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4, 2019년, pp.5 - 22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기대 역할과 실행 역할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서 교사는 교수자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고, 교수 파트너로서 도서관 활용수업과 협동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독서교육과 도서관이용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그 원인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두는 전문 인력의 역할 모호성과 같은 제도적 한계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동료 교사의 사서 교사에 대한 인식과 파트너십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사서 교사의 변인 중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 교사가 본인을 교수 파트너로 여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교사의 교수자, 교수 파트너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보활용교육의 범교과 학습주제 포함, 직무 분석 실시, 장학 체계 확립, 동료장학 활성화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teacher librarians and suggest some improve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41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level qualification training for teach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이 다양하고 명확한 역할 구분이 없는 상황에서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 우선, 사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수행 정도는 소수의 표본을 이용하여 계층적인 대안 간 쌍대비교를 실시함으로써 상호 간의 중요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과 실제로 수행하는 역할의 순위를 조사하여 상대적인 중요성 인식과 수행 정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RESS Version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석 결과, 사서 교사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 인식 순위는 어떻게 되는가? 분석 결과 사서 교사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 인식 순위는 ‘정보활용교육, 도서관 활용수업 및 협동수업, 독서교육, 도서관 이용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서관이용교육,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을 핵심 역할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 연구 결과(김성준 2009; 송기호 2011)와 일맥상통하며, 사서 교사가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는 교수자로서의 정체성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서 교사 자격 제도가 무력화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교실로서의 학교도서관을 책임질 인적자원의 자격요건이 사서 교사로 귀결되지 못한 체 겸임 사서 교사, 도서관 담당 교사, 계약직 사서, 학교도서관 도우미 등 다양한 전담인력 활용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학교도서관진흥법』(법률 제15368호)에서 학교도서관에 두어야 하는 인적자원의 유형을 사서 교사, 실기교사, 사서로 정하고는 있지만(제12조 제2항),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대통령령 제 29099호)은 각 자격 유형별 역할을 정하지 않은체, 사서 교사 등의 업무 범위(제7조 제3항)만을 두고 있다. 『도서관법』(법률 제15167호) 또한, 학교도서관의 업무(제38조)에 ‘도서관 이용의 지도 및 독서교육, 협동수업 등을 통한 정보 활용의 교육’ 등 교육적 역할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이 『초중등교육법』(법률 제15961호) 제21조 제2항에 따른 사서 교사와 실기교사만의 역할인지는 불분명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서 교사 자격 제도가 무력화된 상태이다.
구성주의적 학습관에서 사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대상 세계와의 대화, 타자와의 대화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촉진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佐藤學2011, 101). 이러한 구성주의적 학습관에서 사서 교사의 역할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조성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도구로써 정보활용능력을 지도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ng, Bong-Suk and Song, Gi-Ho. 2019.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149-168.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he Standard Manual of Evaluation System for Developing Teachers' Capacit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Guidelin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cited 2019. 8. 26.] 

  5. Kwon, Eun-Kyung. 2007. "The Impac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8(3): 247-276. 

  6. Kim, Sung-Jun. 2009.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49-270. 

  7. Kim, Jeong-So. 1993. School Library Media Center. Daegu: Keimyung University Press. 

  8. So, Byoung-Moon and Song, Gi-Ho. 2018. "An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Korean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3): 55-75. 

  9. Song, Gi-Ho. 2006. The Practice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Song, Gi-Ho. 2007.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87-116. 

  11. Song, Gi-Ho. 2010.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317-337. 

  12. Song, Gi-Ho. 2011.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163-184. 

  13. Song, Gi-Ho. 2017. School Library Management. 5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4. Shin, Seung-Ju. 2007. A Study on Role Awareness among Teacher-Librarian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15. An, In-Ja et al. 2002. Job Analysis for School Libraries'Teacher Librarians(Librarians). Gunpo: Korea Digital Library Forum. 

  16. Lee, Yong-Nam. 2007. "An Analysis of Cooperative Syste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Its Outskir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353-372. 

  17. Chung, Jin-Soo. 2008. "Teacher-Librarians' Perceptions of Their Ro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43(4): 281-306. 

  18. Sato, Manabu. 2011. Method of Education. translated by Park, Chan Young. Seoul: Salimter. 

  19.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2010. SAMPLE JOB DESCRIPTION Title: SCHOOL LIBRARIAN. [online] [cited. 2019. 9. 2.] 

  20. Ash-Argyle, Ruth and Shoham, Snunith. 2014. "Professional self-efficacy and role percep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thei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n evidence-based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8(2): 118-140. 

  21.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ALIA) and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9. Statement on Teacher Librarian Qualifications. [online] [cited 2019. 6. 16.] 

  22.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2011. School Library: A Right. [online] [cited 2015. 10. 16.] 

  23.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online] [cited 2019. 6.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