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Mooring Safety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itt Against Gus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7, 2020년, pp.767 - 776  

김승연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따라 과거와는 다른 양상의 기상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수 온도 상승으로 태풍의 대형화와 강도증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이 접안 중 갑작스러운 돌풍 발생시 선박의 계류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돌풍 대비용 직주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상 곡주 및 직주 배치 기준을 분석하고 계류안전성 평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12개 시나리오에 따른 직주 사용시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돌풍 대비용 직주에 선수 및 선미 브레스트라인을 추가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형태의 계류라인 배치에 비해 계류요소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접안선박 및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를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부두에서 직주의 배치는 돌풍 발생시 선박운항자 측면에서 선박의 계류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weather changes in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past have occurred, and the increase in seawater temperatur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size and intensity of typhoon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bitts that can be u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계류라인 모델링은 Fig. 4와 같이 A와 B타입으로 분류하였으며, A타입은 실제 자동차선의 계류라인 배치를 고려하여 선수 6개, 선미 6개로 총 12개의 계류라인으로 설정하였고, B타입은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따라 선수, 선미에 추가 브레스트라인 1개씩을 추가하여 선수 7개, 선미 7개로 총 14개의 계류라인으로 설정하였다. A와 B타입의 상세한 계류배치는 Table 5와 같다.
  •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위해 직주는 선수부근에 1개, 선미부근에 1개를 배치하였으며 부두끝단에서 안쪽까지의 거리는 실제 군산항의 배치를고려하여 20m로 설정하였고, 허용견인력은 총톤수 기준 항설기준에 따라 200톤으로 설정하였다.
  • 돌풍용 직주 배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서해안의 대표적인 무역항인 목포항, 군산항, 평택항의 자동차선전용 부두의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목포항 및 군산항 자동차선 운용사인 G사의 현장감독에 따르면 자동차선은 풍압면적이 큰 특징으로 기상악화에 따른 돌풍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예인선 사용이 불가할 시 선박의 접안을 위한 직주 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 대상부두의 계선주는 총 15개이며, 허용견인력은 총톤수 기준에 따라 모든 계선주가 100톤이고각 계선주의 간격은 20m로 설계하였다. 또한, 대상부두의 방충재는 실제 대형선 접안 부두에서 주로 사용되는 종류와사양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그 종류는 Cell Type(1, 400H ×1, 600φ)으로 약 20m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 또한, 직주의 수평 위치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 위해 Case 3-1, 3-2, 3-3은 직주의 수평 위치가 부두 안쪽으로 10m, 15m, 20m에 따른 평가요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Case 4-1, 4-2, 4-3은 돌풍 대비용 직주에 브레스트 라인을 선수, 선미 각각 1개씩 배치했을 경우와 부두에 기설치된 계선주에 추가 브레스트라인을 선수, 선미 1개씩 배치했을 경우의 평가요소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Case 4-1, 4-2, 4-3은 돌풍 대비용 직주에 브레스트 라인을 선수, 선미 각각 1개씩 배치했을 경우와 부두에 기설치된 계선주에 추가 브레스트라인을 선수, 선미 1개씩 배치했을 경우의 평가요소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 및 조류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한다. 시뮬레이션 평가는 계류삭에 작용하는 최대장력, 계선주에 작용하는 견인력의 계류안전성 평가요소와 외력에 의한 선체 동요에 의해 선박의 통상적인 하역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평가하는 하역안전성 평가로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계류시스템은 안전여유를 고려해 선박의 계류한계를 도출하게 된다(Cho, 2017).
  • 본 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Table 6과 같이 총 12개로 먼저 풍속에 따른 직주 사용시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 위해 Case 1-1, 1-2, 1-3은 A타입의 계류배치에서 풍속 15kts, 20kts, 25kts에 따른 평가요소 분석, Case 2-1, 2-2, 2-3은 B타입의 계류배치에서 풍속 15kts, 20kts, 25kts에 따른 평가요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시나리오에서 설정한 25kts의 풍속은 풍랑주의보의 기준인 풍속 14m/s 보다 적으나 풍향이부두에서 바다 방향으로 접안선박의 정횡일 경우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 평가요소의 값이 계류한계에 도달하는 풍속으로 도출되었으므로 이와 같이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이하 항설기준)상의부두 내 곡주 및 직주 배치 기준을 분석하여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대한 기준을 분석하고, 계류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돌풍 대비용 직주 사용시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돌풍시 직주 사용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이에 따라 선박이 접안 중 갑작스러운 돌풍이 발생시 선박의 계류안전성확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직주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설기준상 곡주 및 직주 배치기준을 분석하고 계류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12 개 시나리오에 따른 직주 사용시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을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부두에 직주 배치에 따른 풍속별 계류안전성 민감도를 분석하고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계류 안전성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은 TTI (Tension Technology International)사의 OPTI-MOOR SW(Ver.
  • L)eTable4 에 따라 파단력의 50%인 47톤으로 설정하였다(OCIMF, 2008). 부두의 계류시스템은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항설기준상 대상선박에 따른 각 계류시스템의 배치 기준에 따라 설계하였다. 대상부두의 계선주는 총 15개이며, 허용견인력은 총톤수 기준에 따라 모든 계선주가 100톤이고각 계선주의 간격은 20m로 설계하였다.
  • 허용동요량이 제시되어 있다. 외력에 의한 선체동요로인해 대상선박의 통상적인 하역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선체의 6자유도 운동 통계량과 선체 특정부분의 상대운동에 대한 운동진폭치(Amplitude)를 기초로 하여 검토하였다. 대상선박은 자동차선이므로 Ro/Ro Ship의 선체동요 권고기준에 따라 분석한 Case 1-1, 1-2, 1-3 시나리오에 대한 선체동요량 결과는 Table 7과 같으며, 풍속이 증가할수록 Surge, Sway, Roll의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제외하였다. 파향 조건은 계류선박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6자유도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선수 좌현 45° 방향, 파고 조건은 항설기준의 선박규모별 하역한계 파고 기준을 고려하여 0.5m로 설정하였다.
  • 대상선박의 주요 제원은 실제 국내 무역항 접안 이력이 있는 동일 톤수급 자동차선의 제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계류방향은 우현 접안 상태로 설정하였다. 화물 적재상태는 풍향이 부두쪽에서 바다 방향으로 정 횡 방향일 때 풍압면적이 가장 크므로 계류안전성 확보의 최악 조건으로 고려되는 경하상태로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부두의 계류시스템은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항설기준상 대상선박에 따른 각 계류시스템의 배치 기준에 따라 설계하였다. 대상부두의 계선주는 총 15개이며, 허용견인력은 총톤수 기준에 따라 모든 계선주가 100톤이고각 계선주의 간격은 20m로 설계하였다. 또한, 대상부두의 방충재는 실제 대형선 접안 부두에서 주로 사용되는 종류와사양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그 종류는 Cell Type(1, 400H ×1, 600φ)으로 약 20m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 때문이다. 대상선박은 GT 69, 000톤급의 차량 8, 000대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선박의 주요제원은 Table 2와 같다. 대상선박의 주요 제원은 실제 국내 무역항 접안 이력이 있는 동일 톤수급 자동차선의 제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계류방향은 우현 접안 상태로 설정하였다.
  • 대상선박의 계류삭의 사양은 실제 동일 크기의 선박에서사용하는 종류인 New D-flex Rope, 직경 72mm를 선정하였으며, 그 파단력(M.B.L)은 94톤이며 안전사용하중(S.W.L)eTable4 에 따라 파단력의 50%인 47톤으로 설정하였다(OCIMF, 2008). 부두의 계류시스템은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항설기준상 대상선박에 따른 각 계류시스템의 배치 기준에 따라 설계하였다.
  • 대상선박은 GT 69, 000톤급의 차량 8, 000대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선박의 주요제원은 Table 2와 같다. 대상선박의 주요 제원은 실제 국내 무역항 접안 이력이 있는 동일 톤수급 자동차선의 제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계류방향은 우현 접안 상태로 설정하였다. 화물 적재상태는 풍향이 부두쪽에서 바다 방향으로 정 횡 방향일 때 풍압면적이 가장 크므로 계류안전성 확보의 최악 조건으로 고려되는 경하상태로 설정하였다.
  • 시뮬레이션을 위한 대상선박의 선종은 자동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 이유는 자동차선의 경우 타선종에 비해 건 현이 높고 풍압면적이 큰 특징으로 풍속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대상선박은 GT 69, 000톤급의 차량 8, 000대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선박의 주요제원은 Table 2와 같다.

