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지구과학 예비 교사들의 인식
Earth Scienc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lute Humidity and Dew Point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6, 2019년, pp.624 - 638  

강소라 (충남여자중학교) ,  서은경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동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학능력시험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설문 결과 예비 교사들이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는 비례한다.", "이슬점 온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질량에 비례한다."와 같은 견고한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예비 교사들이 갖는 이러한 오개념은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부정확한 서술 내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는 증발, 응결, 압력과 온도 변화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분자운동의 관점에서 다루기 때문에,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수증기량과 이슬점 온도의 척도로서 수증기압의 도입은 예비 교사와 학습자의 오개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학 교육과정을 보다 일관되고 논리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nd all responses were analyzed to examine prospectiv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w point temperature and absolute humidity in air parcels. The responses revealed that many prospective teachers have substantial misconceptions 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고등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대기 중의 물에 관한 오개념으로 무엇이 있는가? 또한 ‘이슬점 도달’이나 ‘응결’ 등이 포화로 인한 결과가 아닌 포화의 원인으로 잘못 인지하고 있음을 밝혔다. Cho andJeong(2002)은 1032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대기 중의 물에 관한 오개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온도만 상승한다면 절대 습도는 언제나 증가한다.’는 오개념을 발견하였다.
대기 중의 물과 관련된 개념들은 어떤 점을 위해 밑바탕이 되는가? 대기 중의 물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은 초창기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 2015 개정교육과정까지 과학과의 핵심 내용으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대기 중의 물과 관련된 개념들은 단열 변화와 구름 생성, 각종 기상 현상과 같은 상위개념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바탕이 되고 있다.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 부분에서 오개념이 있다고 보이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그 결과 일부 예비 교사들이 절대 습도, 이슬점 온도, 수증기압과 같은 개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지 못했으며,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의 관계에 대해 오개념을 갖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절대 습도가 동일하지만 온도가 다른 상황에서의 이슬점 온도’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에서 온도와 무관하게 “수증기 질량과 이슬점 온도는 비례한다.”, “절대 습도와 이슬점 온도는 비례한다.”는 오개념을 발견하였다. 정압 상태로 공기 덩어리를 냉각시키면 부피의 감소로 인해 절대 습도(수증기의 밀도)는 증가하지만 온도가 감소하여 수증기압에 변화가 없으므로 이슬점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T.S. and Choi, B.S., 1991, An analysis on misconcep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atoms and molecules. Chemical Education, 14(2), 116-127. 

  2. Bar, V. and Travis, A.S., 1991, Children’s views concerning phase chang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363-382. 

  3. Barrass, R., 1984, Some misconceptions and misunderstandings perpetuated by teachers and textbooks of biology.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8, 201-206. 

  4. Cho, H.-S. and Jeong, Y.-K., 2002, A study of the misconceptions of secondary students related with the atmospheric moistur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69-86. 

  5. Choi, B., Kim, B., Kim, H., Woo, J., Jeong, W., Jeong, J., Kim, D., Lee, H., Kang, S., and Heo, M., 1993,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english misconceptions in science. Institution of Science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Choi, B., Kim, H., Kang, S., and Shin, I., 1993, Analysis of children’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3(1), 92-99. 

  7. Choi, B., Lee, H., Chu, B., Moon, B., So, Y., Lee, J., and Cho, M., 2011, High school earth science II. Chunjae Education. INC., Seoul, Korea, 141 p. 

  8. Duit, R., 1991,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boiling. Science Education, 83(5), 511-526. 

  9. Fisher, K. and Lipson, J., 1986, Twenty questions about student err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783-803. 

  10. Gilbert, J.K., Osborne, R.J., and Fensham, P.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1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7, Question #19 of Earth Science II of 2018 June Evaluation Test for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http://www.kice.re.kr/boardCnts. 

  12. Jeon, I.Y. and Kook, D.S., 1998, Misconceptions of secondary students on cloud fo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3), 269-275. 

