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0 no.2, 2020년, pp.99 - 104
안승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나노-광공학과)
Recent discoveries of ferroelectric properties in ultrathin doped hafnium oxide (HfO2) have led to the expectation that HfO2 could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perovskite materials and be applied to electron devices such as Fe-Random access memory (RAM), ferroelectric tunnel junction (FTJ) and negat...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페로브스카이트 강유전체의 특성은? | 강유전체를 이용한 메모리 연구는 주로 Pb(Zr,Ti)O3(PZT), SrBi2Ta2O9(SBT) 등의 페로브스카이트강유전체를 기반으로 연구가 되어져 왔다.1,2) 하지만 페로브스카이트 강유전체는 50 nm 이하의 두께에서 강유전성이 사라지는 특성으로 인해 scale down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3) 그러나 최근에 수 nm 두께의 HfO2 박막에서 강유전성이 발견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
플래쉬 메모리가 가지고 있는 이슈는? | 따라서 원활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위한 고속, 고밀도 및 저전력 소모를 갖는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의 필요성이 꾸준히 재기되어 왔다.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쓰이는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도 끊임없는 진화를 통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여전히 동작속도 및 높은 동작 전압등의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메모리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강유전체의 안정적인 분극 상태 변화(-P, +P)를 이용한 메모리는 전기장에 의한 구동으로 인한 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 구현이 가능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 |
플래쉬 메모리의 동작속도 및 높은 동작 전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내용 중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쓰이는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도 끊임없는 진화를 통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여전히 동작속도 및 높은 동작 전압등의 이슈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메모리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강유전체의 안정적인 분극 상태 변화(-P, +P)를 이용한 메모리는 전기장에 의한 구동으로 인한 저전력 비휘발성 메모리 구현이 가능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강유전체를 이용한 메모리 연구는 주로 Pb(Zr,Ti)O3(PZT), SrBi2Ta2O9(SBT) 등의 페로브스카이트강유전체를 기반으로 연구가 되어져 왔다. |
N. Setter, D. Damjanovic, L. Eng, G. Fox, S. Gevorgian, S. Hong, A. Kingon, H. Kohlstedt, N. Y. Park, G. B. Stephenson, I. Stolitchnov, A. K. Taganstev, D. V. Taylor, T. Yamada and S. Streiffer, J. Appl. Phys., 100, 109901 (2006).
M. Dawber, K. M. Rabe and J. F. Scott, Rev. Mod. Phys., 77, 1083 (2005).
M. H. Park, Y. H. Lee, T. Mikolajick, U. Schroeder and C. S. Hwang, MRS Commun., 8, 795 (2018).
C. Li, C. Li, L. Huang, T. Li, W. Lu, X. Qiu, Z. Huang, Z. Liu, S. Zeng, R. Guo, Y. Zhao, K. Zeng, M. Coey, J. Chen, Ariando and T. Venkatesan, Nano Lett., 15, 2568 (2015)
F. A. Vargas, G. Kolhatkar, M. Broyer, A. H. Youssef, R. Nouar, A. Sarkissian, R. Thomas, C. Gomez-yanez, M. A. Gauthier and A. Ruediger, ACS Appl. Mater. Interfaces, 9, 13262 (2017)
H. Ishiwara, Curr. Appl. Phys., 12, 603 (2012)
V. V. Zhirnov and R. K. Cavin, Nat. Nanotechnol., 3, 77 (2008).
J. Jo and C. Shin, IEEE Electron Device Lett., 37, 245 (20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