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근력이 약한 여성과 정상 여성에게 복부 드로우-인 운동 후 엉덩관절 폄 시 허리폄근의 근수축 개시시간과 골반각도의 변화
Changes in Onset Time of Lumbar Extensor Muscles and Pelvic Angle during Prone Hip Extension after the Abdominal Draw-in Exercise in Normal Women and Women with Weak Abdominal Muscl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7 no.1, 2019년, pp.19 - 26  

김동우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한규 (부산성모병원 재활치료센터) ,  한지원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bdominal draw-in (ADI) exercise on the onset times of the gluteus maximus (GM) and erector spinae (ES) as well as the pelvic anterior tilt angle during prone hip extension (PHE). Methods : A total of 24 female adults were divid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정상인과 복부근육이 약한 대상자에서 복부 드로우-인 운동의 효과에 대해 비교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정상 여성과 복부 근육이 약한 여성에게서 복부 드로우-인 운동 후에 엎드려 누워 엉덩관절 폄을 실시하는 동안 큰볼기근과 척추세움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과 골반의 앞쪽 기울임 각도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엎드려 누워 엉덩관절 폄은 무엇인가? 엎드려 누워 엉덩관절 폄은 허리통증이나 허리-골반의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게 보편적이고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운동이다(Suehiro 등, 2015; Tateuchi 등, 2012). 또한 허리-골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허리의 과다 폄과 골반의 앞쪽 기울임과 회전 움직임, 척추세움근과 넙다리뒤근 보상적인 과활동, 큰볼기근의 약화, 허리폄근의 동원순서 등을 평가한다(Chaitow, 2001; Sahrmann, 2002).
허리-골반의 안정성의 변화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허리-골반의 안정성 변화는 엉덩관절 폄 시 허리폄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과 골반의 회전각도에 변화를 초래한다. Suehiro 등(2015)은 만성허리통증을 가진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엎드려 누워 엉덩관절 폄하는 동안 양측 뭇갈레근과 폄하는 다리의 반대 측 척추세움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이 지연됨을 보고하였다.
복부 드로우인 운동이 허리-골반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이전 연구에서 엎드려 누워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엉덩관절 폄을 실시하였는데, 큰볼기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은 당겨지고, 척추세움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은 지연되었다(Oh 등, 2006).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복부근육이 약한 여성집단은 중재 후에 양측 척추세움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부 드로우-인 운동이 허리-골반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결과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uno PA, Bagust J(2007). An investigation into motor pattern differences used during prone hip extension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Clin Chiropract, 10(2), 68-80. 

  2. Chaitow(2001). Muscle energy techniques. 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pp.180-208. 

  3. Cynn HS, Oh JS, Kwon OY, et al(2006).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muscle activity and lateral pelvic tilt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Arch Phys Med Rehabil, 87(11), 1454-1458. 

  4. Frank C, Page P, Lardner R(2009).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Illinois, Human Kinetics, pp.77-91. 

  5. Hodges PW, Gurfinkel VS, Brumagne S, et al(2002). Coexistence of stability and mobility in postural control: evidence from postural compensation for respiration. Exp Brain Res, 144(3), 293-302. 

  6. Hodges PW, Richardson CA(1997).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 Brain Res, 114(2), 362-370. 

  7. Jung HS, Jeon HS, Yi CH, et al(2012). Effects of applying the pelvic compression belt on the trunk and hip extensor electromyography pattern in female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during the one-leg standing. Phys Ther Korea, 19(2), 1-11. 

  8. Kang SY, Jeon HS, Kwon O, et al(2013). Activation of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muscles during prone hip extension with knee flexion in three hip abduction positions. Man Ther, 18(4), 303-307. 

  9. Kendall F, McCreary E, Provance P(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180-218. 

  10. Kim DW, Kim TH(2018).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and abdominal bracing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on the lateral rotation and muscle activity of the pelvis. J Exerc Rehabil, 14(2), 226-230. 

  11. Kisner C, Colby LA(2002).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pp.657-659. 

  12. McConnell J(2002). Recalcitrant chronic low back and leg pain: A new theory and different approach to management. Man Ther, 7(4), 183-192. 

  13. Neumann DA(2016).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3rd ed, St Louis, Mosby, pp.391-430. 

  14. Oh JS, Weon JH, Cynn HS, et al(2006). C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change muscle recruitment pattern during prone hip extension?. Phys Ther Korea, 13(4), 56-63. 

  15. Oh JS, Cynn HS, Won JH, et al(2007). Effects of performing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on hip and back extensor muscle activity and amount of anterior pelvic tilt. J Orthop Sports Phys Ther, 37(6), 320-324. 

  16. O'Sullivan P(2005).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disorders: maladaptive movement and motor control impairments as underlying mechanism. Man Ther, 10(4), 242-255. 

  17. Richardson CA, Jull GA(1995). Muscle control-pain control. What exercises would you prescribe?. Man Ther, 1(1), 2-10. 

  18. Richardson CA, Jull GA, Hodges PW, et al(1999). Therapeutic exercise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1st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pp.992-1001. 

  19. Sahrmann SA(2002). Diagnosis treatment movement impairment syndrome. New York, Mosby Inc, pp.51-153. 

  20. Sakamoto AC, Teixeira-Salmela LF, de Paula-Goulart FR, et al(2009). Muscular activation patterns during active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J Electromyogr Kinesiol, 19(1), 105-112. 

  21. Suehiro T, Mizutani M, Ishida H, et al(2015). Individuals with chronic low back pain demonstrate delayed onset of the back muscle activity during prone hip extension. J Electromyogr Kinesiol, 25(4), 675-680. 

  22. Tateuchi H, Taniguchi M, Mori N, et al(2012). Balance of hip and trunk muscle activ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nterior pelvic tilt during prone hip extension. J Electromyogr Kinesiol, 22(3), 391-39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