy for adaptation of school life to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8. H. J. Kim, H. J. Jang,M. S. Shin & H. S. Jeon. (2016). Literature Study on Mediat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ech Therapy Research, 25(1), 223-224. 

  9. A. M. Jernberg. (1979). Theraplay. San Francisco : Jossey-Bass Inc.Publishers. 

  10. J. J. Hong & M. J. Lee.(2012).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 Research. 13(3), 1-21. 

  11. S. H. Hong & J. Y. Park. (2011).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Self-harm and Offens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e Autism,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Research. 27(1), 141-167. 

  12. M. Y. Yoo. (2011).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with Aggressive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Dongguk University, Seoul. 

  13. E. Y. Chae & M. J. Jung. (2016). Meta Analysis of Domestic Group Play Therapy Program,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eutics. 19(2), 159-177. 

  14. O'connor, K. J. (1991). The play Therapy Primer. New York: Wiley. 

  15. G. L. Landreth, (2002). Play therapy : The art of the relationship. New York : Taylor & Francis Books, Inc. 

  16. S. Berggren. (2004). Massage in school reduces stress and anxiety. Young Children, 59(5), 67-68. 

  17. T. M. Achenbach & C. S. Ederlbroch. (199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18. K. J. Oh, H. R. Lee, K. U. Hong & E. H. Ha. (1997). K-CBCL Child and Youth Behavior Assessment Scale, Seoul: Central Publishing House. 

  19. J. Y. Kang. (2010). The Effects of Group Therapy Play to Reduce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 School Children's Guidance Paper, 6(1), 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