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수업 콘텐츠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urse to educat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3, 2021년, pp.491 - 499  

조정희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자 국가 차원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여 실행에 옮기고 있다. 국내의 관계 부처들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인공지능 교육의 전문성을 향상하여 선도국과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수업 콘텐츠를 설명하고, 수업에 참여하였던 학생들이 특별히 선호하는 수업의 내용과 초등교육 현장에 학생들이 직접 적용하고자 계획하는 수업 아이디어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들은 인공지능의 기저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보다는 초등교육에 즉시 적용이 가능한 인공지능 교육 도구 중심의 실습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인공지능의 이론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인공지능의 활용 역량도 배양될 수 있으므로, 이론 교육에 대한 학습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이 향후 연구로써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have established strategies for educating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with large invest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With this trend, domestic ministries have made efforts to establish national strategies to better educate students about AI....

주제어

참고문헌 (21)

  1. An, Y.j. (2020). Keyword and Topic Analysis of the Online News Coverage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 Bae, Y.K., Yoo, I.H., Jang, J.J., Kim, D.Y., Yu, W.J., Kim, W.Y.(2020). Exploration of AI Curriculum Develop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5), 433-441. 

  3. Element AI(2019). 2019 Global AI talent report. Retrieved from http://www.elementai.com/news/2019/2019-global-ai-talent-report. 

  4. Hur, K.(2020). A Study on Elementary Education Examples for Data Science using Ent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5), 473-481. 

  5. Kim, H.R., Jeon, I.K.(2018). Analysis of leisure activity keywords using text mining.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SLRP), 42(3), 59-69. 

  6. Kim, J.E.(2017). Keyword and topic analysis 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using bid 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7. Kim, K.Y., Song, J.B., Lee, T.W.(2009). Effect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Programming Education 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4(1), 47-55. 

  8. Lee, J.H., Lee, S.H.(2020). A study on experts' perception survey on elementary AI education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5), 483-494. 

  9. Ministry of Education(2020). Education Policy Direction and Core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opTypeN&boardSeq82674. 

  10. Ministry of Education(2020). 2020 Ministry of education work report.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46&lev0&boardSeq79918. 

  11. Ministry of Science and ICT(2019).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2405727. 

  12. Ministry of Education(2020). Science-Mathematics-Information-Convergence Education Comprehensive Plan.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8071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13. Ministry of Education(2021). Talent cultivation plan for Big 3 + AI.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opTypeN&boardSeq84058. 

  14. Ministry of Science and ICT(2021). Data construction projec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64&mPid47&bbsSeqNo61&nttSeqNo2959525. 

  15. Ministry of Science and ICT(2021). Next-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R&D new business planning.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64&mPid47&bbsSeqNo61&nttSeqNo2959524. 

  16. Ministry of Science and ICT(2021). Selection result of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software oriented university, and software star lab. Retrieved from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3180163. 

  17. Seo, S.C., Kim, C.(2021).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Prospective Teachers' Computational Think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1), 123-134. 

  18.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2020). AI Research Index : What is the Best AI University in the World?. Issue report, IS-100. Retrieved from https://www.spri.kr/posts/view/23032?codeissue_reports. 

  19.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2020). Direction of K-12 SW.AI Education through Computing Curricula 2020. Issue report, IS-110. Retrieved from https://www.spri.kr/posts/view/23121?codeissue_reports. 

  20. Software Policy & Research Insti(2020). National AI Research Index: Competing for the Innovation. Issue report, IS-108. https://www.spri.kr/posts/view/23098?codeissue_reports. 

  21. Son, W.S.(2020). Development of SW education class pla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focusing o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5), 453-4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