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윷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using Yut-nori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1, 2021년, pp.113 - 122  

김철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은 단순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을 기르는 교육에서 나아가,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 기반 창의융합능력을 향상시켜서 소프트웨어 교육과 타 교과와 접목하여 교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문제의 분석과 해결방법 등을 교과 활동과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인 윷놀이는 순차, 선택, 반복 알고리즘을 놀이로 경험할 수 있고, 태양과 천체운행에 관한 교과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윷놀이가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에 컴퓨팅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과학 '태양계와 별', '계절의 변화' 단원의 교육내용 과 체육 '전통놀이와 여가' 단원의 교육내용, 그리고 실과 '소프트웨어와 생활' 과 윷놀이가 지니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적 요소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윷놀이를 초등학교 교과 활동에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으로 적용하면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의 향상과 더불어 의사소통 및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지닐 수 있어서 인공지능시대를 이끌어 나가는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lementary school,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goes beyond education to cultivate basic software literacy, and analyzes and solves various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subject education by linking with software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by improving the learner's computational 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Bae, Y., Lee, J. (2020). Effects of SW-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0), 247-258 

  2. Jeong, Youngsik (2015). Proposal of Standard Model for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Proceeding of Public Hearing for SW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3-40. 

  3. Kim, B., Cho, M., (202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obot-based Subject-related SW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1), 87-98. 

  4. Kim, Chul (2019). Unplugged Comput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raditional Folk Game-based on Yutnor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6), 621-628. 

  5. Kim, Gwonsoo (201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korean program using VR content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Kim, H., Choi, S. (201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8(2), 234-243 

  7. Kim, il-gwon (2004) Ancient Astronomical Perspective appeared on the Korean Rock-art, "Yut-nori-pan" and Introduction of Rock-arts of Manghwa-Dae at Jungup Doosung Mt. in South Korea, Korean Petroglyphs Research, 5, 57-105. 

  8. Kim, il-gwon (2014) The cultural history of Yut-nori of Korean board game and its astronomical interpretation in Korean petroglyph, Korean Petroglyphs Research, 18, 81-120. 

  9. Kim, Junghye., (2009). Research of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about Difficulties in Elementary School senior Science, Class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ong, S-C., Chiu, M. M. & Lai, M. (2018). A study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terest, collaboration attitude, and programming empowerment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127, 178-189. 

  11. Lee, M., Ham. S. (201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Convergenc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2), 213-222 

  12. Lee Hea-Woo (2004) A Study of Yootpan-type Petroglyphs, Korean Petroglyphs Research, 5, 23-56. 

  13. Lee, Y., Paik, S., Shin, J., Yu, H., Jeong, I., An, S., Choi, J., Jeon, S., (2014). Research for Intro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to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14. Lee Yihwa, (2005) Origin amd Meaning of Yutnori, Kyunghang Daily News. 

  15.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s Secondary Curriculum. #2015-74.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2015-74.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 and Informatics Curriculum. #2015-74. 

  18.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cience Curriculum. #2015-74. 

  19. Moon M., Son J.(2013) A History of How-to of Yut from Korean old Documents, Educational Research, 33(6), 165-187. 

  20. Seo, C., Kim C. (2019). A Study on Boardgame for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3). 4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