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AI 기반 교수학습활동 탐색
Exploring AI-ba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in Kindergarteners to the Second Grader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5, 2020년, pp.413 - 421  

김소희 (정읍 동신초등학교) ,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Artificial intelligence)는 4차 산업혁명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무인카메라, 무인택배함 등 AI를 활용한 무인 자동시스템은 우리 삶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AI 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교육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은 어린 학생들을 위한 AI 교육 사례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 연구된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 SW 교육과정을 토대로 AI 기반 교수학습 활동 사례와 주제별로 AI 기반 컴퓨팅 사고력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 교수학습 활동이 공교육에 적용되려면 충분한 수업 시간을 확보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수업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Artificial intelligence) has brought many changes to our liv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ur daily lives, we can easily access unmanned automatic systems using AI such as unmanned cameras and unmanned delivery boxes. Therefore, AI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daily lif...

주제어

참고문헌 (18)

  1. Benjamin Blo m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2. Daily Economy MBK. (2019). If you don't know AI, you'll be illiterate in the 21st century, mandatory AI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rting next year in Japan,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6/447849. 

  3. Etnews (2020). [Report] AI national strategy and contribution practice strategy. Retrieved from https://www.etnews.com/20200713000109. 

  4. H. T. Yang (2018). A Prospective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ies. Policy Research 2018-13.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5. J. K. Shim and D. Y. Kwon. (2020).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to Classify Emotion of Sentences for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3). 243-254. 

  6. J. Y. Jeon.(2020). AI Education Active in Foreign Countries, Electronic Times, Retireved from https://m.etnews.com/20191204000160. 

  7. K. D. Ryu (2019).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ntact center system, Dept. of Industrial and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8. K. S. Kim and Y. K. Park. (2019).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1), 137-147. 

  9. K. S. Kim et al (2019). Development of Standard Model for Next Generation Software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Science and Creativity, Korea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10. Korea Education Newspaper (2020) [Special Issue] AI Education, Do I Know It Right? Retrieved from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0531. 

  11. M. Y. Ryu. and S. K. Han. (2010). AI Education Programs for Deep-Learning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6), 583-590. 

  12. M. Y. Ryu. and S. K. Han. (2018). The Educational Percep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3), 317-324. 

  13. Ministry of Education (2017). A Substantial Pla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for 2017. 

  14. Relevant Ministries (2019). AI National Strategy. 

  15. S. K. Han (2015). A Analysis on the Parents Aware of the Need for the Elementary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87-196. 

  16.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cialist Training at Seoul Specialized High School. Retrieved from http://enews.sen.go.kr/media/media_view.do?bbsSn165704. 

  17.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20). Status of AI-related education in each country. Seoul Education, 61(239). 

  18. Y. S. Jeong and S. E. Im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Curriculum for Preliminary Elementary and Low Graders. C-Ma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