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 평가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6, 2020년, pp.684 - 694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오현석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다층 서답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응답 유형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슬점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포화수증기량 곡선에서 이슬점 찾기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이슬점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슬점에서 수증기 응결과정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개념 유형의 비율은 매우 낮았으며, 오개념 유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형 또한 다양하였다. 셋째,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학생 응답 유형 분포 분석을 토대로 4수준의 평가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구과학 분야에서 개념 이해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9th grade students' responses collected by using a multi-tiers constructed-response item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다층 서답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 또한, 과정 중심 평가로서 수행 평가에 집중하다보니 개념 학습의 교과-특수성(subject-specificity)을 고려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에 대한 학생 응답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주요 개념 중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수준별로 탐색하여 이를 적용한 개념 이해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작성된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 수준은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적응적 교수활동 (adaptive instruction)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B., Ko, Y., Kim, H., Paik, S., Park, J., Park, J., and Im, M., 2002, A study of kindergard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 types and trend of grade related to evaporation and conditions of evapora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286-298. (in Korean) 

  2. Cho, H., 2015, Driver's alternative science conception. Kyoyookgwahaksa, Gyeonggi, Korea. (in Korean) 

  3. Clement, J., 2000, Model based learning as a key research area for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1041-1053. 

  4. Clement, J. and Steinerg, M., 2002, Step-wise evolution of mental models of electric circuits: a "learning-aloud" case study.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1, 389-452. 

  5. Corcoran, T., Mosher, F., and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6. Duschl, R., Maeng, S., and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2), 123-182. 

  7. Goodrich, H.,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 14-17. 

  8. Kang, S., Seo, E., and Kim, D., 2019, Earth scienc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lute humidity and dew point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0, 624-638. (in Korean) 

  9. Lee, J, Dong, H., Choi, W., Kim, Y., and Lee, K., 2017,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2016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ORM 2017-95-4). Seoul: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Korean) 

  10. Lee, J., Lee, K., and Park, Y., 2010,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378-391. (in Korean) 

  11. Lee, K., Dong, H., Choi, W., Kwon, G., Lee, I., and Kim, Y.,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82-404. (in Korean) 

  12. Lee, K., Maeng, S., Park, Y., Lee, J., and Oh, H., 2016,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for Earth's motion and solar system in elementary grade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nd consequential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1), 177-190. (in Korean) 

  13. Maeng, S., Lee, K., Park, Y., Lee, J., and Oh,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8), 703-718. (in Korean)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committee on science learning, kindergarten through eighth grade. R.A. Duschl, H.A. Schweingruber, & A.W. Shouse (E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5. Oh, H., 2019, Action research for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using smart devices: The case of science teachers's teaching practices on the atmosphere units in middle school. School Science Journal, 13, 225-240. (in Korean) 

  16. Oh, H., 2020, Case study for earth scienc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Focused on the case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bout atmosphere and astronomy units in middle school. School Science Journal, 14, 423-440. (in Korean) 

  17. Oh, H. and Lee, K., 202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progression for solar system structure using multi-tiers supply form item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1, 291-306. (in Korean) 

  18. Rea-Ramirez, M., 1998, Model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uman respiration and strategies for instruc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 Shin, J. and Yang, I., 2017,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 873-883. (in Korean) 

  20. Son, M. and Jeong, D., 2019, Development worksheet and rubric for system thinking assesment-focused on the earth system unit in 'Integrated Science'. School Science Journal, 13, 78-94. (in Korean) 

  21.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Gauvain, M. and Cole, M (Eds.)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pp. 34-40). Scientific American Books, New York, USA. 

  22. Yang, I., Lee, H., Lee H.. and Cho, H., 2009, The development of rubrics to assess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 203-2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