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원문보기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3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총 19편을 고찰한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중재 특성에서 목표는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등 자기 관련 요인이 많았고, 중재활동은 노래, 악기, 창작을 혼합한 그룹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음악 중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3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총 19편을 고찰한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중재 특성에서 목표는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등 자기 관련 요인이 많았고, 중재활동은 노래, 악기, 창작을 혼합한 그룹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음악 중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될 것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9 researches(13 theses and 6 articles) from 2009 to 2018 was reviewed through the selection an...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9 researches(13 theses and 6 articles) from 2009 to 2018 was reviewed through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es employing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those of one-group pre-post tests scored a higher ratio, and studie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lso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about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the goal mainly focussed on self-related factors such as self-identity, self-esteem and self-concept, and with the intervention type, there were mostly found the group activities integrating singing, playing and creat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developing music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m, and suggesting music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9 researches(13 theses and 6 articles) from 2009 to 2018 was reviewed through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es employing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those of one-group pre-post tests scored a higher ratio, and studie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lso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about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the goal mainly focussed on self-related factors such as self-identity, self-esteem and self-concept, and with the intervention type, there were mostly found the group activities integrating singing, playing and creat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developing music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m, and suggesting music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국내 음악 중재 문헌을 심도 있게 검토하여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해 국내에서 시행된 음악 중재 연구의 현황과 중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문헌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문화 아동 청소년의 심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웹 기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총 65편의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고, 문헌 선정 및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학위논문 13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최종 19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방안의 마련 및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 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19편의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 음악은 모두 국내 음악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모의 자국 언어로 된 노래 활용 등 문화적인 상황이 반영된 음악 중재를 통해 음악 안에서 부모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함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
자료 수집을 위해 ‘다문화 가정’, ‘아동, 청소년’, ‘심리’, ‘음악’, 등의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고, 검색한 후 초록 및 내용 확인을 통해 선별하였다.
검색 자료의 기간은 보다 광범위한 검색을 위해 출판연도의 시작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자료 검색을 실시한 시점인 2019년 6월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을 기준으로 하였다. 문헌 선정을 위해 먼저,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 문헌들의 리스트를 작성한 다음, 엑셀 프로그램(Microsoft Excel, 2016)을 이용하여 중복 문헌을 확인하고 제거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은 1차적으로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였으며, 제목이나 초록만으로 선정기준에 부합된 문헌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문을 참조하여 해당 여부를 결정하였다.
문헌 선정을 위해 먼저,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 문헌들의 리스트를 작성한 다음, 엑셀 프로그램(Microsoft Excel, 2016)을 이용하여 중복 문헌을 확인하고 제거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은 1차적으로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였으며, 제목이나 초록만으로 선정기준에 부합된 문헌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문을 참조하여 해당 여부를 결정하였다. 검색된 자료는 RISS 47편, SCHOLAR 4편, DBpia 4편으로 총 65편이었으며, 중복된 연구를 제거하고 55편의 연구를 선별하였다.
연구자 2인은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19편의 논문을 문헌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상호 논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였고 불일치가 있을 경우 논문의 재검토 및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문헌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특성이다.
세부 중재 목표 영역의 분석 준거는 Grosse & Grawe(2002)의분류틀[32]을 참고한 이성경과 김지혜(2018)의 연구[33]를 토대로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심리 관련 영역, 자기 관련 영역, 관계 관련 영역의 3개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선택된 문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은 선행연구[19]를 토대로 저자, 발행연도, 연구 설계, 참여자 나이와 인원, 중재 장소와 기간, 게재 유형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중재 특성에 따른 분석은 프로그램 내용, 목표,측정도구 및 연구결과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선택된 문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은 선행연구[19]를 토대로 저자, 발행연도, 연구 설계, 참여자 나이와 인원, 중재 장소와 기간, 게재 유형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중재 특성에 따른 분석은 프로그램 내용, 목표,측정도구 및 연구결과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세부 중재 목표 영역의 분석 준거는 Grosse & Grawe(2002)의분류틀[32]을 참고한 이성경과 김지혜(2018)의 연구[33]를 토대로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심리 관련 영역, 자기 관련 영역, 관계 관련 영역의 3개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음악치료 세션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수는 1-5명 6편, 6-10명 7편, 11-15명 3편,16명 이상이 3편으로 10명 이하의 인원이 많았고, 게재유형으로는 석사논문이 12편, 박사논문 1편, 학술지 게재 문헌이 6편으로 확인되었다. 중재 기간은 10회기 2편, 12회기-14회기가 17편으로 대부분 12회기 이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회기 당 세션 소요시간은 30분 이하가 2편, 31분-59분이 14편, 60분 이상이 3편으로, 60분 미만이 대부분이었다. 중재 형태로는 개별 형태 2편을 제외한 17편이 모두 그룹 형태로 이루어졌다.
