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용 식물추출물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dible plant extracts against oral bacteria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3 no.1, 2020년, pp.61 - 67  

이지혜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김연아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김동청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채희정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 식물 35종의 생리활성 부위를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의 구강 세균(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Staphylococcus epidermidis,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35종의 식물추출물 중 항균 스펙트럼이 가장 넓고 최소저해농도가 낮은 히비스커스 꽃 추출물을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소재로 최종 선발하였다.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산성 조건에서 안정하였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30.5 및 25.7 mg/g으로 나타났고, 유리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y-five edible plants were tested against oral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Staphylococcus epidermidis, Klebsiella pneumonia). The edible plants were extracted using 70% ethanol as a solvent. Among the thirty-five edible plants, hibiscus (Hibiscus sabdariffa) extract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히비스커스는 눈의 피로 회복, 소화기능 강화, 강장,이뇨, 출혈 방지 및 비뇨기계 염증 완화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21] 생리활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다. Kang 등의 연구[22]에서는 피부 관련 미생물에서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구강에 관련된 미생물에서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한다.
  • 구강 미생물(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Klebsiella pneumonia)에 대하여항균 효과를 갖는 식물추출물을 탐색하여 가장 활성이 우수한히비스커스를 구강용 항균 천연소재로 선정하였고, 또한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구강 위생용 생리활성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질환이란 무엇인가? 그 중에는 충치의 원인균으로 널리 알려진 Streptococcus mutans[2]와 Lactobacillus casei[3], 구강 인두와 피부에 상주하며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4],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여 구취를 유발하는Klebsiella pneumonia 등이 대표적인 구강세균으로 알려져 있다[5]. 구강 질환은 충치(dental caries, 치아우식증), 구내염, 치주염 등 입안에서 생기는 병을 일컫는데, 특히 충치는 구강 질환중 가장 문제가 되는 감염병으로 치아표면의 파괴를 동반한다[6]. 대표적인 충치 유발균인 Streptococcus mutans는 치아 표면에서 glucosyltransferase의 촉매 작용으로 음식물의 sucrose를 분해하여 acetic acid 및 citric acid 등의 산을 생성하고, 이는 치아 에나멜층의 hydroxyapatite를 부식하여 치아 표면을 손실시킨다[2].
구강세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생물과 쉽게 접촉하는 신체 부위인 구강은 적절한 온도, 습도 및 음식물 잔사등으로 인해 미생물의 생육에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며, 구강 내에서는 700여 종의 다양한 세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 그 중에는 충치의 원인균으로 널리 알려진 Streptococcus mutans[2]와 Lactobacillus casei[3], 구강 인두와 피부에 상주하며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4], 휘발성 황화합물을 생성하여 구취를 유발하는Klebsiella pneumonia 등이 대표적인 구강세균으로 알려져 있다[5]. 구강 질환은 충치(dental caries, 치아우식증), 구내염, 치주염 등 입안에서 생기는 병을 일컫는데, 특히 충치는 구강 질환중 가장 문제가 되는 감염병으로 치아표면의 파괴를 동반한다[6].
구강 세균의 억제 시 불거지는 안정성 문제의 해결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인간에게 독성이 없거나 적으면서 안정성이 높은 구강용 항미생물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어 충치 유발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10], 충치균이 분비하는 glucan 합성 효소인glucosyltransfer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방법[11], 충치 유발균이 이용하기 쉬운 sucrose를 대체하는 감미료를 사용하는 방법[12]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구강 관련 천연 소재를 탐색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13], 그 대표적인 예로 감국[14], 황련[15] 및 솔잎[16] 추출물은 충치균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졌고, 오미자[17]와 연[18] 추출물은 구강 세균의 성장 억제와 구취 제거에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eo NS (2012)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pathogens and deodorizing effects of Korean endemic plants.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 Islam B, Khan SN, Khan AU (2007) Dental caries: From infection to prevention. Med Sci Monit 13: 196-203 

  3. Lin YJ, Chou C, Hsu CS (2017) Effects of Lactobacillus casei Shirota intake on caries risk in children. J Dental Sci 12: 179-184 

  4. Choi JL, Jung MA, Jung SH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s against oral microorganism. J Den Hyg Sci 6: 251-254 

  5. Gaffar MC, Fischer TJ, Gaffar A (1979) Instrumental evaluation of odor produced by specific oral microorganisms. J Soc Cosmet Chem 30: 241-247 

