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정량법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Quantification Method of Ergotioneine in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1, 2020년, pp.49 - 55  

박승희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나노바이오 전공) ,  이정민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나노바이오 전공) ,  이승호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나노바이오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인 에르고티오네인의 정확한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고 아위느타리버섯 3종(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 및 항산화 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의 HPLC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최적 조건(shodex HILIC column, 35 ℃, 1.0 mL/min)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에 포함된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결정하였다(맥송: 3.04 ± 0.02 mg/g, 비산 2호: 3.15 ± 0.05 mg/g, 백황: 1.13 ± 0.07 mg/g). 또한,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로부터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맥송 및 비산 2호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 소재는 높은 에르고티오네인 함량과,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향후 항산화 효능을 보유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optimal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nditions for estimation of the ergothioneine contents in the three kinds of water extracts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Meaksong, Beesan No. 2, Baekwhang). By comparing the four different HPLC condition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산화제는 이러한 활성산소에 수소 원자 또는 전자를 제공하여 라디컬을 소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컬과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이용하여 각 버섯 시료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에르고티오네인의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최적 HPLC 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세 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맥송, 비산 2호, 백황) 열수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맥송, 비산 2호, 백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버섯에서의 항산화 능력은 주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계의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최근 버섯이 에르고티오네인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천연 소재로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에르고티오네인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위느타리버섯 3종류(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정량하기 위한 최적 HPLC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해아위느타리버섯 3종(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에르고티오네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총 폴리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과 함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여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항산화 천연소재로서 가치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르고티오네인은 무엇인가? 에르고티오네인(eroghioneine)은 1909년에 ergos fungus라고 하는 버섯에서 처음 발견된 식이성 천연 항산화 물질로 인체의 혈액, 간, 신장, 뇌, 안구, 중추 신경계에서발견되나 인간이나 동물 및 고등식물에서는 생합성 되지 못하여 외부로부터 흡수 공급되어야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3,4]. 에르고티오네인은 다른 일반 항산화제의 반감기(3 s ∼ 30 min)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약 30days)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5] 항산화제 및 항산화 화장품 제조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활성산소의 역할은 무엇인가? 활성산소는 산소의 대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부산물 중 하나로, 낮은 농도에서는 2차 전달자(secondarymessenger)로서 작용하여 세포 신호전달에 참여하고,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 하지만 자외선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적 환경 요인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활성산소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과도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생성될 수 있고, 체내에서 생성된 과량의 활성 산소는 DNA, 지질 등을 산화시켜 세포 내에서 독성물질로 작용하여 암, 심장질환,치매와 같은 병리학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활성산소 제거를 위해 항산화제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활성산소는 산소의 대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부산물 중 하나로, 낮은 농도에서는 2차 전달자(secondarymessenger)로서 작용하여 세포 신호전달에 참여하고,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 하지만 자외선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적 환경 요인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활성산소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과도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생성될 수 있고, 체내에서 생성된 과량의 활성 산소는 DNA, 지질 등을 산화시켜 세포 내에서 독성물질로 작용하여 암, 심장질환,치매와 같은 병리학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따라서 신체 내의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은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항산화제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 R. Martin and J. C. Barrett, Reactive oxygen species as double-edged swords in cellular processes: low-dose cell signaling versus high-dose toxicity, Hum Exp Toxicol, 21(2), 71 (2002). 

  2. E. Birben, U. M. Sahiner, C. Sackesen, S. Erzurum, and O. Kalayci,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fense, World Allergy Organ. J, 5(1), 9 (2012). 

  3. B. Halliwell, I. K. Cheah, and R. M. Y. Tang, Ergothioneine - a diet-derived antioxidant with therapeutic potential, FEBS Lett., 592(20), 3357 (2018). 

  4. I. K. Cheah, and B. Halliwell, Ergothioneine; antioxidant potential, physiological function and role in disease, Biochim. Biophys. Acta., 1822(5), 784 (2012). 

  5. I. K. Cheah, R. M. Tang, T. S. Yew, K. H. Lim, and B. Halliwell, Administration of pure ergothioneine to healthy human subjects: Uptake, metabolism, and effects on biomarkers of oxidative damage and inflammation, Antioxid.. Redox Signal., 26(5), 193 (2017). 