대상 데이터
선정 기준은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지원을 위해 음악 프로그램을 시행한 연구로 학회지에 출간된 논문과 국내 학위논문을 포함하였다.
국내에서 시행한 음악 중재연구로 유사 실험연구를 포함한 실험연구, 단일 실험집단, 실험⋅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사례연구와 질적연구를 포함하였다.
2.3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및 검색어
검색에는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 국회도서관(nanet), 학술 데이터(DBpia), SCHOLAR, Google 학술 검색을 활용하였다
. 자료 수집을 위해 ‘다문화 가정’, ‘아동, 청소년’, ‘심리’, ‘음악’, 등의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고, 검색한 후 초록 및 내용 확인을 통해 선별하였다.
검색 자료의 기간은 보다 광범위한 검색을 위해 출판연도의 시작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자료 검색을 실시한 시점인 2019년 6월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을 기준으로 하였다. 문헌 선정을 위해 먼저,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 문헌들의 리스트를 작성한 다음, 엑셀 프로그램(Microsoft Excel, 2016)을 이용하여 중복 문헌을 확인하고 제거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은 1차적으로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였으며, 제목이나 초록만으로 선정기준에 부합된 문헌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문을 참조하여 해당 여부를 결정하였다. 검색된 자료는 RISS 47편, SCHOLAR 4편, DBpia 4편으로 총 65편이었으며, 중복된 연구를 제거하고 55편의 연구를 선별하였다. 이 중 연구 대상 및 방법의 부적합 연구 35편을 배제하였고, 원문 확인 불가 연구 1편을 배제하여 총 1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검색된 자료는 RISS 47편, SCHOLAR 4편, DBpia 4편으로 총 65편이었으며, 중복된 연구를 제거하고 55편의 연구를 선별하였다. 이 중 연구 대상 및 방법의 부적합 연구 35편을 배제하였고, 원문 확인 불가 연구 1편을 배제하여 총 1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 선정 과정에 대한 흐름도는 Fig.
연구자 2인은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19편의 논문을 문헌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상호 논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였고 불일치가 있을 경우 논문의 재검토 및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이 실시된 중재 장소로는 지역아동센터가 4편, 다문화 센터 및 외국인 근로자 회관이 4편, 이주민 여성 상담소 1편, 복지관 1편. 학교가 9편으로 대안학교와 외국인 학교를 포함한 학교가 가장 많았다.
중재 기간은 10회기 2편, 12회기-14회기가 17편으로 대부분 12회기 이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회기 당 세션 소요시간은 30분 이하가 2편, 31분-59분이 14편, 60분 이상이 3편으로, 60분 미만이 대부분이었다. 중재 형태로는 개별 형태 2편을 제외한 17편이 모두 그룹 형태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문헌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문화 아동 청소년의 심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웹 기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총 65편의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고, 문헌 선정 및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학위논문 13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최종 19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2018년 이후 다소 주춤하였으므로, 향후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설계로는 최종 19편 중 3편만이 무선 배치 실험연구 설계였고,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가 7편,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8편, 단일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음악 중재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무선 배치 실험연구 설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향후에는 보다 과학적이고 엄격한 실험연구 디자인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 검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론/모형
측정도구로는 자기 관련 영역에서 자아존중감 척도,자기표현 평정 척도, 자아개념 진단 검사, 임파워먼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리 관련 영역에서는 불안 척도, 우울 척도, 정서 발달 척도를 사용하였다. 관계 영역에서는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 사회성 척도가 사용되었고, 적응 관련 영역에서는 문화 적응 스트레스, 학교 적응 유연성 척도, 학교생활 적응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대상자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한 질적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하기도 하였다[36,37,39,45,46].
