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면증 변증도구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및 심리검사와의 상관성에 대한 초기연구
A Pilot Study of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tern Identification Tool for Insomnia and Analyzing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Test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31 no.1, 2020년, pp.1 - 12  

정진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이지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김주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김시연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임상연구센터) ,  강위창 (대전대학교 리버럴아츠칼리지 통계학과) ,  임정화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 ,  김보경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 ,  정인철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임상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 for insomnia (PIT-Insomnia) and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PIT-Insomnia and psychological tests. Methods: Two evaluators examined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the part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팀은 2016년 불면의 변증도구의 개발을 위해 문헌 고찰 및 전문가 합의를 통해 자기보고식의 의 초안을 개발하였고21), 이 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고 불면 관련 심리검사들과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 불면증 증상에 해당하는 7개 문항을 통하여 불면증의 진단 및 정도를 선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설문지 작성에 4∼ 5분 정도 소요되며 각 항목의 답변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하여 전체 점수를 구한다.
  • 이에 본 연구팀은 불면증 변증도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초기연구로서, 불면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와 불면 관련 심리검사를 평가하는 임상 연구를 수행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면 장애는 언제 진단되는가? 불면은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내과적인 질환이나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 및 통증질환의 경우에서도 동반된다. 이러한 불면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되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불면 장애(Insomnia disorder)로 진단할 수 있다3).
한의학에서는 불면 장애을 무엇으로 변증하여 치료하는가? 일시적인 수면의 불편과는 달리 불면 장애는 적어도 한 주에 3회 이상 시간 동안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 진단할 수 있다3). 한의학에서는 이를 不眠의 범주로 보고 있으며, 사결불수(思結不睡), 영혈부족(營血不足), 음허내열(陰虛 內熱), 심담허겁(心膽虛怯), 담연울결(痰涎鬱結), 위중불화(胃 中不和)와 같이 변증하여 치료하고 있다7).
불면은 어떤 경우를 의미하는가? 불면(Insomnia)은 수면의 양과 질의 불만족감이 수면 개시 및 유지의 어려움과 동반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전세계 성인의 33% 정도가 경험한다1,2). 불면은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내과적인 질환이나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 및 통증질환의 경우에서도 동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Ohayon MM.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 Rev. 2002;6(2):97-111. 

  2. Cho YW, Shin WC, Yun CH, Hong SB, Kim JH, Earley CJ.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 Clin Neurol. 2009;5:20-23.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DSM-5) (5th ed.).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4. Morin CM, Drake Cl, Harvey AG, Krystal AD, Manber R, Riemann D, Speigelhalder K. Insomnia disorder. Nat Rev Dis Primer 2015;1:15026 

  5. Schutte-Rodin S, Broch L, Buysse D, Dorsey C, Sateia M.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8;4(5):487-504. 

  6. Sateia MJ, Buysse DJ, Krystal AD, Neubauer DN, Heald J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harmacologic Treat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2):307-49. 

  7.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3rd ed. Seoul:Jipmoon-Dang. 2016:235-48. 

  8. Ni X, Shergis JL, Guo X, Zhang AL, Li Y, Lu C, Xue CC. Updated clinical evidence of Chinese herbal medicine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leep Med. 2015;16(12):1462-81. 

  9. National Clearinghouse for Korean Medicine [cited 2020 January 10]. Available from:http://www.nckm.or.kr/main/module/practiceGuide/view.do?guide_idx37&progressI&mds_code&disease_code&gubun&code_gubunmds&agency&continent&search_typeall&search_text&sortFieldadd_date&sortTypeDESC&viewPage2&menu_idx14 

  10. The Textbook Compliation Committee of Oriental Pathology. Oriental Pathology. Seoul:Hanimunhwasa. 2008;172,286,288,579. 

  11. Kim KK, Kang CW. Weigh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Oriental Gynaecology Experiment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999;12(1):17-28. 

  12. Song NK, Kim JK, Shin SH, Kim YH, Hwang GD, Ahn KS, et al. A Study for the Objective Diagnosis by Statistical Analysis to the Bian Zheng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5;11(1):127-38. 

  13. Kim JB, Kim JH, Son CG, Kang WC, Cho JH. Development of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6):1094-8. 

  14. Kim KI, Shin SW, Lee NL, Lee BJ, Jung HJ, Jung SK, Lee JH.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Tool of Chronic Cough. J Int Korean Med. 2015;36(1):22-39. 

  15. Han GJ, Leem JT, Lee NL, Kim JS, Park JW, Lee JH. Development of a Standard Tool for Pattern Ident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J Int Korean Med. 2015;36(2):122-52. 

  16. Shin JH, Jeong WY, Moon YK, Nam HJ, Kim YB, Lee JH, KIM KS. An Expert Survey for Developing the Pattern Diagnosis Instrument of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23-32. 

  17. Yim HJ, Kim SH, Lee SR, Jung IC.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5):1071-7. 

  18. Park DM, Lee SR, Kang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2):1-15. 

  19. Lee EH, Choi WC, Jung IC.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435-450. 

  20. Lee GE, Moon KS, Kim NK, Yong CS, Jung IC, Kang HW.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Korean Medical Pathologic Aging Scale and Korean Medical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mentia. J Korean Med. 2017;38(3):111-23. 

  21. Lee HS, Kim H, Yun YG, Lee SJ, Jeong JH, Kim BK, Lee EJ.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insomni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6;27(4):223-34. 

  22.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2014;10(3):210-5. 

  23. Sohn SI, Kim DH, Lee M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nd Breathing. 2012;16(3):803-12. 

  24. Yu B, Lee HK, Lee K. Validation and Factor Structure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Second Edition (BDI-II) : In a University Student Sample. Korean J Biol Psychiatry. 2011;18(3):126-33. 

  25. Lee KS, Bae HL, Kim DH.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nxiety and Mood. 2008;4(2):104-10. 

  26. Park MS. A Case Study of Meditation Counseling for Reducing Anxiety Disorder of Middle-aged Men Suffering from Panic Disorder.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2016;15:11-20. 

  27. Reed C, Barrett A, Lebrec J, Dodel R, Jones RW, Vellas B, Wimo A, Argimon JM, Bruno G, Haro JM. How useful is the EQ-5D in assessing the impact of caring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7;15:1-9. 

  28. Landis, J.R. and Koch G.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59-74. 

  29. Koo TK, Li MY. A Guideline of Selecting and Repor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Reliability Research. J Chiropr Med. 2016;15(2):155-63. 

  30. Kim KK, Seo BN, Kang WC, Jung IC. Guidelines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Hwa-byu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331-42. 

  31. Choi WC, Lee HS, Seo BN, Kang WC, Jung IC. A Study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4;25(4):371-82. 

  32. Lee HS, Kang WC, Jung IC.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5;26(4):407-16. 

  33. Choi WC, Lee HS, Seo BN, Kang WC, Jung IC. A Study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Improvement of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 Ji and Zheng Chong.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4;25(4):37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