이론/모형

  •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은 TTI (Tension Technology International)사의 OPTI-MOOR SW(Ver. 6.4.1)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PTI-MOOR는 선형 해석으로 타 계류안전성 해석프로그램에 비하여 단순하나 정확한 모델링 적용이 가능하고 활용도가 높아 국내 해상교통안전진단 및 국내외 계류안전성 평가 시뮬레이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석프로그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I. S.(2017), Behavior Analysis and Control of a Moored Training Ship in an Exclusive Whar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2, pp. 139-145. 

  2. Cho, I. S., K. Y. Kong, and Y. S. Lee(2006), A time domain analysis of moored ship motions considering tsunami resonant effects, Proceeding of the Spring Conference on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0, No. 1, pp. 191-197. 

  3. Kim, G. Y.(2016), Estimation of Future Typhoon Wind Speed around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Climate Chang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4. Kim, S. Y., J. S. Kim, Y. D. Kim, and Y. S. Lee(2016), A Study to Improve the Operation Criteria by Size of Ship in Ulsan Tank Termin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Research Paper, Vol. 22, No. 6, pp. 639-646. 

  5. Kim, S. Y. and Y. S. Lee(2018), A Study on the Proper Crown Height of GT 100,000Ton Cruise ship and DWT 100,000Ton Container 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Research Paper, Vol. 24, No. 2, pp. 157-162. 

  6. Kwak, M. S. and Y. H. Moon(2014), A study on estimation of allowable wave height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ship considering ship mo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2, pp. 873-883. 

  7. Lee, L. N.(2016), A Study on the Mooring Safety of Berthing Vessels Due to the Tsunami Impact,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8. Lee, S. W., H. T. Lee, D. G. Kim, and I. S. Cho(2019), Identification of Impact Factors in Ship-to-Ship Mooring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3, No. 5, pp. 310-319. 

  9. MOF(20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Harbor Design Standard (KDS 64 10 10 : 2020), pp. 26-31. 

  10. OCIMF(2008), Mooring Equipment Guidelines 3rd Edition, pp. 111-123. 

  11. Rosa-Santos, P., F. Taveira-Pinto and F. Veloso-Gomes(2014),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tension mooring effect on the response of moored 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Coastal Engineering, 85(2014), pp.60-71. 

  12. Yoon, J. J., K. C. Jun, J. S. Shim, and K. S. Park(2012), Estimation of Maximum Typhoon Int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Simulation of Corresponding Storm Sur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4, pp. 292-301. 

  13. Yu, Y. U., S. Y. Kim, and Y. S. Lee(201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afety Stiffness from Ship's Mooring Bollard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3, No. 1, pp. 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