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지역의 콩 기상 생태형 설정 연구
Estimation of Meteorological Ecology of Soybean (Glycine max Merrill) for Crop Cultivation Regions of North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1, 2020년, pp.56 - 62  

김보환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이혜지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욱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박세준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콩 품종의 기상생태형을 설정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역의 일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콩 수확 한계기와 최대 재배일수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지역별 콩 기상생태형을 분류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북한 지역의 콩 기상생태형 군은 총 8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서해안 남부와 동해안 남부지역으로, II-1군은 서해 내륙의 남부에서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II-2군은 동해안 중부지역으로, III-1군은 중부 내륙지역으로, III-2군은 동해안 북부지역으로, IV-1군은 중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IV-2군은 북부 내륙지역으로, IV-3군은 동해안 최북단과 북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결정되었다. 2. 수확 한계기는 I군에 속하는 남부 서해안과 동부 동해안 지역이 10월 21일~29일로 가장 늦었고, 중부 내륙과 산간지역으로 갈수록 짧아져 IV군에서는 9월 18일~10월 2일로 가장 빨랐다. 3. 최대 생육일수는 I군은 153~160일로 가장 길었으며, 북부산간 지역인 IV-3군은 100~111일로 가장 짧았다. 4.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기상생태형 I군의 개화 한계기는 8월 12일~19일로 일장은 13.5~13.8 h이었으며, II군은 8월 2일~6일에 14~14.2 h, III군은 7월 27일~8월 2일에 14.2~14.4 h, IV군은 7월 10일~22일에 14.5~14.8 h이었다. 5.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적산온도는 서해 내륙에 있는 2-1군이 2,400℃ 이상으로 높았으며, 청진, 선봉, 중강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300℃ 이상을 보였다. 6. 최대 재배일수를 기준으로 산정한 적산온도는 I군과 II-1군은 3,000℃ 이상의 적산온도를 보였으며, II-2군, III-1군, 및 IV-1군은 2,500℃ 이상의 적산온도를 기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teorological ecology of a soybean variety (Glycine max Merrill) and its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soybean variety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meteorologic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for 27 crop cultivation 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북한 지역별 기상 특성에 적합한 콩 생태형의 재설정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지역별 콩의 최적 재배모형과 생태형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저온도와 생육일수를 근거한 지역별 콩 기상 생태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콩 품종의 기상생태형을 설정하고 그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역의 일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콩 수확 한계기와 최대 재배일 수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지역별 콩 기상생태형을 분류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콩 수량 확보를 위한 콩의 최소 생육 기간은 파종기~개화기 40일과 개화기~성숙기 70일로 총 생육 기간 110일로 가정하였다. 경기도 북부지역(차탄리)에서 6월 15일 파종 시 황금콩의 개화일수 45일, 성숙일수 67일로 보고되었다(Lee et al.
  • 포장에서 콩 묘의 출현은 토양온도 15°C 이하에서 늦어지며, 발아기의 최저온도는 6~7°C, 성숙기의 최저온도는 8~9°C로 제시되고 있다(RDA, 2017). 수량확보를 위한 콩의 생육기간은 파종기~개화기 40일과 개화기~성숙기 70일로 총 생육기간 110일을 최소 생육기간으로 가정하였다. 경기도 북부지역(차탄리)에서 6월 15일 파종시 황금콩의 개화일수 45일, 성숙일수 67일로 보고되었다(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의 기능은 무엇인가? 콩(Glycine max Merrill)은 북한 주민들에게 단백질 섭취의 주공급원으로, 최근 영양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콩 재배 면적을 확장하는 추세에 있다. 콩은 토양에 질소를 공급하는 기능이 있어 윤작 작물(crop rotation) 및 간작 작물(break crop)로 재배를 장려하고 있다(Kim & Lim, 2018). 북한 콩의 재배면적은 2017년 기준으로 15만 ha로 추정되고 있으며, 북한의 두류 생산량은 2015~2017년 평균 294.
북한 주민들의 단백질 섭취 주공급원은 무엇인가? 콩(Glycine max Merrill)은 북한 주민들에게 단백질 섭취의 주공급원으로, 최근 영양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콩 재배 면적을 확장하는 추세에 있다. 콩은 토양에 질소를 공급하는 기능이 있어 윤작 작물(crop rotation) 및 간작 작물(break crop)로 재배를 장려하고 있다(Kim & Lim, 2018).
지역의 일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콩 수확 한계기와 최대 재배일수를 결정하고 이를 적용하여 지역별 콩 기상생태형을 분류하였을 때 그 특성은? 지역의 일별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콩 수확 한계기와 최대 재배일수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지역별 콩 기상생태형을 분류하였고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북한 지역의 콩 기상생태형 군은 총 8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서해안 남부와 동해안 남부지역으로, II-1군은 서해 내륙의 남부에서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II-2군은 동해안 중부지역으로, III-1군은 중부 내륙지역으로, III-2군은 동해안 북부지역으로, IV-1군은 중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IV-2군은 북부 내륙지역으로, IV-3군은 동해안 최북단과 북부 내륙 산간지역으로 결정되었다. 2. 수확 한계기는 I군에 속하는 남부 서해안과 동부 동해안 지역이 10월 21일~29일로 가장 늦었고, 중부 내륙과 산간지역으로 갈수록 짧아져 IV군에서는 9월 18일~10월 2일로 가장 빨랐다. 3. 최대 생육일수는 I군은 153~160일로 가장 길었으며, 북부산간 지역인 IV-3군은 100~111일로 가장 짧았다. 4.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기상생태형 I군의 개화 한계기는 8월 12일~19일로 일장은 13.5~13.8 h이었으며, II군은 8월 2일~6일에 14~14.2 h, III군은 7월 27일~8월 2일에 14.2~14.4 h, IV군은 7월 10일~22일에 14.5~14.8 h이었다. 5. 총 생육일수를 110일로 가정하였을 때 적산온도는 서해 내륙에 있는 2-1군이 2,400℃ 이상으로 높았으며, 청진, 선봉, 중강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300℃ 이상을 보였다. 6. 최대 재배일수를 기준으로 산정한 적산온도는 I군과 II-1군은 3,000℃ 이상의 적산온도를 보였으며, II-2군, III-1군, 및 IV-1군은 2,500℃ 이상의 적산온도를 기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 G. Y. 1982. Upland cropping (4th). Hyang Mun Sa. pp. 235-280 (In Korean). 

