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제도의 실질적 사각지대 규모와 원인에 대한 성별 분석
A Gender-Sensitive Analysis on the scale and causes of the blind spot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3, 2020년, pp.108 - 117  

김혜연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여 고용보장 측면에서 여성에게 실질적인 제도적 보장이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고용보험제도의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로 한국노동패널 12차년도(2009년)와 20차년도(2017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각지대의 원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용보험의 실질적 사각지대는 2009년에 성별 격차가 10%p 이상이었으나 2017년에 5%p 정도로 감소하여 실질적 사각지대의 성별 격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용보험 미가입 원인의 경우 다른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할 경우 여성의 고용보험 미가입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아, 노동시장 내 여건이 성별로 동일하다면 여성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오히려 남성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현재의 고용보험제도는 성별 자체에 의한 가입률 차이보다는 노동시장 특성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성별 노동시장 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이 고용보험 가입의 성별 격차를 완화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보험료 지원 사업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여성의 고용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정규직·고임금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현재의 고용보험제도가 불안정 일자리 및 저임금 노동자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개편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lind spots of Korea's employment insurance system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derived from 12th (2009) and 20th (2017) years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고용보험의 실질적 사각지대에 대한 성별 분석을 실시한다. 2009년과 2017년을 비교하여 임금근로자 중 고용보험의 법적 가입대상이나 실질적으로 미가입한 경우의 성별 비중이 변화했는지 파악한다. 둘째, 고용보험 미가입 원인에 있어 성별 (gender) 및 기타 개인요인, 가구요인, 노동시장 구조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 유형 중에서도 고용보험 가입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미가입한 경우를 실질 적 사각지대로 정의하고, 실질적 사각지대의 성별 규모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고용 보험제도의 포괄범위(coverage)가 성 평등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성(gender) 평등한 고용보험제도를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용보험제도가 성별 형평성 있게 운영되고, 이를 통해 여성의 고용률 제고와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동시장 내에서의 성별 불평등을 완화시키는 노력과 더불어서, 현재의 노동시장 조건들에서 고용보험제도의 성평등한 운영을 위해서 사회보험료 지원정책과 같은 부가적인 정책들의 운영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다소나마 증가하고 있고 여성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들이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의 지속적 인 고용 유지와 생계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실업보장의 측면에서도 우리나라의 고용보험제도가 잘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고용보험제도에서 여성 피보험자의 비중 은 점차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로만 판단하자면 고용보험제도가 여성 친화적이고 젠더-평등하게 발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여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확대되고 있는 것과 더불어 고용보장 측면에서도 여성에게 실질적인 제도적 보장이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고용보험제도의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의 성별 구성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고용보험 미가입의 원인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 유형 중에서도 고용보험 가입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미가입한 경우를 실질 적 사각지대로 정의하고, 실질적 사각지대의 성별 규모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고용 보험제도의 포괄범위(coverage)가 성 평등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성(gender) 평등한 고용보험제도를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 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보험제도 또는 복지국가에 대한 젠더 관점 연구들이 전제로 하는 것은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사회보험제도 또는 복지국가에 대한 젠더 관점 연구들이 전제로 하는 것은 복지국가가 성별 불평등의 정도를 변화시키거나 재생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들에서는 복지국가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과 노동시장 내에서의 노동자 보호임에도 불구하고, 젠더와 관련된 측면에서 남녀 간 불평등을 심화 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고 보았다[19-23].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고용보험 피보험자에 대한 성별 추이를 분석 한 결과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고용보험 피보험자에 대한 성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7년에는 전체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중에서 남성의 비중이 64.7%이고 여 성이 35.3%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2017년에는 여성 피보험자의 비중이 41.8%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용보호 측면에서 여성이 보장받을 수 있는 가능성(coverage) 이 높아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1]. 또한 실질적인 고용보험 가입대상이라고 볼 수 있는 임금근로자 수 대비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의 비중은 2017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66.
우리나라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 한 연구 결과는? 분석 자료로 한국노동패널 12차년도(2009년)와 20차년도(2017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각지대의 원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용보험의 실질적 사각지대는 2009년에 성별 격차가 10%p 이상이었으나 2017년에 5%p 정도로 감소하여 실질적 사각지대의 성별 격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용보험 미가입 원인의 경우 다른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할 경우 여성의 고용보험 미가입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아, 노동시장 내 여건이 성별로 동일하다면 여성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오히려 남성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https://eis.work.go.kr (accessed September. 30, 2018) 

  2. H.N. Bang, "Policy Initiatives to Strengthen Social Safety-net for Unemploymen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2, pp.25-32, 2012. 

