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생력화가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병,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의 재배적 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용기별 배양기간은 병에서 배양된 처리구가 30일, 상자에서의 배양이 35일로 나타났고, 갈변기간은 병 재배가 25일, 상자 재배가 40일이었으며,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50일로 가장 길었다. 전체 재배기간은 병이 75일, 상자가 90일, 병 배양 후 상자 재배방식이 105일로 가장 길었다. 재배방식별 버섯 발이수는 상자 17.8개, 병 배양후 상자재배 14.7개, 병 1개 순으로, 자실체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상자재배는 945 g, 병 배양 후 상자재배 638 g, 병재배가 70 g으로 나타났다. 건조 배지량별 신선버섯 수량(BE, %)은 상자재배가 32.7%, 병 재배가 24.3%,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22.1% 순으로 상자재배의 자실체 수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자재배는 갈변기간의 단축과 버섯 수량성에서 병 재배, 병 배양후 상자재배 방식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어 친환경 생력화 재배법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생력화가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병,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의 재배적 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용기별 배양기간은 병에서 배양된 처리구가 30일, 상자에서의 배양이 35일로 나타났고, 갈변기간은 병 재배가 25일, 상자 재배가 40일이었으며,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50일로 가장 길었다. 전체 재배기간은 병이 75일, 상자가 90일, 병 배양 후 상자 재배방식이 105일로 가장 길었다. 재배방식별 버섯 발이수는 상자 17.8개, 병 배양후 상자재배 14.7개, 병 1개 순으로, 자실체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상자재배는 945 g, 병 배양 후 상자재배 638 g, 병재배가 70 g으로 나타났다. 건조 배지량별 신선버섯 수량(BE, %)은 상자재배가 32.7%, 병 재배가 24.3%,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22.1% 순으로 상자재배의 자실체 수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자재배는 갈변기간의 단축과 버섯 수량성에서 병 재배, 병 배양후 상자재배 방식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어 친환경 생력화 재배법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that would reduce both labor and wast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mushroom yields were estimat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method to culture L. edodes, using bottles and boxes. Among these, box cu...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that would reduce both labor and wast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mushroom yields were estimat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method to culture L. edodes, using bottles and boxes. Among these, box cultivation with 7 kg of substrate had 40 days of browning period and the maximum yield of 945 g fruiting body; its biological efficiency was 32.7%. In contrast, box cultivation after pre-culture, and the bottle cultivation were found to be un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 edodes, due to long periods of browning, and low yields with poor quality,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on box cultivation of L. edodes are necessary for commercial application of this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that would reduce both labor and wast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mushroom yields were estimat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method to culture L. edodes, using bottles and boxes. Among these, box cultivation with 7 kg of substrate had 40 days of browning period and the maximum yield of 945 g fruiting body; its biological efficiency was 32.7%. In contrast, box cultivation after pre-culture, and the bottle cultivation were found to be un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 edodes, due to long periods of browning, and low yields with poor quality,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on box cultivation of L. edodes are necessary for commercial application of this method.
, 2019). 본 연구에서는 생력화가 가능한 기존의 버섯 재배 병(1,100 mL)과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 자실체 생산성과 특성을 평가하고자 추진하였다.
제안 방법
5%(v/v)씩 혼합하여 수분함량을 58% 로 조절한 다음 실험에 이용하였다. 병 배양 후 상자재배 (T1)는 1,100 mL의 병을 이용하여 혼합배지를 700 g을 넣고 배지를 충진한 다음 마개로 닫고, 121o C씨에서 90분 간 살균 후 냉각실로 옮겨 식힌 후 고체종균을 20 g씩 접 종한 후 20o C의 배양실로 옮겨 균사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자동탈병기를 이용하여 병에서 균사배양 이 완료된 배지를 분리시킨 다음 노란색 재배용 상자 (40×40×15 cm)에 7 kg씩 옮겨담고 배양 상면을 고르게 다진 후 상자 전체를 봉지를 씌워 고무줄로 묶은 다음 갈 변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자동탈병기를 이용하여 병에서 균사배양 이 완료된 배지를 분리시킨 다음 노란색 재배용 상자 (40×40×15 cm)에 7 kg씩 옮겨담고 배양 상면을 고르게 다진 후 상자 전체를 봉지를 씌워 고무줄로 묶은 다음 갈 변 배양을 실시하였다. 버섯 상자재배(T2)는 노란색 재배 용 상자에 혼합배지를 7 kg 넣고 다진 후 봉지를 씌워 고 무줄로 밀봉한 다음 121o C씨에서 90분간 살균한다. 살균 이 완료되면 냉각실로 옮겨 15o C 이하로 식힌 후 고체종 균 140 g을 배양상면에 고르게 뿌려서 접종한 후 20o C의 배양실로 옮겨 균사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200 lux이상의 조명이 설치된 갈변실로 옮겨 갈변 배양을 실시하였다. 버섯 병 재배(T3)는 1,100 mL의 병에 혼합 배지를 700 g씩 충진한 다음, 121o C씨에서 90분간 살균 후 냉각실로 옮겨 식힌 후 자동접종기를 이용하여 고체종 균을 20 g씩 접종한 다음 20o C의 배양실로 옮겨 균사배 양을 실시하였다. 균사배양이 완료되면 갈변실로 옮겨 갈 변을 유도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 사용된 표고 버섯균주는 산림버섯연구센터에 92 김정한 · 강영주 · 백일선 · 신복음 · 하태문 · 정구현 서 육성한 ‘산조701호’로 potato dextrose agar(PDA) 배 지에 증식시키면서, 톱밥배지용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종 균용 톱밥배지의 조성은 참나무톱밥과 미강을 80:20(v/v)으 로 제조하였으며 수분함량은 60%로 조정하고 121o C에서 90분간 멸균한 후 공시균주를 접종한 후 약30일간 배양하 여 고체종균으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자실체 특성 조사는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의‘표고 버섯 특성조사 요령’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의 통 계처리는 SAS Enterprise Guide 7.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의 다중범 위검정(Duncan’s-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평균값들 에 대한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전체 재배기간 은 균사배양, 갈변, 초발이기간, 생육기간을 합쳐 산출하 였다. 자실체 특성 조사는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의‘표고 버섯 특성조사 요령’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의 통 계처리는 SAS Enterprise Guide 7.