성능/효과
이들의 심리적 어려움은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쳐 학습 결손, 편견과 차별로 인한 학교 부적응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특히,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 차별을 경험한 비율은 9.4%, 학교 폭력 피해율은 5.0%로 나타났으며, 학업을 중단하는 비율도 높았다.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는 학교생활이나 문화가 달라서(18.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2와 같이 연도별 출판 동향은 2009년 1편, 2010년 3편, 2013년, 2014년에는 각각 1편씩, 총 2편으로 2009년도에서 2014년까지는 매년 1-2편의 문헌이 발표되었으며, 2016년 5편, 2017년 6편, 2018년 2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대상자별 나이로는 13세 이하인 아동 대상이 14편, 14세 이상의 청소년 대상이 5편으로 아동 대상의 연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 설계를 살펴보면, 무선 배치실험연구가 3편, 비무선 배치 대조군 실험연구가 7편, 단일 집단 사전 사후 8편, 단일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중재 결과로는 Table 4와 같이 심리 관련 영역에서는 불안 및 우울 감소, 정서발달을 목표로 한국 동요, 악기연주, 노래 활동 등의 음악 중재를 시행한 후, 다문화 가정 아동의 불안 감소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으며[22,34],불안 하위 요인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p <.05)를 보였고[24], 우울 점수 감소[23] 및 탈북 청소년의 정서발달에 유의미한 향상(p <.001)을 보였다[35].
2가지 이상의 요인을 목표로 설정한 연구 중 이중 문화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38,42],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 유연성, 대인관계가 함께 증가하였으며[25,43,44],음악극 중재를 통해 자기표현과 사회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05)[26].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 연도별 현황에서 2009년부터 매년 1편씩 꾸준히 발표되었으며,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재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한국 사회의 현실과 2015년 이후 급격한 수적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많은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중재 특성에 따른 분석을 살펴보면, 측정도구로는 자아 관련 측정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측정 도구와 함께 치료사의 행동 관찰을 기록하여 평가한 연구가 4편으로 질적인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이는 심도 있는 관찰을 통해 다양한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개별적인 목표와 세밀한 관찰의 필요에 따라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실태 및 현황을 보다 심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더 활발히 시행될 것을 기대한다[50].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방안의 마련 및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 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음악 중재 특성에서 목표는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등 자기 관련 요인이 많았고, 중재활동은 노래, 악기,창작을 혼합한 그룹 형태가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구 설계는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와 단일 집단 사전 사후 실험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13세 이하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음악 중재 특성에서 목표는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등 자기 관련 요인이 많았고, 중재활동은 노래, 악기,창작을 혼합한 그룹 형태가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위논문과 전문학술지를 분석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과 음악 관련 학술논문들을 분석하였는데,학위논문이 13편으로 등재학술지 논문 6편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엄격한 동료 심사(peer review)를 통과한 전문 학술지의 논문게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참여자들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매체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된 19편의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 음악은 모두 국내 음악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모의 자국 언어로 된 노래 활용 등 문화적인 상황이 반영된 음악 중재를 통해 음악 안에서 부모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함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후속연구
이는 현재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한국 사회의 현실과 2015년 이후 급격한 수적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많은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이후 다소 주춤하였으므로, 향후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설계로는 최종 19편 중 3편만이 무선 배치 실험연구 설계였고,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가 7편,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8편, 단일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연구설계로는 최종 19편 중 3편만이 무선 배치 실험연구 설계였고, 비무선 배치 실험연구가 7편, 단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가 8편, 단일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음악 중재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무선 배치 실험연구 설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향후에는 보다 과학적이고 엄격한 실험연구 디자인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 검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중재 특성에 따른 분석을 살펴보면, 측정도구로는 자아 관련 측정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측정 도구와 함께 치료사의 행동 관찰을 기록하여 평가한 연구가 4편으로 질적인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이는 심도 있는 관찰을 통해 다양한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개별적인 목표와 세밀한 관찰의 필요에 따라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실태 및 현황을 보다 심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더 활발히 시행될 것을 기대한다[50]. 