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생태형이 다른 8개 벼 품종을 대상으로 포트 실험을 실시하여 대기온, 대기온 대비
An experiment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notypic differences of grain yield and yield-related elements of rice under elevated air temperature. Eight rice genotypes included in three maturing group (early, medium, and medium-late maturing group) were grown with 1/5,000 a Wagner pots at four plastic houses that were controlled to the temperature regimes of ambient temperature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고온 환경 조건에서 성숙기가 다른 주요 벼 품종들의 수량과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을 파악하여 미래 기후 온난화가 벼 품종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벼 생태 형별 8 품종을 온도 조건이 다른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온도 조건에 따른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이 벼의 생육 및 수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다양한 생태형 및 품종을 대상으로 수량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도상승 환경에서 우리나라 조생, 중생, 중만생 벼 품종들의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와 그 밖의 수량 관련 요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높은 온도 환경 | 높은 온도 환경은 작물에 어떤 피해를 야기하는가? |
작물 조직의 장해 유발, 호흡 저해 등의 피해를 야기
일반적으로 작물은 호흡을 통해 생육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데, 호흡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생육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높은 온도 환경은 작물 조직의 장해 유발, 호흡 저해 등의 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Rosenzweig et al., 1997). |
벼 | 벼를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은? |
북위 53°의 고위도로부터 적도부근을 포함하여 남위 35°까지, 저지대로부터 해발 2,000m의 고지대까지 널리 재배
쌀은 전 세계 인구의 약 40~50% 정도가 주식으로 이용하는 곡물이며, 약 144백만 ha의 토지가 벼 재배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FAO, 2010). 벼는 비교적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작물로서 북위 53°의 고위도로부터 적도부근을 포함하여 남위 35°까지, 저지대로부터 해발 2,000m의 고지대까지 널리 재배된다. 우리나라는 북위 33°와 4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지형과 지세가 복합하고 다양한 농업기후대를 가지고 있어서 벼의 경우에도 재배환경적 차이에 의한 재배품종이나 재배기술이 매우 다양하다(Yoshida 1981). |
야간 온도 | 야간 온도에 변화는 주로 벼의 생육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낮과 밤에 관계없이 생육 적온을 벗어나는 높은 온도 환경에서 수량 및 등숙률이 감소하지만, 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 영화의 발육 속도가 낮아지고 생육기간의 감소가 발생하며, 결국 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보다 영화의 무게가 더 낮아진다
평균 온도 뿐만 아니라 야간 온도 또한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경우 낮과 밤에 관계없이 생육 적온을 벗어나는 높은 온도 환경에서 수량 및 등숙률이 감소하지만, 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 영화의 발육 속도가 낮아지고 생육기간의 감소가 발생하며, 결국 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보다 영화의 무게가 더 낮아진다고 하였다(Satoshi et al., 2005; Peng et al.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