성능/효과
표고 재배방법별 재배특성은 Table 2와 같다. 처리구별 배양기간은 T1(병 배양 후 상자재배)과 T3(병 재배)가 30 일로 소요되어 T2의 상자재배가 35일보다 짧았는데, 두 처리구 모두 재배병 에서 배양한 결과이며, 상자는 배지 량이 7 kg인데 비해 병은 0.7 kg으로 적었다. 표고는 다 른 재배버섯과 달리 균사배양이 완료된 후 갈변과정이 필 요한데 이는 배지내의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병원균의 침투를 방지하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보고되어 있다(Koo et al, 2013, Seo and Koo, 2019).
초발이기간은 T2가 5일로 가장 짧았고, T1이 15일, T3 이 10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자실체 생육기간은 처리 구간 차이없이 10일이었고, 따라서 전체 재배기간은 T3이 75일로 가장 짧고, T2가 90일, T1이 105일로 가장 길었다. 재배방법별 표고 자체 특성 및 수량은 Table 3과 같 다.
1). 자실체 수량은 T2가 945 g, T1이 638 g, T3이 70 g으로 나타났는데, 건조 배 지량별 신선 버섯 수량(생물학적 효율, %)이 T2가 32.7% 로 가장 우수하였고, T3가 24.3%, T1이 22.1%로 가장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3의 병 재배 방식은 병 용기와 배지 틈사이에서 버섯 발생이 이루어져 자실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 생하였는데(Fig.
후속연구
1%로 가장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3의 병 재배 방식은 병 용기와 배지 틈사이에서 버섯 발생이 이루어져 자실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 생하였는데(Fig. 2), 향후 병재배를 고려한다면 이런 문제 점들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표고 봉지재배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 구에서, 병배양후 상자재배 방식(T1)은 균사 배양이 완료된 배지가 상자에 입상후에 균사의 회복과 재생에 시일이 소 요되어 갈변기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으로 재배기간이 길어 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기존 표고 봉지재배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 구에서, 병배양후 상자재배 방식(T1)은 균사 배양이 완료된 배지가 상자에 입상후에 균사의 회복과 재생에 시일이 소 요되어 갈변기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으로 재배기간이 길어 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자 직접재배 방식에 비해 자실체 생산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상 자 직접 재배방식을 선발하였고(Fig. 3), 추후에 2, 3주기 수량성 검토 및 재배상자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Lentinla edodes)란 무엇인가?
표고(Lentinla edodes)는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laes) 낙엽버섯과(Marasmiaceae) 표고 속(Lentinula)에 속하며,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썩은 나무 에서 발생하는 백색부후균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특유의 향과 감칠맛으로 대중들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있는 버섯이다(Chihara et al., 1970).
봉지를 이용 한 톱밥배지에서의 생산이 가지는 문제점은?
표고는 주로 참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원목에 구멍을 뚫 어 종균을 접종하여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봉지를 이용 한 톱밥배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느타리, 새 송이, 팽이버섯의 병재배 방식보다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낮으며, 비닐, 솜, 접착용 테이프 등의 일회용 자재의 사 용 비율이 높아 새로운 재배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원에서도 2017년부터 생력화 재배법 개발연구를 수 행하여, 원통형 병(1.
표고의 주 재배법은?
표고는 주로 참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원목에 구멍을 뚫 어 종균을 접종하여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봉지를 이용 한 톱밥배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느타리, 새 송이, 팽이버섯의 병재배 방식보다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낮으며, 비닐, 솜, 접착용 테이프 등의 일회용 자재의 사 용 비율이 높아 새로운 재배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