  13. Jeong, A.K., 2003,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nd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evaporation and boiling.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4. Jeong, W., Kwon, J., Kim, B., Kim, S., Paik, S., Woo, J., Lee, B., Lee, S., Jeong, J., and Choi, B., 2004, Middle school science 3. Kyohaksa, Seoul, Korea, 116-117 p. 

  15. Kang, D.-H., 2001, The patterns of students' conceptions and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n dissolution.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 Kim, C., Kim, H., Park, S., Oh, C., Yang, J., Jang, H., Jeong, J., Cho, H., Choi, H., Han, S., Hyeon, J., and Hong, K., 2003, Middle school science 3. Didimdol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26-129 p. 

  17. Kim, C., Kim, S., Hyeon, J., Kim, H., Kim, H., Cho, H., Song, J., Park, M., Kim, K., Yoon, Y., Kim, M., and Lee, T., 2012, Middle school science 3. Doosan Dong-A Co., Ltd., Seoul, Korea, 197-198 p. 

  18. Kim, H., Jeong, N., Shin, D., Park, J., Lee, J., Han, H., and Park, Y., 2003, High school earth science I. Chunjae Education. INC., Seoul, Korea, 94-95 p. 

  19. Lee, J., Ryu, H., Chu, B., Moon, M., Lee, I., Seo, K., and Cho, M.,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I. Mirae N Culture Group, Seoul, Korea, 125 p. 

  20. Lee, K., Kim, S., Kim, T., An, H., Park, G., Choi, M., Kim, H., Kim, H., Kwon, H., Park, H., Lee, J., Oh, H., Cho, H., Yoon, H., Jeong, H., Lee, J., Ryu, H., Choi, K., Moon, M., and Oh, M., 2013, Middle school science 2. Mirae N Culture Group, Seoul, Korea, 132-133 p. 

  21. Lee, M., Jeon, S., Kwon, S., Jin, M., Shin, S., and Lim, B., 2002, High school earth science I. Kumsung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16 p. 

  22. Lee, S., Chae, K., Kim, K., Lee, M., Kwon, S., Son, Y., No, T., Jeong, J., Seo, I., Kim, Y., Kim, Y., and Lee, S., 2003, Middle school science 3. Kumsung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19-120 p. 

  23. Lee, T., Park, S., Kwon, S., Kim, W., Lee, Y., Lee. H., Jang, H., and Kim, B., 2011, High school earth science II. Kyohaksa, Seoul, Korea, 140-141 p. 

  24. Lee, T., Park, S., Lee, Y., Lee, J., Jang, H., Kim, Y., and Chang, Y.,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I. Kyohaksa, Seoul, Korea, 116-118 p. 

  25. Nussbaum, J., 1981, Towards the diagnosis by student teachers of pupils' misconceptions: An exercise with student teacher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 159-169. 

  26. Osborne, R. and Freyberg, P., 1985, Learning in science: The implications of children science. Auckland, New Zealand: Heinemann Publishers. 

  27. Park, S.-J., 2009,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ental model about concept of atmospheric water.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8. Park, H., Kim, J., Jeong, D., Shin, H., Jeong, J., Heo, S., Hong, D., Kim. C., Lim, Y., Lee, H., Yoon, S., Lee, E., Jeon, S., Choi, B., Kim, M., and Oh, S., 2012, Middle school science 3. Kyohaksa, Seoul, Korea, 195-196 p. 

  29. Shin, Y., Jeon, M., Han, M., Lee, K., Jeong, E., Kang, J., Kang, S., Son, J., Bae, Y., Lee, B., Lim, H., and Ha, E., 2013, Middle school science 2. Chunjae Education. INC., Seoul, Korea, 136-137 p. 

  30. Storey, R., 1989, Textbook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biology: Photosynthesi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1, 270-274. 

  31. Storey, R., 1990, Textbook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biology: Cell structur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2, 213-218. 

  32. Strike, K.A., 1983, June,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research program. In H. Helm & J. Novak (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67-78).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33. Woo, J., Jeong, J., Wee, S., Lim, C., Hong, S., and Lee, S., 2003, High school earth science I. Kyohaksa, Seoul, Korea, 90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