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 조건에 따른 벼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 반응의 품종간 차이
Genotypic Differences in Yield and Yield-related Elements of Rice under Elevated Air Temperatur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7 no.4, 2015년, pp.306 - 316  

이규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동진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반호영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이변우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형이 다른 8개 벼 품종을 대상으로 포트 실험을 실시하여 대기온, 대기온 대비 $+1.5^{\circ}C$, $+3.0^{\circ}C$, $+5.0^{\circ}C$ 온도 조건에서의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삭수를 제외한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들의 온도 상승 조건에 대한 반응은 생태형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화수는 증감의 경향이 명확하진 않았으나 대체로 대기온보다는 증가하였고, 천립중과 등숙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량 관련 요소 중 온도 상승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요소는 등숙률이었으며, 가장 둔감한 요소는 천립중이었다. 등숙률의 하락과 맞물려 수량은 고온 조건일수록 낮아졌으나, 영화수 증가 영향으로 수량의 저하 정도는 등숙률의 그것보다 크지 않았다. 생태형 및 품종별 반응은 조생종의 오대벼와 운광벼가 온도 조건에 가장 민감하였으며, 중만생종 품종들의 반응은 대체로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 후 온도의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천립중, 등숙률, 완전발육미율, 수량은 출수 후 20일간의 평균기온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함수를 이용하여 품종 간 온도 반응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량의 경우 품종 간 온도 반응 특성이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품종에 상관없이 온도 반응에 대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달리 천립중, 등숙률, 완전발육미율, 임실률의 경우 품종별로 온도 반응 특성이 달랐으므로, 각 품종에 맞는 온도 반응 추정식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periment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notypic differences of grain yield and yield-related elements of rice under elevated air temperature. Eight rice genotypes included in three maturing group (early, medium, and medium-late maturing group) were grown with 1/5,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온 환경 조건에서 성숙기가 다른 주요 벼 품종들의 수량과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을 파악하여 미래 기후 온난화가 벼 품종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벼 생태 형별 8 품종을 온도 조건이 다른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온도 조건에 따른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이 벼의 생육 및 수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다양한 생태형 및 품종을 대상으로 수량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도상승 환경에서 우리나라 조생, 중생, 중만생 벼 품종들의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와 그 밖의 수량 관련 요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은 온도 환경은 작물에 어떤 피해를 야기하는가? 일반적으로 작물은 호흡을 통해 생육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데, 호흡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생육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높은 온도 환경은 작물 조직의 장해 유발, 호흡 저해 등의 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Rosenzweig et al., 1997).
벼를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은? 쌀은 전 세계 인구의 약 40~50% 정도가 주식으로 이용하는 곡물이며, 약 144백만 ha의 토지가 벼 재배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FAO, 2010). 벼는 비교적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작물로서 북위 53°의 고위도로부터 적도부근을 포함하여 남위 35°까지, 저지대로부터 해발 2,000m의 고지대까지 널리 재배된다. 우리나라는 북위 33°와 45°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지형과 지세가 복합하고 다양한 농업기후대를 가지고 있어서 벼의 경우에도 재배환경적 차이에 의한 재배품종이나 재배기술이 매우 다양하다(Yoshida 1981).
야간 온도에 변화는 주로 벼의 생육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평균 온도 뿐만 아니라 야간 온도 또한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경우 낮과 밤에 관계없이 생육 적온을 벗어나는 높은 온도 환경에서 수량 및 등숙률이 감소하지만, 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 영화의 발육 속도가 낮아지고 생육기간의 감소가 발생하며, 결국 주간에 고온처리를 할 경우보다 영화의 무게가 더 낮아진다고 하였다(Satoshi et al., 2005; Pe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ker, J. T., 2004: Yield responses of southern US rice cultivars to $CO_2$ and tempera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2(3-4), 129-137. 

  2. Brown, K. W. and J. C. Thomas, 1980: The influence of water stress preconditioning on dark respiration. Physiologia Plantarum 49, 205-209. 

  3. Cao, Y. Y., H. Duan, L. N. Yang, Z. Q. Wang, L. J. Liu, and J. C. Yang, 2009: Effect of High Temperature during Heading and Early Filling on Grain Yield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Indica Rice. Acta Agronomica Sinica 35(3), 512-521. 

  4. FAO, 2010: "Climate-Smart" Agriculture; Policies, Practices and Financing for Food Security, Adaptation and Mitiga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5. Kim, J. W., J. Y. Shon, C. K. Lee, W. H. Yang, Y. W. Yoon, W. A. Yang, Y. G. Kim, and B. W. Lee, 2011: Relationship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senescence of temperate rice under high temperature. Field Crops Research 122-3, 207-213. 

  6. Lee, K. J., D. I. Kim, K. S. Kim, and B. W. Lee, 2014: Genotypic difference in spikelet sterility response to air temperature during the reproductive stage of rice.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17(2), 53-57. 

  7. Lee, T., and A. R. Mohammed, 2009: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US Rice Industry and the Results from Night Temperature Effects. The Monsoon Asia-Agro Environmental Research Consortium, W2-04. 

  8. Nevins, D. J., and R.S. Loomis, 1970: A method for determining net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of plant leaves. Crop Science 10, 3-6. 

  9. Peng, S., J. Hu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X. Zhong,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s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27), 9971-9975. 

  10. Rosenzweig, C., and F. N. Tubiello, 1997: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on Mediterranean agriculture: Current methodologies and future directions: An introductory essay.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 219-232. 

  11. Sato, K., and K. Inaba, 1976: High temperature injury of ripening in rice plant: V. On the early decline of assimilate storing ability of grains at high temperature. Proceedings of the Crop Science Society of Japan 45,156-161. 

  12. Satoshi, M., J-I. Yonemaru, and J-I. Takanashi, 2005: Grain Growth and Endosperm Cell Size Under High Night Temperatures in Rice (Oryza Sativa L.). Annals of Botany 95, 695-701. 

  13. Tohru, K., and U. Naoya, 2004: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Grain-Filling Period Do Not Reduce the Potential Grain Dry Matter Increase of Rice. Agronomy Journal 96, 406-414. 

  14. Vergara, B. S., S. Purababhavung, R. Lilis, 1965: Factors determining the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Phyton 22, 17-185. 

  15.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IRR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