  3. H.N. Bang and J.W. Nahm, "The Exclusion from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and Policy Issues: Focused on Unemployment Benefit", Social Welfare Policy, Vol.43, No.1, pp.51-79, 2016. DOI : http://dx.doi.org/10.15855/swp.2016.43.1.51 

  4. B.H. Lee, S.T. Kang, S.M. Eun, J.Y. Jang, J.H. Do, K.C. Park, J.S. Park,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n the Social Insurance Blind Spot, Korea, Korea Labor Institute, 2012. 

  5. http://kosis.kr 

  6. Misin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Basic Plan for Gender Equality Policies, 2018. 

  7. D.H. Kim,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Policy Alternatives on Unemployment Insurance", Proceedings of the Congress of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2014, pp. 521-536, 2014. 

  8. D.H. Kim and J.J. Huh, "Reform of Employment Insurance System",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0, No.1, pp.93-108. 2018. DOI: http://dx.doi.org/10.21888/KPAQ.2018.3.30.1.93 

  9. H.S. Yun, "Main cause of social insurance blind spots in Korea", Women's Economic Studies, V ol.15, No.2, pp.1-22. 2018. 

  10. B.B. Kim, and Y.H. Choi, "The Impact of Working Status on Poverty among the Elderl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1), pp.64-87, 2018. DOI: http://doi.org/10.15709/hswr.2018.38.1.64 

  11. S.Y. Lee, H.j. Seo and K.E. Park, "Why are Cleaning Workers Precarous?",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Vol. 24(2), pp.247-291. 

  12. J.W. Lee,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otection of Part-time Workers, Studies of Social Security Law, Vol. 32, pp.161-188. 

  13. J.H. Seo and S.H. Back, "Analysis of Changes in Social Insurance Legislation and Coverage",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14(3), pp.37-78, 2014. 

  14. D.S. Hwang, "Employment Insurance and Policy Issues", Review of Labor Policy, 2017. 5, pp.32-39, 2017. 

  15. H.J. Kang, "Legal Alternatives for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Insurance". The Journal of labor law, Vol. 31, pp.407-432, 2014. 

  16. E.H. Kim, H-L, Kim, E-K, Bae, C.S. Hong, "A Gender-sensitive Analysis on Unemployment Benefit system". Journal of Social Security, Vol.26, No.4, pp.239-264, 2010. 

  17. J.S. Kim,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 and Re-employment of Female Workers in Korea", The Women's Studies. 2005.6, pp.107-135, 2005. 

  18. C.S. Hong, E.H. Kim, H-L, Kim, E-K, Bae, "Gender Effect of Unemployment Benefit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Vol.26, No.3, pp.31-63, 2010. 

  19. A. Orloff.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8, No.3, pp.303-328, 1993. DOI : http://dx.doi.org/10.2307/2095903 

  20. N. Fraser, "After the Wage: Gender Equity and the Welfare State", Political Theory, Vol.22, No.4, pp.591-618, 1994. 

  21. J. Lewis, "Gender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Regimes",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 2, No.3, pp.159-173, 1992. DOI: https://doi.org/10.1177%2F095892879200200301 

  22. D. Sainsbury,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DOI: http://dx.doi.org/10.1093/0198294166.001.0001 

  23. W. Korpi, "Faces of inequality: Gender, class, and patterns of inequalities in different types of welfare states", Social Politics, Vol.7, No.2, pp.127-191, 2000. DOI :https://doi.org/10.1093/sp/7.2.127 

  24. D. Grimshaw and J. Rubery, "Workforce Heterogeneity and Unemployment Benefits: The need for policy assessment in the European Union".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7, No.4, pp.291-318, 1997. DOI: https://doi.org/10.1177%2F095892879700700402 

  25. M. Latim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ex and race inequalities in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Vol.XXX, No.4, pp.95-122, 2003. 

  26. M. Michelle, "Gender and Unemployment Insurance: why Women receive Unemployment Benefits at Lower Rates than Men and Will Unemployment Insurance Reform Close the Gender Gap", Texas Journal of Women and the Law, Vol.20, pp.55-74, 2010. 

  27. M. Townson and H. Kevin, Women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program, Canadian Center for Policy Alternatives, 2007. 

  28. E.M. Seung, "Irregular Work and Social Insura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pp.289-310, 2010. 

  29.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User's Guide. Korean Labor Institute (2017). 

  30. S.W.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Mechanism of Labor Market Structure on Access to Social Insura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0, No.2, pp.253-283, 2009. DOI : https://doi.org/10.16999/kasws.2009.40.2.253 

  31. J.H. Seo and J.S. Lee, "An Causal Mechanism Analysis to the Effect of the Labor Market Structure by Industry on Precarious Work in Service Sect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6, No.5, pp.283-314, 2010. DOI: http://doi.org/10.16999/kasws.2015.46.1.283 

  32. H.j. Kwon, "Atypical Employment and Exclusion from the National Pension Scheme", Journal of Applied Economics, Vol.14(2), pp.85-120,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