이와 더불어 후속 검사 등을 포함한 추적연구를 통해 중재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실태 및 현황을 보다 심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더 활발히 시행될 것을 기대한다[50]. 이와 더불어 후속 검사 등을 포함한 추적연구를 통해 중재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할 것을 제안한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 중 가정적, 학교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자아탐색 및 긍정적 정서 확립에 초점을 둔 단기간의 진행으로 집단 중재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다문화 아동ㆍ청소년의 가정, 학업 및 학교에서의 유능감 등 개인적 문제 개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사전보다는 사후 점수가 증가하였으므로 장기적인 활동 구성, 가정과 연계한 부모와 함께 중재를 시행하는 등의 다양한 음악적 환경을 구성한다면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중복 변인 목표 연구가 많아 심리, 자기, 관계, 적응 영역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이를 더 잘 활용한 음악 중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사전보다는 사후 점수가 증가하였으므로 장기적인 활동 구성, 가정과 연계한 부모와 함께 중재를 시행하는 등의 다양한 음악적 환경을 구성한다면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중복 변인 목표 연구가 많아 심리, 자기, 관계, 적응 영역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이를 더 잘 활용한 음악 중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래 가사를 통해 내면 탐색과 자기 인식 및 수용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음악극을 통한 다양한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 투사, 내면화, 표현 촉진을 도울 뿐 아니라, 공동 작업을 통해 완성된 음악극을 발표하는 것이 사회성, 성취감 및 자신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9]. 이에,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 음악 중재에서 음악극이 가지는 유용성을 활용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될 것을 기대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학위논문과 전문학술지를 분석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과 음악 관련 학술논문들을 분석하였는데,학위논문이 13편으로 등재학술지 논문 6편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엄격한 동료 심사(peer review)를 통과한 전문 학술지의 논문게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리지원 음악 중재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연구만을 검색하였으나, 우리나라보다 먼저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자원을 통해 사회적 성공을 이룬 나라들을 중심으로 국외 문헌검색을 통해 더 다양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기를 제안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엄격한 동료 심사(peer review)를 통과한 전문 학술지의 논문게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리지원 음악 중재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연구만을 검색하였으나, 우리나라보다 먼저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자원을 통해 사회적 성공을 이룬 나라들을 중심으로 국외 문헌검색을 통해 더 다양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기를 제안한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 관련 문헌 검색 과정에서 중도입국 학생, 학교 중단 학생 등의 사각지대 다문화 아동ㆍ청소년 대상 연구에 대한 확인이 부족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리지원 음악 중재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연구만을 검색하였으나, 우리나라보다 먼저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자원을 통해 사회적 성공을 이룬 나라들을 중심으로 국외 문헌검색을 통해 더 다양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기를 제안한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 관련 문헌 검색 과정에서 중도입국 학생, 학교 중단 학생 등의 사각지대 다문화 아동ㆍ청소년 대상 연구에 대한 확인이 부족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참여자들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매체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ㆍ청소년 관련 문헌 검색 과정에서 중도입국 학생, 학교 중단 학생 등의 사각지대 다문화 아동ㆍ청소년 대상 연구에 대한 확인이 부족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동ㆍ청소년의 심리지원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참여자들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매체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된 19편의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 음악은 모두 국내 음악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이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이란 결혼이민자와 출생, 인지, 귀화에 의해 대한민국 국적을 획득한 한국인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하며[2], 넓은 의미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3]. 우리나라는 다문화가정의 탄생이 한 해에 2만 쌍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1].
미술심리치료, 음악치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실제로 다문화 가정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심리지원을 위한 상담 지원뿐 아니라 미술심리치료, 음악치료 등의 예술심리치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17]. 예술심리치료는 비언어적인 요소인 예술을 매체로 사용함으로써 연령이 낮거나 언어가 서툰 경우에도 이해가 용이하며, 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18,19].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다문화 학생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학교와 지역사회에서는 이들이 겪고 있는 여러 종류의 어려움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가족해체,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를 경험하기 쉽고[5] 이로 인한 불안, 우울, 신체화, 과잉행동과 낮은 자아개념 등의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6-9]. 또한 이중 문화에 대한 충돌과 가치관 혼란, 정체성의 혼돈과 같은 문제들은 타인과의 원활한 관계 형성을 어렵게 한다[10,1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