  6. D. Turck, J. Bresson, B. Burlingame, T. Dean, S. Fairweather-Tait, M. Heinonen, K. I. Hirsch-Ernst, I. Mangelsdorf, H. J. McArle, A. Naska, M. Neuhauser- Berthold, G. Nowicka, K. Pentieva, Y. Sanz, A. Siani, A. Sjodin, M. Stern, D. Tome, M. Vinceti, P. Willatts, K. Engel, R. Marchelli, A. Poting, M. Poulsen, J. R. Schlatter, R. Ackerl, and H. V. Loveren, Statement on the safety of synthetic L-ergothioneine as a novel food - supplementary dietary exposure and safety assess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pregnant and breastfeeding women, E. F . S. A J ourna l., 15(11), 5060 (2017). 

  7. M. Y Kim, l. M. Chung, S. J. Lee, J. K. Ahn, E. H. Kim, M. J. Kim, S. L. Kim, H. I. Moon, H. M. Ro, E. Y. Kang, S. H. Seo, and H. K. Song,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 carbohydrates concentrations in Kore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Food Chem, 113(2), 386 (2009). 

  8. M. Zhang, S. W. Cui, P. C. K. Cheung, and Q. Wang,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s: a review on their isolation proces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tumor activity, Trends Food Sci. Technol., 18(1), 4 (2007). 

  9. J. L. Mau, H. C. Lin, and S. F. Song,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l., 35(6), 519 (2002). 

  10. N. J. Dubost, B. Ou, and R. B. Beelman, Quantification of polyphenols and ergothioneine in cultivated mushrooms and correlation to total antioxidant capacity, Food Chem., 105(2), 727, (2007). 

  11. Y. Choi, S. M. Lee, J. Chun, H. B. Lee, and J. Le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2), 381 (2006). 

  12. C. I. G. Tuberoso, M. Boban, E. Bifulco, D. Budimir, and F. M. Pirisi, Antioxidant capacity and vasodilatory properties of Mediterranean food: The case of Cannonau wine, myrtle berries liqueur and strawberry-tree honey, Food Chem, 140(4), 686 (2013). 

  13. F S. Reis, A. Martins, L. Barros, and I. C. Ferreira,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enolic profile of the most widely appreciated cultivated mushroom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samples, Food Chem. Toxicol., 50(5), 1201 (2012). 

  14. E. J. Kim, H. J. Lee, H. J. Kim, H. S. Nam, M. K. Lee, H. Y. Kim, J. H. Lee, Y. S. Kang, J. O. Lee, and H. Y. Kim, Comparison of colori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propolis extract products, KOREAN J. FOOD SCI. THCHNOL, 37(6), 918 (2005). 

  15. D. B. Melville, W. H. Horner, and R. Lubschez, Tissue ergothioneine, J. Biol. Chem., 206(1), 221 (1954). 

  16. T. K. Shires, M. C. Brummel, J. S. Pulido, and L. D. Stegink, Ergothioneine distribution in bovine and porcine ocular tissues, Comp. Biochem. Physiol. C, Pharmacol. Toxicol. Endocrinol., 117(1), 117 (1997). 

  17. H. B. Salt, The ergothioneine content of the blood in health and disease, Biochem J., 25(.5), 1712 (1931). 

  18. I. K. Cheah, L. T. Ng, L. F. Ng, V. Y. Lam, J. Gruber, C. Y. W. Huang, F. Q. Goh, K. H. C. Lim, and B. Halliwell, Inhibition of amyloid-induced toxicity by ergothioneine in a transgenic Caenorhabditis elegans model, FEBS Lett., 593(16), 2139 (2019). 

  19. R. D. Williamson, F. P. McCarthy, S. Manna, E. Groarke, D. B. Kell, L. C. Kenny, and C. M. McCarthy, L-(+)-ergothioneine significantly improve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eclampsia in the reduced uterine perfusion pressure rat model, Hypertension, 75(2), 561 (2020). 

  20. Q. Liu, W. Zhang, H. Wang, Y. Li, W. Liu, Q. Wang, D. Liu, N. Chen, and and W. Jiang, Validation of a HILIC method for the analysis of ergothioneine in fermentation broth, J Chromatogr Sci, 54(6), 934 (2016). 

  21. K. Obayashi, K. Kurihara, Y. Okano, H. Masaki, and D. B. Yarosh, L-ergothioneine scavenges superoxide and singlet oxygen and suppresses TNF-alpha and MMP-1 expression in UV-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J Cosmet Sci, 56(1), 17 (2005). 

  22. Y. C. Hseu, Y. Vudhya Gowrisankar, X. Z. Chen, Y. C. Yang, and H. L. Yang, The antiaging activity of ergothioneine in UVA-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via the inhibition of the AP-1 pathway and the activation of Nrf2-mediated antioxidant genes, Oxid. Med Cell Longev, 2020, 2576823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