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엉덩관절 폄 시 무릎 굴곡 각도에 따른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수축 개시시간 특성
Muscle Contraction Onset Time Characteristics of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According to Knee Flexion Angles During Prone Hip Extension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8 no.3, 2020년, pp.375 - 382  

김용욱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송제현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연우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경석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국가영 (전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윤성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cle contraction onset time characteristics of the gluteus maximus, semitendinosus, and biceps femoris muscles at different knee flexion angles in individuals with shortened or over-lengthened hamstrings performing prone hip extension. Me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뒤넙다리근의 단축과 과신 장이 그룹에서 PHE 수행 시 근육의 길이 변성에 따른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무릎의 굴곡 각도 조정을 통한 뒤넙다리근의 길이 변화를 주었을 때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뒤넙다리근의 단축과 과신장이 있는 연구대상자로 PHE 수행 시 무릎 굴곡 각도에 따라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엉덩관절 폄에 필요한 큰볼기근의 지연된 근활성의 변화는 근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약화된 큰볼기근을 대체 보상하기 위한 뒤넙다리근의 보완적 과사용은 뒤넙다리근 단축과 긴장(tightness)을 일으켜 두 근육 간 협력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Friel et al.
  • 본 연구는 뒤넙다리근이 단축과 과신장을 보이는 26명을 대상으로 PHE 수행 시 무릎 굴곡 각도에 따른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그룹에서 무릎 굴곡 각도의 변화에 따른 큰볼기근의 근수축 개시 시간에는 영향이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ra L, Sahrmann SA. Muscle activation and movement patterns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 in wome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9;44(3):238-248. 

  2. Friel K, McLean N, Myers C, et al. Ipsilateral hip abductor weakness after inversion ankle sprai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6;41(1):74-78. 

  3. Hewett TE, Myer GD, Ford KR.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Part 1, mechanisms and risk factor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6;34(2):299-311. 

  4. Hossain M, Nokes LDM. A model of dynamic sacro-iliac joint instability from malrecruitment of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s resulting in low back pain. Medical Hypotheses. 2005;65(2):278-281. 

  5. Hungerford B, Gilleard W, Hodges P. Evidence of altered lumbopelvic muscle recruitment in the presence of sacroiliac joint pain. Spine (Phila Pa 1976). 2003;28(14):1593-1600. 

  6. Jeon IC, Hwang UJ, Jung SH, et al. Comparison of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three different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in healthy volunteers. Physical Therapy in Sport. 2016;22:35-40. 

  7. Kendall FP, McCrea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2005. 

  8. Kim TW, Woo YK, Kim YW.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hip extension on the muscle onset time of gluteus maximus, hamstring, and lumbar erector spinae in subjects with hyperlordotic lumbar angle.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014;33:34. 

  9. Lee DK, Oh JS. Relationship between hamstring length and gluteus maximus strength with and without normalizatio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8;30(1):116-118. 

  10. Powers CM, Ward SR, Fredericson M, et al. Patellofemoral kinematics during weight-bearing and non-weightbearing knee extension in persons with lateral subluxation of the patella: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3;33(11):677-685. 

  11. Sahrmann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London. Mosby. 2002. 

  12. Sahrmann S, Azevedo DC, Dillena LV.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Brazilia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2017;21(6):391-399. 

  13. Sakamoto AC, Teixeira-Salmela LF, de Paula-Goulart FR, et al. Muscular activation patterns during active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09;19(1):105-112. 

  14. Schuermans J, Van Tiggelen D, Witvrouw E. Prone hip extension muscle recruitment is associated with hamstring injury risk in amateur soccer.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7;38(9):696-706. 

  15. Seniam. http://www.seniam.org/. 2018. 

  16. Suehiro T, Mizutani M, Watanabe S, et al. Comparison of spine motion and trunk muscle activity between abdominal hollowing and abdominal bracing maneuvers during prone hip extension.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14;18(3):482-488. 

  17. Vogt L, Pfeifer K, Banzer W. Neuromuscular control of walking with chronic low-back pain. Manual Therapy. 2003;8(1):21-28. 

  18. Nishimura Y, Nakajima Y. Effect of muscle length on the recruitment property of single motor units in humans. Neuroscience letters. 2002;332(1):49-5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