  6. Moon JS, Ahn JE, Han AR, Heo JS, Eom HJ, Shin CS, Choi HS, Han NS (2011) Anticariogenic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akei K-7 isolated from Kimchi. KSBB Journal 26: 513-516 

  7. Park YM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ocessed salt with medicinal herb.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8. Filoche SK, Soma K, Sissons CH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s in combination with chlorhexidine digluconate. Oral Microbiol Immunol 20: 221-225 

  9. Lee KH, Choi CH, Hong SJ (2012) Relationship of the use of some fluoride containing dentifrice on the Korean market to children's fluoride intake in different age groups. J Korean Soc Dent Hyg 12: 881-896 

  10. Yoo YK, Ro JS, Kim JS, Chang KW (1996)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some propolis constituents against S. mutans, Lactobacilli and Actinomyces. J Acad Dent Health 20: 65-74 

  11. Park YM, Kim SJ, Jo KH, Yang EJ, Jung ST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4-293 

  12. Kim SY, Shin SC, Seo HS (2002) Comparative study on remineralizing effect of sorbitol, xylitol and erythritol sweetened chewing gums. J Acad Dent Health 26: 593-607 

  13. Cowan MM (1999) Plant products as antimicrobial agents. J Clin Microbiol Rev 12: 564-582 

  14. Park IB (2006) Anticariogenic activities of Chrysanthemum indicum L. and its processed salt.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15. Jang GH (2000) Anticariogenic effects of Coptis chinensis Franch extract.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6. Choi H, Koh YJ, Choi IW, Kim YS, Park YK (2007)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twi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36-341 

  17. Heo NS, Choi HJ, Hwang SM, Choi YW, Lee YG, Joo WH (2013)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J Life Sci 23: 443-447 

  18. Lee HE (2012)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sp. causes oral disease by methanol extract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19. Cho IS, Lee JS (2015)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hibiscus flowers and persimmon juice extract. J Fashion Text Res 17: 476-485 

  20. Cho IS (2015) Natural dyeing of fabrics with Hibiscus syriacus L. and Hibiscus subdariffa L. extract.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1. Choi SH (2008)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hibiscus herb tea. J Kor Tea Soc 14: 195-204 

  22. Kang PS, Seok JH, Kim YH, Eun JS, Oh SH (2007)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flower extract and its fractions on skin microorganisms and oxid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09-414 

  23. Higasi GS (2000) Apprais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from vegetables. Jpn J Food Ind 57: 56-64 

  24.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J Food Preserv 13: 616-622 

  25.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6. Heo JC, Park JY, An SM, Lee JM, Tun CY, Shin HH, Kwon TK,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83-87 

  27. Hazra B, Biswas S, Mandal N (2008)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ondias pinnata. J BMC Complement Altern Med 8: 63 

  28. Jeong HJ, Lee YA, Ji WD (2002) Effect of the extract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on bacteria isolated from oral cavity. J Dental Hygiene Sci 2: 85-88 

  29. Lee SL, Kim JG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bean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J Env Health 32: 192-197 

  30.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31. Lee SY, Kim JG, Baek BJ, Yang YM, Lee GY, Lee YH, Kim MA (2009)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 1-11 

  32. Goo SA (2004)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abrics dyed with herbs extract.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33. Cho DB (2001) A Study on the constituents and antimicrobial substance during the growth stage of Lentinus edodes Sing. Dissertation, Sunchon Nation University 

  34. Thitimuta S, Pithayanukul P, Nithitanakool S, Bavovada R, Leanpolchareanchai J, Saparpakorn P (2017) Camellia sinensis L. extract and its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i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hepatotoxic,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Molecules 22: 401 

  35. Xie Y, Chen J, Xiao A, Liu L (2017) Antibacterial activity of polyphenols: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hyperglycemic condition. Molecules 22: 1913 

  36. Kim MJ, Jin SY (2017) Antioxidant activit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bisus syriacus cultivars powders. J Kor Soc Food Cult 32: 295-302 

  37. Lee HJ, Lee SW, Park CG, Ahn YS, Kim JS, Bang MS, Oh CH, Kim CT (2015) Effects of white Habiscus syriacus L. flower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bone resorption inhibition. Kor J Medicinal Crop Sci 23: 190-197 

  38.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39. Shin YB, Ha BJ (2016) Effects of Hibiscus syriacu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J Life Sci 26: 1415-1421 

  40. Kim DC, In MJ (2017) Antioxidative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leaves of Leucaena leucocephala (Lam.) de Wit. J Appl Biol Chem 60:185-190 

  41.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