  2. Heo, S. K., H. P. Mun, E. K. Jung, U. H. Yang, J. K. Lee, and T. Y. Kim. 2018. Improving food productivity in the North Korean region. Korea Seed Research Society Symposium pp. 113-167 (In Korean). 

  3. Kim, Y. H. and C. H. Lim. 2018. KREI North Korean agriculture trend. KREI. Vol. 20, Issue 2, pp. 3-9 (In Korean). 

  4. Kim, Y. H. and C. H. Lim. 2019. KREI North Korean agriculture Trend. KREI. Vol. 21, Issue 1, pp. 3-16 (In Korean). 

  5. Kim. Y. M., D. Lee, and I. S. Park. 2010. Geographic database. CNC Academic Information. (In Korean) from http://geography.yescnc.com/Viewer/TextViewer.aspx?no19527&subno19530 

  6. Lee, E. S., D. H. Jeon, and S. K. Kim. 2002. Northern Gyeonggi province soybean seed sowing optimal test (LS0103). Gyeonggido Agricultural Institute of Technology. pp. 806-816 (In Korean). 

  7. Park, C. H., C. G. Kim, J. H. Gu, G. H. Jung, J. H. Seo, O. K. Han, D. U. Im, J. J. Hwang, and Y. U. Kwon. 2014.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 in two ecotypes of soybean at paddy field condition in the mid part of Korea. Korean J. Int. Agric. 26(4) : 482-490. 

  8. Park, H. K., Y. J. Oh, H. S. Kim, K. H. Kim, S. K. Suh, and D. Y. Suh. 2001. Future prospects for increase production of soybean. In International Symposium for 'Development Strategy for Self-production of Soybean. pp. 79-121 (In Korean).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7. A study on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and leadership system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mpletion of year 2). RDA. pp. 90-93 (In Korean).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7. Soybean-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116. RDA. pp. 70-109 (In Korean). 

  11. Shin, D. W., S. H. Park, G. R. Park, J. H. Kim, G. S. Lee, and S. P. Lee. 1998. North Korean agricultural technology (Including the Yanbian region of China). Oh Sung Publisher. pp. 187-20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