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에서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 방법
A User's Location Localization Method using Smartphone Sensor on a Subwa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37 - 43  

조정길 (성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 기반의 추적은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널리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한, GPS 신호 및 무선 인프라가 항상 이용 가능하지 않는 지하 대중교통 시스템의 추적 문제를 해결한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전동차의 위치를 아는 것은 지하철 승객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요하다. 따라서 지하철 승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모션 상태 및 정차역을 추정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기압계와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먼저 기압의 변동 및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동차가 운행하는지 정차하는지를 추정한다. 그 다음에 고도 값과 자기장 값으로 전동차가 정차하는 정확한 역을 추정한다. 우리는 서울의 지하철 5호선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안된 방법을 평가했다. 이전 방법과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은 더 높은 정확성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phone-based localization has been widely studied in many different scenarios. But as far as we know, few work has addressed the problem of localization in undergroun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where GPS signal and wireless infrastructure are not always available. Knowing the location of a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내장 관성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철 승객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스마트폰의 기압계(Barometer)와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를 이용하여 지하철 전동차의 위치를 추정한다.
  • Hyuga(2016)의 방법은 이 논문에서 사용한 스마트폰의 기압계 센서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 Hyuga(2016) 의 방법과 비교하는 이유는 기압계 센서와 자기 센서인 두개의 센서가 정차 모션을 판별하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이다.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기압계와 자기 센서를 이용 하여 지하철 전동차의 모션 상태와 최근의 정차역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전동차의 기압은 운행 중에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전동차가 운행중인지 정차중인지를 추정할 수가 있다.
  • 이 연구는 스마트폰의 기압계와 자기 센서를 사용하여 지하철의 지하구간에서 사용자의 추적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실험 결과는 모션 상태에서 정차역을 추정할 때 관련 연구들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가설 설정

  • Table 2는 다른 방법과 비교한 정차역 추정의 성능 평가 결과이다. 제안된 정차역 추정 방법의 순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션 상태의 추정이 완벽하게 작동한다는 가정 하에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 논문의 정확성은 97%이상이고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보급률은 얼마인가? 지하철은 근래에 와서 중요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수단이 되고 있으며 도시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1].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인구 대비 94∼95%로 보급률이 높은데[2], 대부분의 승객은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독서, 게임, 비디오 시청, 음악 듣기 또는 잠자는 데 시간을 보낸다. 현재의 전동차는 도착할 역을 음성 안내와 화면에 표시하며, 승객은 시끄럽고 혼잡한 전동차 환경에서 이러한 정보를 쉽게 무시할 수가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은 대부분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가? 지하철은 근래에 와서 중요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수단이 되고 있으며 도시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1].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인구 대비 94∼95%로 보급률이 높은데[2], 대부분의 승객은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독서, 게임, 비디오 시청, 음악 듣기 또는 잠자는 데 시간을 보낸다. 현재의 전동차는 도착할 역을 음성 안내와 화면에 표시하며, 승객은 시끄럽고 혼잡한 전동차 환경에서 이러한 정보를 쉽게 무시할 수가 있다.
승객들은 전동차를 타는 동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정차역을 쉽게 놓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인구 대비 94∼95%로 보급률이 높은데[2], 대부분의 승객은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독서, 게임, 비디오 시청, 음악 듣기 또는 잠자는 데 시간을 보낸다. 현재의 전동차는 도착할 역을 음성 안내와 화면에 표시하며, 승객은 시끄럽고 혼잡한 전동차 환경에서 이러한 정보를 쉽게 무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객들은 전동차를 타는 동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정차역을 쉽게 놓칠 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H. Kwon, S. H. Jang, H. J. Mun & M. H. Chey. (2019). The Running Vibration Assessment of Daegu Metropolitan Transit using Smartphone Acceleration Sens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6), 179-184. DOI : 10.15207/JKCS.2019.10.6.179 

  2. D. H. Choi. (2019).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rend Improvement in Korean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22-27. DOI : 10.22156/CS4SMB.2019.9.11.022 

  3. G. Liu, J. Liu, F. Li, X. Ma, Y. Chen & H. Liu. (2017). SubTrack: Enabling Real-Time Tracking of Subway Riding on Mobile Devices. 2017 IEE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Ad Hoc and Sensor Systems(MASS), 90-98. DOI : 10.1109/MASS.2017.55 

  4. A. Thiagarajan, J. Biagioni, T. Gerlich & J. Eriksson. (2010). Cooperative transit tracking using smartphones. in SenSys ', 10, 85-98. 

  5. P. Zhou, Y. Zheng, & M. Li. (2012). How long to wait?: predicting bus arrival time with mobile phone based participatory sensing. in MobiSys, 12, 379-392. 

  6. S. S. Kim, J. W. Kim & D. S. Han. (2017). Floor Detection Using a Barometer Sensor in a Smartphone. 2017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IPIN2017). 

  7. J. S. Jeon, Y. S. Kong, Y. Y. Nam & K. B. Yim. (2015).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Bluetooth RSSI with an Acceleroeter and a Barometer on a Smartphone. 2015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roadband and Wireless Computing,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s (BWCCA). DOI : 10.1109/BWCCA.2015.142 

  8. K. Muralidharan, A. J. Khan & A. Misra. (2014). Barometric Phone Sensors- More Hype Than Hope!. Proceedings of the 15th Workshop on Mobile Computing Systems and Applications. DOI : 10.1145/2565585.2565596 

  9. W. Gu, M. Jin. Z. Zhou, C. J. Spanos & L. Zhang. (2016). MetroEye: Smart Tracking Your Metro Trips Underground. Computer Science Published in MOBIQUITOUS 2016(MobiQuitous, 2016), 84-93. DOI : 10.1145/2994374.2994381 

  10. H. Shin, G. W. Lee & D. S. Han. (2018). Subway STOP/Departure Detection using a Magnetic Sensor of the Smartphone. ICVISP 2018: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isi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1-5. DOI : 10.1145/3271553.3271614 

  11. T. Stockx, B. Hecht & J. Schoning. (2014). Subwayps: Towards smartphone positioning in undergroun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 SIGSPATIAL, 14, 93-102. 

  12. S. Hyuga, M. Ito, M. Iwai & K. Sezaki. (2016). An Online Localization Method for a Subway Train Utilizing the Barometer on a Smartphone. in SIGSPATIAL '16, 5, 1-4. 

  13. T. Watanabe, D. Kamisaka, S. Muramatsu & H. Yokoyama. (2012). At which station am I?: Identifying subway stations using only a pressure sensor. 2012 1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Wearable Computers. DOI : 10.1109/ISWC.2012.18 

  14. K. Sankaran, M. Zhu, X. F. Guo & A. L. Ananda. (2014). Using mobile phone barometer for low-power transportation context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12th ACM Conference on Embedded Network Sensor Systems, 191-205. 

  15. T. Willemsen, F. Keller & H. Sternberg. (2014). Concept for building a mems 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IPIN), 1-10. DOI : 10.1109/IPIN.2014.7275461 

  16. G. Lee & D. Han. (2014). Subway train stop detection using magnetometer sensing data.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IPIN), 766-769. DOI : 10.1109/IPIN.2014.7275562 

  17. M. Havas, S. Shum & D. Raheman. (2004). Passenger exposure to magnetic fields on go-trains and on buses, streetcars, and subways run by the toronto transit commission. Biological Effects of EMFs, 3rd International Workshop, 1065-10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