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습 상태에 기반한 맞춤형 난이도 측정을 위한 척도 설계
A Design for the Personalized Difficulty Level Metric based on Learning Stat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67 - 75  

정우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이도는 학습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난이도 기준은 컨텐츠 제공자가 획일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컨텐츠의 지식을 정형화하고 일반화한 후, 이를 실험하기 위한 객체 모델과 맞춤형 난이도 척도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한 도구를 이용하여 100개의 음악 교육 컨텐츠와 20명의 학습자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서 정의한 지식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맞춤형 난이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안한 접근법은 학습 상태와 컨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vel of difficulty'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learners when selecting learning contents. However, the criteria for the difficulty level is mostly defined by the contents providers. This approach does not support the personalized education which should consider the abilities and environme...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QueryManager는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계층에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일종의 헬퍼(Helper) 클래스에 해당하기 때문에 지식 요소를 다루는 대부분의 클래스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한다. 다이어그램이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추가, 검색, 수정, 삭제 메소드를 가진 클래스는 CRUD 스테레오타입으로만 표시하였다. 실질적인 분석 대상인 지식 요소와 관계는 Element 와 Connection 클래스 각각에 저장되며 Element의 상위 요소는 상속(inheritance)로 구현하지 않고, Connection 의 type 값을 기준으로 관계의 종류를 구분하였다.
  •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습 상태 모델을 제안하여,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와 컨텐츠의 지식 상태를 구현하고 난이도 척도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평가 참여를 통해 난이도를 계산하거나[1-4] 콘텐츠 자체의 난이도를 절대적 방식으로 산정한 비맞춤형 난이도 연구[8]와는 달리 학습자와 컨텐츠의 지식 상태를 정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상대적 난이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 특히, 학습 상태는 난이도 계산을 포함하여 맞춤형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지식 상태 추적에 필수적이므로 맞춤 형 교육[7]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와 달리 학습자의 평가 참여보다는 지속 적인 컨텐츠 접촉으로 획득되는 학습 상태 정보를 이용 한다
  • 학습 컨텐츠 난이도를 정의하려면 학습자의 학습 상태와 대상 컨텐츠의 내용 및 수준을 비교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대상이 되는 학습 요소들의 집합과 이들의 관계를 정형적으로 정의한 학습 그래프를 기준으로 새로운 지식의 복잡도와 유사도를 이용한 상대적 난이도 척도를 정의하였다. 학습 요소의 수준은 사전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습 및 컨텐츠 생성 과정을 시뮬레이션을 거쳐 생성하였다.
  • 다이어그램이 복잡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추가, 검색, 수정, 삭제 메소드를 가진 클래스는 CRUD 스테레오타입으로만 표시하였다. 실질적인 분석 대상인 지식 요소와 관계는 Element 와 Connection 클래스 각각에 저장되며 Element의 상위 요소는 상속(inheritance)로 구현하지 않고, Connection 의 type 값을 기준으로 관계의 종류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메인에서 정의한 집합의 요소들을 그대로 매핑 시킬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 대상이 되는 학습 요소들의 집합과 이들의 관계를 정형적으로 정의한 학습 그래프를 기준으로 새로운 지식의 복잡도와 유사도를 이용한 상대적 난이도 척도를 정의하였다. 학습 요소의 수준은 사전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습 및 컨텐츠 생성 과정을 시뮬레이션을 거쳐 생성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상태에 포함되지 않은 학습 요소들에 대한 지식은 고려하지 않았다.
  • 사용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테스트 제작을 위해 IRT(Item Reseponse Theory)를 이용하기도 했다[3]. 해당 연구는 사전에 확보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 주제를 추출하여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적응시키는 방법으로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평가 결과를 이용한 연구는 컨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문항반응에 기반한 통계적 방법으로 난이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테스트 참여라는 학습자의 적극적 활동에 의존적이므로 이에 대한 부담과 비용이 발생한다.

대상 데이터

  • 검증 실험을 위해 음악 교육용 연주 컨텐츠 100개(지 식요소 145,088개, 관계 508,857개), 학습자 20명(지식 요소 42,351개, 관계 150,074개)에 대한 지식 상태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Table 1은 실험 데이터 생성을 위한 조건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괄호안의 값)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생성된 데이터의 기초 통계 정보를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Y. Heo & E. G. Kim. (2010). SCORM-based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on Learners' Level.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4(5), 1277-1283. DOI : 10.6109/JKIICE.2010.14.5.1277 

  2. C. H. Kim, H. D. Ko & B. K. Kim. (2005). Item Difficulty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SCORM.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pp. 358-360). Seoul : KIISE. 

  3. A. Baylari & G. A. Montazer. (2009). Design a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6(4), 8013-8021. DOI : 10.1016/J.ESWA.2008.10.080 

  4. H. J. Lee & S. T. Park. (2015). Analysis on Knowledge State of Inquiry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Electric Circu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57-870. DOI : 10.14697/JKASE.2015.35.5.0857 

  5. M. B. Yoon. (2011).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eaching Bassed on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State of Concepts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902-912. DOI : 10.5467/JKESS.2011.32.7.902 

  6. J. H. Lee. (2017). Knowledge State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Plane Figure unit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5), 13-31. DOI : 10.14257/AJMAHS.2017.05.08 

  7. P. Gao. (2014). Using Personalized Education to Take the Place of Standardize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2(2), 44-47. DOI : 10.11114/JETS.v2i2.269 

  8. I. S. Choi. (2005). A Comparative Study on Modeling Readability Formulas: Focus on Primary and Secondary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4), 173-195. DOI : 10.3743/KOSIM.2005.22.4.173 

  9. Chih-Ming Chen. (2008). Intelligent web-based learning system with personalized learning path guidance. Computers & Education, 51(2), 787-814. DOI : 10.1016/J.COMPEDU.2007.08.004 

  10. W. Jung. (2019). A Genetic Algorithm Based Learning Path Optimization for Music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3-20. DOI : 10.15207/JKCS.2019.10.2.013 

  11. J. Han, J. Jo & H. Lim (2018). Development of Personzlied Learning Course Recommendation Model for I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21-28. DOI : 10.15207/JKCS.2018.9.10.021 

  12. T. Cho (2016). Intelligent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profile of learn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227-233. DOI : 10.14400/JDC.2016.14.2.227 

  13. M. A. Chatti & A. Muslim. (2019). The PERLA Framework: Blending Personalization and Learning Analytic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20(1), 243-261. DOI : 10.19173/IRRODL.v20i1.3936 

  14. A. Ramachandran & B. Scassellati. (2014). Adapting Difficulty Levels in Personalized Robot-Child Tutoring Interactions.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pp. 56-59). USA: AAAI. 

  15. A. Jones & G. Castellano. (2018). Adaptive Robotic Tutors that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A Longer-Term Investigation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10(3), 357-370. DOI : 10.1007/s12369-017-0458-z 

  16. F. Essalmi, L. J. E. Ayed, M. Jemni, S. Graf & Kinshuk. (2014). Generalized metrics for the analysis of E-learning personalization strateg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8(1), 310-322. DOI : 10.1016/J.CHB.2014.12.050 

  17. K. Kim & H. Shin (2016). Student-oriented Multi-dimensional Analysis System using Educational Profil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10), 263-270. DOI : 10.14400/JDC.2016.14.6.263 

  18. R. Reber, E. A. Canning & J. M. Harackiewicz. (2018). Personlized Education to Increase Interes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7(7), 449-454. DOI : 10.1177/0963721418793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